• 제목/요약/키워드: Echinochloa frumentacea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Echinochloa속(屬)의 초기(初期) 생육(生育) 및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 (Difference in Early Growth of Echinochloa Species and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Herbicides)

  • 전재철;김성은;박남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4-199
    • /
    • 1996
  • 우리 나라 논에서 발생(發生)되는 논피와 돌피 그리고 식용피에 대하여 종자(種子) 크기와 초기(初期) 생육차이(生育差異)를 비교(比較)하고, 이들에 대한 피 방제용(防除用) 제초제(除草劑) molinate, esprocarb 및 mefenacet의 효과(效果)를 처리(處理) 엽기별(葉期別)로 검토(檢討)하였다. 논피 종자(種子)의 천립중(千粒重)은 돌피의 약 3배 정도 무거웠으나 식용피의 천립중(千粒重)과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파종후(播種後) 2.5엽기(葉期)에 도달하는데 식용피는 11일(日), 논피는 13일(日), 그리고 돌피는 14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Molinate, esprocarb 및 mefenacet의 처리(處理)에 대하여 돌피는 논피에 비하여 보다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는데, 처리(處理) 엽기(葉期)의 진전(進展)과 함께 감수성(感受性)이 감소(減少)되었다. 한편 이들 제초제(除草劑)들에 대한 식용피의 반응(反應)은 1.5엽기(葉期)와 3.0엽기(葉期)사이의 처리(處理)에서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Thiocarbamate계(系)의 esprocarb은 동계(同系)의 molinate에 비하여 피속(屬)에 대한 보다 강한 활성(活性)을 보였으며, 두 약제(藥劑) 모두 유효성분(有效成分) 함량(含量)이 높은 7G 제형(劑型)이 5G 제형(劑型)에 비하여 높은 활성(活性)을 보였다. 피 속간(屬間)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는 종자(種子)크기에 따른 차이(差異)와는 關聯이 없지만, 종자(種子)크기는 초기(初期) 생육(生育) 단계(段階)에 영향(影響)을 미치며 이 초기(初期) 생육(生育) 단계(段階)즉 처리(處理) 당시(當時)의 엽기(葉期)에 따라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낸다.

  • PDF

중금속 오염배지에서 식물성장증진 근권미생물에 의한 식용 피 발아율과 유식물 성장 증진 (Improv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in Heavy Metal Contaminated Medium by Inoculation of a multiple-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m-PGPR))

  • 이아름;배범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5호
    • /
    • pp.9-17
    • /
    • 2011
  • Positive effect of multiple-PGPR (Plan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isolated from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n the germination of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was quantitatively estimated in 5 heavy metal (Cd, As, Ni, Cu, and Pb) contaminated liquid medium. The $EC_{50}$ value for respective heavy metal was estimated by TSK (Trimmed Speraman-Karber) model based on germination rate. The results showed overall increase in $EC_{50}$ with PGPR inoculation. The $EC_{50}$ value increased 1.4% from 96.0 mg/L (control) to 97.4 mg/L (PGPR-treated) in As contaminated medium. In Ni contaminated medium, the $EC_{50}$ value increased 31.9% from 148.0 mg/L (control) to 195.2 mg/L (PGPR-treated), while the $EC_{50}$ showed 4.8% increase from 63.4 mg/L (control) to 66.5 mg/L (PGPR-treated) in Cu medium. Overall seedling growth was stronger in the PGPR treated seeds than that in the control, but positive effect on seedling growth was not conspicuous. At effective concentration of 100 mg/L, the average seedling length of the PGPR treatment in As, Cd, Cu, and Ni medium, respectively, was 1.13, 0.14, 0.40, and 0.06 cm longer than that in the control. However, the increase of seedling growt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oculation of the isolated-PGPR exerts positive effects on seed germination by reducing heavy metal toxicity and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application of phytoremediation o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식물성장근권 미생물 적용에 의한 Zn 오염 논토양 식물상정화증진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nhanced Phytoremediation with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for Zn Contaminated Rice Paddy Soil)

  • 김태성;최상일;양재규;이인숙;배범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3호
    • /
    • pp.15-26
    • /
    • 2010
  • The contaminated soils near abandoned mine area can threaten human's health and natural ecosystems through multiple pathways.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using physicochemical technologies are expensive and destructive of soil environments. On the other h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pproach that maximize biological remediation, that is, phytoremediation, attracts attention as a low carbon green growth technology. This research is a field demonstration study, focused on the enhanced phytoremediation by bioaugmenting PGPR(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that is helpful on the growth of and heavy metal removal by Echinochloa frumentacea, at a Zn contaminated paddy soil near SamBo mine at Hwasung, Kyungg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zinc removal by the plant with PSM(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a kind of PGPR,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by the control. The results are valuable as it is a result from the field-scale technology demonstration. The results also implies that application of PGPR can enhance heavy metal removal from contaminated soil in full scale phytoremediation using Echinochloa frumentacea.

조선왕조실록 밀납본 손상 복원을 위한 복원용지 탐색 (The Research of Papers to Restore the Waxed Volume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 서진호;정소영;정선화
    • 공업화학
    • /
    • 제19권2호
    • /
    • pp.151-156
    • /
    • 2008
  • 조선왕조실록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중요한 자료이며 세계기록문화유산이기도 하다. 조선왕조실록 제작 시 방충의 효과를 위해 밀랍을 사용한 시기가 있었으며, 이 때 제작된 조선왕조실록의 밀랍이 현재 조선왕조실록 손상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 밀랍본 손상에 대한 대책으로써 손상 복원용 한지 탐색의 일환으로 국내 및 국외 전통종이, 인공경화된 재현밀랍지에 대해 FT-IR을 이용한 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종이에 대한 spectrum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존의 종이원료로써 사용되던 Broussonetia kazinoki 외의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Dioscorea batatas 등의 재료로 제조된 종이의 경우 spectrum의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각국의 전통종이 중 한국종이가 가장 유사한 spectrum을 보였다. 인공경화된 재현밀랍지와 실록 밀랍본에 대한 비교 시 손상에 따른 spectrum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재배 피 품종의 내염성과 청예 및 종실 수량성 (Salt Tolerance and Green Fodder and Grain yields of Barnyard Millet(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 최병한;박근용;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9-253
    • /
    • 1991
  • ICRISAT에서 도입된 피 45품종과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피 3품종들의 내염성정도, 종실 및 청예수량성 등을 일반 밭 토양과 간척지 토양에 파종하여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주결과를 얻었다. 1. 공시된 48품종을 5월 10일 파종하였을 때에 출수기의 범위는 7월 17일~9월 22일로 60여일, 성숙기는 8월 7일~9월 28일로 54일이나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ICRISAT 도입품종들은 대부분조ㆍ중숙성이 많았다. 생초수량의 범위는 1.0~9.7t/10a으로 8.7t/10a이나 되었고 종실수량의 범위도 최고 369kg/10a 최저 7kg/10a으로 362kg/10a이었다 2. IEC514, IECS15, IEC518, IECS28 등이 수원과 남양 간척지에서 각각 청예수량 8t/10a, 6t/10a 이상으로 유망하였고 종실용으로는 IEC51S, IECS23, IEC512, IEC514 등 이200~300kg/10a을 생산하였다. 양축농가에서도 2회예취시 평균 청예수량은 9t/10a이었다. 3. 실험실내 시험에서 염분농도가 0.0~l.0%까지 높아짐에 따라 발아율, 초장, 근장이 크게 감소되지 않은 품종은 IECS14, IEC515, IEC516, IEC518 품종등으로 내염성이 강하였고 청예수량도 많았다.

  • PDF

마우스 대식 세포주 RAW264.7에 있어서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에 대한 식용피(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의 저해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Flavonoids Kaempferol and Biochanin A-enriched Extract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Grains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이지영;전도연;윤영호;고지연;우관식;우미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157-1167
    • /
    • 2014
  • 잡곡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우수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인식되고 있다. 국내산 잡곡들(기장, 황금찰수수, 노랑차조, 율무 및 식용피)을 대상으로 항염증 활성을 비교조사하고자, 이들 잡곡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을 지질다당류(LPS)로 자극할 때 생성되는 염증 매개인자인 산화질소(NO)의 생성에 미치는 저해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용피(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유래의 에탄올 추출물이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의 생성을 저해하는 항염증 활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식용피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염증 관련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80%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 n-hexane, methylene chloride (MC),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BuOH)과 물 분획들로 단계별 분획하고, 각 분획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에 MC 분획($100{\mu}g/ml$)을 전처리하였을 때,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iNOS, COX-2, 그리고 친염증성 사이토카인들(IL-$1{\beta}$, IL-6, 및 TNF-${\alpha}$)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p38MAPK, JNK 및 ERK의 활성화의 경우도 MC 분획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LC분석을 통해, 식용피 유래 MC 분획의 항염증 활성은 식용피의 MC 분획 속의 주요성분인 kaempferol과 biochanin A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식용피 및 식용피의 MC 분획이 염증성 질환과 이와 관련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예후개선에 유리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낙동강 현창늪과 주변 분수계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Hyeonchang Wetland and its Watershed in Nakdong-gang)

  • 오경환;손성곤;이팔흥;김철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55
    • /
    • 2003
  • Vegetation structure was investigated in the Hyeonchang wetland and its watershed around the Nakdong-gang, Changryeong-county, Gyeongsangnamdo, Korea. from May to August, 2001. The vegetation type of the Hyeonchang wetland was classified into 12 communities based on the actual vegetation map: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Zizania latifoli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 Persicaria perfoliata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Persicaria perfoliata -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Persicaria perfoliata community, Cyperus amuricus community, Cyperus amuricus-EchinochJoa crus-galli var. frumentace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Zizania latifolia community, EchinochJoa crus-galli var. frumentacea community, and Persicaria maackiana community. Among them,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as the largest (4.3 ha, 24%). The dominant vegetation type wer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Persicaria maackiana community, and Cyperus amuricus subcommunity based on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The vegetation type of the Hyeonchang wetland watershed was classified into five communities based on the actual vegetation map: Pinus densilflora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densiflora-Larix gmelini var. principis-ruprechtii community, and Populus tomentiglandulosa community. Among them, Distribution area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largest (399.3 ha, 61.8%).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of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7 and 8 degree.

  • PDF

수종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dmium Tolerance of Some Native Herb Plants)

  • 장주연;장윤영;배범한;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309-313
    • /
    • 2001
  • 카드뮴 내성 식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5종류의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검정을 실시하였다. 카드뮴 용액에 14일간 노출된 야초류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와 지상부의 생장율,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어저귀와 털비름의 발아율은 모든 농도에서 90%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자귀풀과 물피, 식용피는 15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뿌리와 지상부의 길이 생장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두 감소하였으며, 생체량의 경우 물피, 식용피, 털비름은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어저귀와 자귀풀은 60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어저귀, 자귀풀, 털비름의 EC/sub 50/(Effective Concentration 50%)은 뿌리성장에서는 54 mgCdSO₄ /L, 77.5 mgCdSO₄ /L ,44.5 mgCdSO₄ /L이고, 지상부 성장에서는 114 mgCdSO₄ /L, 73.5 mgCdSO₄ /L, 38.6 mgCdSO₄ /L였으며, 생체량에서는 107.5 mgCdSO₄ /L, 67.5 mgCdSO₄ /L, 60 mgCdSO₄ /L였다. 야초류 간의 카드뮴에 대한 sensitivity는 뿌리 > 생체량 > 지상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저귀가 카드뮴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제주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청예피의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Effect of Seeding Date on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Roxb) Wight in Jeju Region)

  • 조남기;강영길;송창길;고영순;조영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7-224
    • /
    • 2001
  • In order to identify the growth characterization, th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eju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var. fiurnentacea(Roxb) Wight) based on seeding date in Jeju region, seeding carried out the 10-day intervals from March 27 to September 30 in 2000, respectively. Plant height was 143.2 cm, showing the highest on seeding date, April 6 among that of any other seeding date. On the other hand, those of early and late seeding gradually decrease. Plant height was 119.2 an in May 16 seeding. The results of stem diameter, number of withering leaves, number of leaves and fresh weight per plant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lant heights. The yield of fresh, dry matter forage, crude protein and TDN found the highest on April 6 seeding, 63.5 MT/ha, 13.9 MTha, 1.1 MT/ha, and 7.6 MT/ha, respectively. In early and late seeding, the yield was gradually decreased. In seeding May 16, the yield found .38.2 MTIha in fresh forage, 6.2 MTha in dry matter forage, 0.7 MT/ha in crude protein and 3.7 MTha in TDN, respectively. According to delaying the seeding date, March 27 to May 16,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from 7.9 to 10.8%), ether extract (from 4.6 to 6.0%), nitrogen free extract (from 45.1 to 46.5%), and TDN (from 54.2 to 60.8%) were gradually increased,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ose of crude fiber (from 28.9 to 25.6%) and crud ash (from 13.5 to 11.2%) were de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April 6 was the optimum seeding date with the sole object of feed production of Jeju barnyard grass und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 like as atmospheric phenomena and soil in Jeju region. (Key words : Jeju barnyard grass, Seeding date, Forage yield, Chemical compos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