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hinochloa colona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에 유입되는 열대피(Echinochloa colona) 동정: DNA 바코드 중심 (Discrimination of Echinochloa colona (L.) Link from other Echinochloa Species using DNA Barcode)

  • 이정란;김창석;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25-229
    • /
    • 2015
  • 열대피와 같은 논농사지역의 악성잡초는 국내에 유입될 경우 문제 잡초로 정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유입되는 초기에 방제가 될수 있도록 정확한 동정이 되어야한다. 그러나 피속 잡초는 형태적으로 연속변이가 많이 존재하여 종간 구별이 매우 어려운 잡초이다. 본 연구는 미국 NPGS에서 분양받은 열대피와 국내에서 채집한 돌피와 논피를 고등식물 표준바코드 마커 rbcL과 matK를 이용하여 바코드하고, 추가적으로 핵 DNA ITS 부위를 바코드하여 표준바코드 구간과 ITS 구간의 열대피를 동정할 수 있는 능력과 바코드 활용성을 비교하였다. 바코드 결과, rbcL은 0.36%, matK는 0.29%, ITS는 3.2%의 열대피 특이 염기서열이 조사되었고 Neighbor-joining 계통수에서 종별 유집이 뚜렷하게 나타나 표준바코드 마커와 ITS 모두 쉽고 간편하게 열대피를 국내의 돌피, 논피와 동정할 수 있었다. 특히 ITS는 분석구간은 짧지만 열대피를 국내의 논피, 돌피와 정확하게 구분해낼 수 있어서 ITS 단독으로 국내에 유입되는 열대피 동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ECHINOCHLOA COLONA 생태형(生態型)의 경합력(競合力) 차이(差異) (Differential Competitiveness of Echinochloa colona Ecotypes)

  • 김재철;키이쓰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7-256
    • /
    • 1987
  • The ability of three Echinochloa colona (L.) Link ecotypes to compete with rice (Oryza sativa L.) was evaluated. For all the ecotypes, E. colona was shorter and produced less leaf area and dry matter than rice at 15 days after seeding (DAS), whereas the reverse was observed from 30 to 60 DAS. Neither E. colona nor rice tillered during the first 15 DAS, but E. colona had greater accumulative tiller length than rice from 15 DAS. Rice absorbed more nitrogen than E. colona at 15 DAS. E. colona absorbed greater amounts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than did rice between 30 and 60 DAS and increase in its density decreased the nutrients uptake of rice. Differences in the competitive ability of the ecotypes were related to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ecotypes and the period of competition between the two species. At the early growth stages the Pangasinan ecotype, which increased plant size rapidly and had a shorter life cycle, was more competitive against rice than the Leyte and South Cotabato ecotypes, which had a longer vegetative growth period. However, the reverse was observed at the later growth stages of the ecotypes.

  • PDF

Echinochloa colona와 직파(直播)벼 간의 종간경합(種間競合)에 관한 연구(硏究)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Echinochloa colona and Rice)

  • 전재철;키이쓰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3-98
    • /
    • 1990
  • Echinochloa colona (L.) Link의 직파(直播)벼 간의 종간경합(種間競合)을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라 조사(調査)하였다. 두 초종간(草種間)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및 건물중(乾物重)에 대한 경합(競合)은 파종후(播種後) 30일(日)까지는 전경합밀도(全競合密度) 조건(條件)에서 일어나지 않았다. 경합(競合)에 의한 E. colona의 엽면적(葉面積) 및 건물중(乾物重)의 감소(減少)는 파종후(播種後) 45일(日)에 E. colona의 밀도(密度)가 벼보다 적은 경합밀도(競合密度) 조건(條件)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파종후(播種後) 60일(日)에 한 본(本)의 E. colona가 4본(本)의 벼와 경합(競合)하는 밀도(密度) 조건(條件)에서 E. colona 밀도(密度)의 증가(增加)와 함께 E. colona의 엽면적(葉面積) 및 건물중(乾物重)은 종내경합(種內競合) 때문에 감소(減少)되었다. 파종후(播種後) 30일 까지 벼는 E. colona 보다 많은 질소(窒素)를 흡수(吸收)하였으나, 파종후(播種後) 45일(日)부터는 반대(反對) 현상(現狀)을 나타내었다. 벼와 E. colona 모두 비교적(比較的) 적은 양(量)의 인(燐)을 흡수(吸收)하였으나, E. colona의 흡수량(吸收量)이 벼의 것보다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E. colona는 벼의 비(比)하여 극히 많은 양(量)의 가리(加里)를 흡수(吸收)하였다.

  • PDF

Echinochloa colona의 생태형(生態型) 변이(變異) - II.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종내(種內) 반응성(反應性) 변이(變異) (Ecotypic Variation in Echinochloa colona - II. Intraspecific Variations in Sensitivity to Herbicides)

  • 전재철;키이쓰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8-343
    • /
    • 1990
  • Echinochloa colona (L.) Link 생태형(生態型) 12종(種)의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종내(種內) 내성차이(耐性差異)를 생육(生育) 단계별(段階別) 검토(檢討)하였다. 발아(發芽) 및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 단계(段階)에서 Batangas 생태형(生態型)은 butachlor와 thiobencarb에 가장 큰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낸 반면, Bukidnon 생태형(生態型)은 가장 큰 내성(耐性)을 보였다. 그러난 생태형(生態型)들의 감수성 차이(差異)는 생태형(生態型)의 종자(種子) 무게 및 숙기(熟期)와는 상관성(相關性)이 없었다. 생태형(生態型)의 2엽기(葉基)에 제초제(除草劑)가 처리(處理)되었을 때, Nueva Ecija 생태형(生態型)은 butachlor 1 ppm에 가장 큰 내성(耐性)을 보였으냐, thiobencarb 1 ppm에 대하여서는 가 큰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Cagayan 생태형(生態型)은 정반대(正反對)의 경향(傾向)을 보였다. 파종후(播種後) 20일(日)된 유묘(幼苗)의 제3엽(第3葉)에 처리된 propanil에 의한 necrosis 정도(程度)로 조사(調査)한 생태형(生態型)들의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는 Camarines Sur, Iloilo 및 IRRI (red) 생태형(生態型)에서 현저(顯著)하였지만, Cagayan 및 Batangas 생태형(生態型)에서는 necrosis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반응차이(反應差異)는 처리(處理)되는 제초제(除草劑)의 종류(種類)와 처리농도(處理濃度) 및 생태형(生態型)들의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라 달랐다.

  • PDF

Echinochloa colona의 발아(發芽)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제요인(諸要因) (Some Factors Affecting Germination and Growth of Echinochloa colona)

  • 전재철;키이쓰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3-108
    • /
    • 1985
  • Echinochloa colona(L.) Link 발아(發芽)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pH, 염도(鹽度), 파종심도(播種深度) 및 수분압박(水分壓迫)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발아(發芽)는 pH 10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으나, 유아(幼芽)의 길이는 시험(試驗)된 pH의 범위내(範圍內)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염분농도(鹽分濃度) 0.1% 이하(以下)에서 발아(發芽)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으나, 0.5%에서 감소(減少)되었다. 염분농도(鹽分濃度) 1.0%에서는 유아신장(幼芽伸長)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어짐에 따라 발아율(發芽率)은 현저히 감소(減少)되지만, 파종심도(播種深度)에 관계(關係)없이 엽초(葉鞘)마디(coleoptilar node)는 항상 지표면(地表面) 바로 밑에서 형성(形成)되었다. 수분(水分)포텐셜이 -4.6 bars에서 발아(發芽)는 감소(減少)되고 지연(遲延)되었으며, -9.8 bars의 수분(水分)포텐셜에서는 발아(發芽)되지 않았다. 토양(土壤)의 수분압박(水分壓迫)은 초장(草長)을 감소(減少)시키고, 출수(出穗)를 지연(遲延)시켰으며, 종자생산(種子生産)을 감소(減少)시켰다.

  • PDF

수수의 타감작용(他感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llelopathic Effect of Sorghum Extract and Residues on Selected Crops and Weeds)

  • 김상열;에스 케이 디다타;알 피이 로블레스;김길웅;이상철;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4-41
    • /
    • 1994
  • 생물검정 결과 수수에 함유된 타감물질의 억제 효과는 공시 식물, 사용부위 및 사용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공시 작물 및 잡초 모두가 줄기에서 추출한 물질에 의해 발아 및 생장이 억제되었는데 작물은 무우, 밀, 벼 순으로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옥수수에서 억제효과가 가장 적었다. 잡초는 Ipomoea, triloba에서 가장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Echinochloa colona, Rottboellia cochinchinensis 순으로 나타났다. 수수의 부위별로 타감물질의 억제정도를 조사한 결과 E. colona에서는 줄기 부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7.5%(w/v) 에서 E. colona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잎, 뿌리는 억제효과가 크지 않았다. 무우에서는 줄기, 잎, 뿌리 모두가 비슷하게 억제 작용을 나타냈으며 5%에서 무우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온실에서 수수 줄기를 이용해서 mulching 실험을 한 결과 줄기의 타감물질이 E. colona와 무우에 상당한 억제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이 되었다.

  • PDF

Echinochloa colona 종자(種子)의 휴면(休眠) 및 발아특성(發芽特性)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BEHAVIOUR OF ECHINOCHLOA COLONA)

  • 전재철;키이쓰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18
    • /
    • 1987
  • E. colona 종자(種子)의 휴면성(休眠性) 및 광(光)과 발아관여기체(發芽關與氣體)에 대한 발아(發芽) 반응성(反應性)을 조사(調査)하였다. E. colona는 휴면상성(休眠賞醒)을 위해 후숙기간(後熟期間)을 요(要)하지 않하였다. 종피(種皮)를 통(通)한 수분(水分) 이동(移動)은 용이(容易)하였다. 수화(水和) 및 건조(乾燥)의 반복처리(反復處理)는 종자(種子)의 발아력(發芽力)을 감소(減少)시켰다. 24 시간(時間)의 종자(種子) 침윤(浸潤)으로 수분함량(水分含量)은 21%까지 증가(增加)되었으나, 실온(室溫)에서 13 시간(時間) 후(後)에는 원상태(原狀態)로 회복(回復)되었다. 종피(種皮)의 제거(除去)는 암조건하(暗條件下)에서 발아율(發芽率)을 현저히 증가(增加)시켰으며, 광(光)은 완전종자(完全種子)의 발아(發芽)를 촉진(促進)시켰다. 일광도(日光度) 51.9$Wm^{-2}$ 이하(以下)의 조건하(條件下)에서의 발아(發芽)는 현저하게 감소(減少)되었다. 광조사(光照射) 1일(日) 1시간(時間) 처리(處理)는 1일(日) 2 시간(時間) 이상(以上) 처리(處理)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청색광(靑色光) 조사(照射) 종자(種子)는 적색광(赤色光) 조사(照射)에 비하여 발아(發芽)가 지연(遲延)되었으며, 발아율(發芽率)도 낮았다. 광존재하(光存在下)에 외생적(外生的)으로 처리(處理)한 에칠렌 및 탄산가스는 발아(發芽)를 촉진(促進)시켰으며, 이 두 기체(氣體)의 동시처리(同時處理)는 공력효과(共力效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암조건하(暗條件下)에서는 이 두 기체(氣體)의 작용력(作用力)이 나타나지 않하였다.

  • PDF

Echinochloa colona의 생장(生長), 발육(發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 (Growth,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chinochloa colona)

  • 전재철;키이스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
    • /
    • 1986
  • Echinochloa colona(L.) Link의 생장(生長), 발육(發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전생활환(全生活環)을 통(通)해서 조사(調査)하였다. E. colona는 파종후(播種後) 2~3일(日)에 발아(發芽)하며, 파종후(播種後) 8일(日)이면 2엽기(葉期)에 도달한다. 생장(生長)의 초기(初期)에는 근장(根長)이 초장(草長)보다 길지만, 파종후(播種後) 4주(週)간 경과(經過)되면서 이 관계(關係)는 뒤바뀐다. 분얼(分蘖)은 주경(主莖)의 제6엽(第6葉)이 출현(出現)될 때 주경(主莖)의 제3엽(第3葉)으로부터 시작된다.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 동안의 엽(葉) 및 분얼(分蘖)은 일정(一定)한 규칙성(規則性)에 따라 전개(展開)되어 14엽기시(葉時期)에는 19개(個)의 분얼(分蘖)(1차(次) 분얼(分蘖)5, 2차(次) 분얼(分蘖) 12, 3차(次) 분얼(分蘖) 1 및 절분얼(節分蘖 1)을 이루었다. 경엽(莖葉)/근부중량비(根部重量比)는 출수직전(出穗直前)에 가장 높았다. 원추화서(圓錐花序)중 가장 짧은 소수(小穗)는 상위(上位) 2번째의 것으로 가장 적은 수(數)의 종자(種字)를 생산(生産)한다. 이 소수(小穗)로부터 하위(下位)의 소수(小穗)로 내려갈수록 소수(小穗)의 길이와 소수당(小穗當) 종자생산수(種字生産數)는 증가(增加)된다. 종자(種字)의 무게는 하위소수(下位小穗)의 것이 상위소수(上位小穗)의 것보다 가벼웠으며, 발아력(發芽力)도 낮았다. 부정근(不正根)의 신장(伸張)은 화경(花硬)의 엽초기부에서 이루어지며, 그 신장력(伸張力)은 오래된 화경(花硬)에서 보다는 어린 화경(花硬)에서 더욱 컸다.

  • PDF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Echinochloa in Korea (II): Inferred from Simple Sequence Repeats

  • Lee, Jeongran;Kim, Chang-Seok;Lee, In-Y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190-195
    • /
    • 2014
  • Echinochloa (L.) P. Beauv. includes some of the noxious weeds, causing a serious yield loss when they are dominant in the fields. Identification of the Echinochloa is very difficult because many interspecific and intraspecific forms of the species are found. However,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species exactly and to know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species for effective weed ma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summarize the Echinochloa species by comparing the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 among Korean Echinochloa species using SSR. The genetic diversity of 107 individuals, including seven species were assessed using five SSR markers. UPGMA dendrogram generated two clades (I and II) and clade II divided again into two subclades (II-1 and II-2) whereas the model based genetic structure proposed four subpopulations. The two subpopulations were corresponded to clades I and II-1 and the other two were arranged to clade II-2 of the UPGMA dendrogram. We have concluded that E. colona and E. glabrescens might have not distributed in Korea. The biological varieties, praticola and echinata, of E. crus-galli should be treated as E. crus-galli. Korean Echinochloa should be summarized with four species, i.e., E. oryzicola, E. crus-galli, E. esculenta, and E. oryzo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