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 Lak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6초

한반도 동해안의 자연호 분포와 지형 환경 변화 (The Distribution and Geomorphic Changes of Natural Lakes in East Coast Korea)

  • 이민부;김남신;이광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49-460
    • /
    • 2006
  • 본 연구는 지형도(1920년대)와 위성사진(1990년대)을 기초로, GIS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한반도 동해안의 석호와 하적호를 포함한 자연호의 분포, 면적 및 형상, 시계열적 변화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1990년 현재, 동해안에 확인된 면적 $0.01km^2$이상의 자연호는 총 57개이며, 총면적은 $75.62km^2$이다. 석호의 수는 총 48개, 총 면적은 $64.85km^2$로, 자연호의 85%를 차지하며, 가장 큰 것은 라선시의 번포이다. 하적호는 본류의 퇴적물에 의해 해안에 인접한 지류들이 본류 퇴적물에 의해 막힌 것으로, 석호들과 비슷한 위치에 존재하며, 이중 기장 큰 것은 함경남도 어랑군의 장연호로 용암대지 개석곡에 발달한 하적호이다. 동해안에서도 두만강 하구$\sim$청진, 흥남$\sim$호도반도, 안변$\sim$강릉 해안에 석호의 분포가 높다. 지형태적 관련성을 보면, 자연호의 면적과 둘레 사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며, 면적과 형상도 사이에는 상관도가 낮다. 석호가 위치한 지역의 해안선은 지체구조와 연안류의 영향을 받아, 북서-남동, 북동-남서 계열이 우세하다. 호수로 유입하는 하천은 최대 길이가 대체로 15km 미만이며, 유입 하천에 의한 호수 면적의 감소는 면적이 좁을수록 뚜렷하다. 자연호가 위치한 지역의 지형은 해안-구릉, 해안평야, 해안평야-하곡, 해안평야-구릉, 하곡-구릉으로 구분되며, 1920년과 1990년 사이의 시계열적인 면적 감소는 해안평야-하곡의 지형에서 가장 심하고, 다음으로 해안평야이다. 면적 감소는 하천과 사구로부터의 퇴적물 유입에 의한 건륙화와 인위적인 호안 매립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 PDF

The Research Regarding of Visitors' Perception of Animal Elements in Landscape Architecture

  • Shen, Ning;Bae, Jung Nam;Zhang, Li-Qin;Piao, Yong-Ji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79-686
    • /
    • 2013
  • Based on the survey of East Lake Park, South Lake Park and Tian Waicun in Tai'an by questionnaire survey, on-the-spot investig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e paper analyzes the tendencies of visitors to the animal elements and animal landscape i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ree terms: primary attributes, the cognition of animal elements and animal elements landscape preferences. We have drawn several conclusions: the landscapes of animal elements are in urgent demand by the public ; The animal elements having lovely image, auspicious meaning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popular application types of animal elements landscapes ; The most favorite types of animals and animal elements are: doves, cranes monkeys, pandas, butterflies, dragonflies, fold fish, dolphins, dragons and cartoon animals ; The popular landscaping techniques of animal elements are the methods of combining with plants, buildings and garden ornaments.

동해안 화진포 외호의 홀로세 동안의 진화: 동해의 해수면 변동과 관련된 환경변화 (Holocene evolution of the Outer Lake of the Hwajinpo Lagoon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Environmental changes with Holocene sea-level fluctuation of East sea (Sea of Japan))

  • Jong-Gwon, Yum;Kang-Min, Yu;Keiji, Takemura;Toshiro, Naruse;Akihisa, Kitamuras
    • 한국제4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제4기학회 2003년도 제4기학회 제33차 학술발표대회
    • /
    • pp.39-40
    • /
    • 2003
  • PDF

Chromosomal study of the lenoks, Brachymystax (Salmoniformes, Salmonidae) from the South of the Russian Far East

  • Kartavtseva, I.V.;Ginatulina, L.K.;Nemkova, G.A.;Shedko, S.V.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91-98
    • /
    • 2013
  • An investigation of the karyotypes of two species of the genus Brachymystax (B. lenok and B. tumensis) has been done for the Russia Primorye rivers running to the East Sea basin, and others belonging to Amur basin. Based on the analysis of two species chromosome characteristics, combined with original and literary data, four cytotypes have been described. One of these cytotypes (Cytotype I: 2n=90, NF=110-118) was the most common. This common cytotype belongs to B. tumensis from the rivers of the East Sea basin and B. lenok from the rivers of the Amur basin, i.e. extends to the zones of allopatry. In the rivers of the Amur river basin, in the zone of the sympatric habitat of two species, each taxon has karyotypes with different chromosome numbers, B. tumensis (2n=92) and B. lenok (2n=90). Because of the ability to determine a number of the chromosome arms for these two species, additional cytotype have been identified for B. tumensis: Cytotype II with 2n=92, NF=110-124 in the rivers basins of the Yellow sea and Amur river and for B. lenok three cytotypes: Cytotype I: 2n=90, NF=110 in the Amur river basin; Cytotype III with 2n=90, NF=106-126 in the Amur river basin and Cytotypes IV with 2n=92, NF=102 in the Baikal lake.

펌프준설에 의한 준설토의 체적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lking Change of Dredged Soils by Pump Dredger)

  • 김찬수;윤길림;박흥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5-11
    • /
    • 2004
  • 오랜 기간동안 자연 상태로 퇴적되어 있는 퇴적토를 펌프준설의 방법으로 준설할 때, 안정상태의 퇴적토는 준설되는 과정에서 교란되어 침강을 촉진시키는 응결제 및 응집제를 투입하더라도 자연 상태의 퇴적토와 준설토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체적변화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동해안 속초에 위치한 석호인 영랑호의 준설토를 대상으로 실내실험을 하였으며, 준설토의 함니율 변화, 응집제 및 응결제 투입량 변화에 따른 체적변화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최적 약품첨가의 경우 준설토의 체적변화율은 평균 1.69배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The avifauna at Chunsoo bay (Seosan A and B area)

  • Cho, Sam-Ra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3-170
    • /
    • 2003
  • Seosan A, B area is located on 36°42' of north parallel and 126°27' of east longitude. It consisted of broad artificial lakes and reclaimed agricultural lands; there is Ganwalho lake in A area and Bunamho lake in B area. Total birds surveyed four times in 2001 at the A area are 105,580 of 11 orders, 28 families, 89 species. Among them, resident species were 21 species including Pica pica. Twenty species including Cuculus canorus were summer migrants, and 30 species including Platalea leucorodia were winter migrants. Seventeen species including Limosa limosa were occasionally species. And Rostratula benghalensis was an unconfirmed species. Species diversity index (H') was 0.72; species equally common index (e/sup H'/) was 2.06. In January, maximum observed 102,121 individuals. However in July 52 species were observed most variously. There were total 81,152 birds observed with 11 orders, 22 families, and 71 species at the B area. Fifteen species including Falco tinnumculus were resident species. Summer migrants were 18 species including Ixobychus sinensis. Winter migrants were 25 species including Ciconia boyciana. Thirteen species including Tringa glareola were occasionally species. Species diversity index (H') was 0.281; species equally common index (e/sup H'/) was 1.325. In January, maximum observed 78,433 individuals. However in Silly 42 species were observed most variously.

인공위성 자료와 AERONET 관측자료를 이용한 러시아산불 시 발생한 에어로졸의 중장거리 모니터링 (Russian Forest Fire Smoke Aerosol Monitoring Using Satellite and AERONET Data)

  • 이권호;김영준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7-450
    • /
    • 2004
  • Extensive forest fire activities occurred across the border in Russia, particularly east of Lake Baikal between the Amur and Lena rivers in May 2003. These forest fires released large amounts of particulates and gases into the atmosphere, resulting in adverse effects on regional air quality and the global radiation budget. Smoke pollution from the Russian fires near Lake Baikal was transported to Korea through Mongolia and eastern China. On 20 May 2003, a number of large fires were burning in eastern Russian, producing a thick, widespread pall of smoke over much of Northeast Asia. In this study, separation technique was used for aerosol retrieval application with imagery from MODIS aboard TERRA satellites. MODIS true-color image shows the location of fires and the grayish color of the smoke plumes over Northeast Asia. Aerosol optical thckness (AOT) retrieved from the MODIS data were compared with fire hot spots, ground-based radiation data and TOMS -based aerosol index data. Large AOT, 2.0-5.0 was observed on 20 May 2003 over Korea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ng range transport of smoke aerosol plume from the Russian fires, while surface observed fine mode of aerosol size distribution increased.

국내 하천에 서식하는 외래종 틸라피아(tilapia)의 잠재적 서식처 확산 (Dispersal of potential habitat of non-native species tilapia(Oreochromis spp.) inhabiting rivers in Korea)

  • 왕주현;한중수;최준길;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41권2호
    • /
    • pp.101-108
    • /
    • 2023
  • 본 연구는 온배수가 유입되는 대구시 달서천을 대상으로 틸라피아 산란장의 물리적 서식 환경을 파악하고, 나일틸라피아와 블루틸라피아의 국내·외 분포 및 수온에 따른 잠재적 서식 가능지역을 예측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일틸라피아와 블루틸라피아의 국외 서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원개체군이 서식하는 국가를 중심으로 많은 국가와 섬 지역에 도입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대적으로 추운 지역인 캐나다, 영국, 러시아 등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곡교천, 달서천, 금호강과 낙동강 일대에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온배수 유입으로 인해 겨울철에도 높은 수온을 유지하고 있는 하천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틸라피아 개체군이 서식 가능한 지역은 영산강 하류와 낙동강 하류에 국한되어 있으나, 2050년에는 기온상승으로 인해 잠재적 서식 가능지역이 금강, 만경강, 동진강, 섬진강, 태화강, 형산강과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과 탐진호, 나주호, 주암호, 상사호, 진양호, 주남저수지, 회동저수지 등 정수역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서식 가능지역이 확대되고 틸라피아가 산란할 수 있는 서식처가 증가함에 따라 틸라피아 개체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서식처 교란의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잠재적 위해종이며, 기온상승으로 인해 향후 국내 여러 하천에서 서식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틸라피아 개체군 관리를 위해 틸라피아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는 하천을 대상으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위해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개체군 확산 방지를 위한 법적·제도적인 규제가 필요하며, 물리적인 포획, 온배수 수온 감소를 통한 제거 등 다양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틸라피아 개체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서식처 교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해안의 석호에서 통발의 분포, 생활사 그리고 생장 특성 (Distribution, Life Histor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Utricularia japonica Makino in the East Coastal Lagoon, Korea)

  • 정연인;홍보람;김영철;이규송
    • 생태와환경
    • /
    • 제49권2호
    • /
    • pp.110-123
    • /
    • 2016
  • 천진호에서 희귀식물인 통발의 입지요인, 생활사, 식물 계절 현상, 생장 및 공간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발의 서식지 7곳을 확인하였다. 통발은 결빙기에 월동아로 바닥에 가라앉아 있다가 이듬해 해빙기에 수면 위로 떠올라 발아하였다. 발아한 월동아는 하나의 줄기로 자라다가 분지하였고, 10월부터 줄기가 분해되면서 새로운 월동아를 형성하였다. 개화기는 7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지속되었다. 개화율은 6.3%로 상당히 낮았다. 통발은 4월부터 6월까지 빠른 생장률을 보였고, 8월에는 최대 생육기를 보였으며, 10월에는 최대로 생장하였다. 통발은 개방된 수역의 수심 50 cm~150 cm에서 큰 개체들이 밀생하였다. 천진호의 통발은 수온, 빛 및 양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식물에 의해 부착과 생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환경과 다른 생물요인들이 통발 개체군의 시공간적 분포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간섭이 큰 천진호에서 통발 개체군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천진호의 환경을 통발이 요구하는 최적 조건으로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천진호의 통발 개체군을 보전하고 관리하는 데 그리고 희귀식물인 통발 개체군의 복원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동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East River, Korea)

  • 조용철;신윤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21-33
    • /
    • 2012
  • 동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8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22개 지점에서 총 4 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강수계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59종으로서 7강 58속 113종 21변종 25미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조강이 90종류로 전체 중 56.6%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녹조강이 47종류로 29.6%의 점유율을 나타냈으며 남조강이 17종으로 10.7%, 유글레나강이 2종으로 1.3%, 황색편모조강, 갈색편모조강, 와편모조강이 각각 1종 0.6%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모든 시기 20정점 이상에서 출현한 보편종은 Cocconeis placentula, Cymbella minuta, Diatoma vulgare, Melosira varians, Navicula cryptocephala, Scenedesmus acuminatus v. acuminatus 등 6종이었다. 현존량은 86 cells $mL^{-1}$~1,467 cells $mL^{-1}$의 범위로 나타났고, 점유율이 10% 이상인 우점종은 Achnanthes minutissima,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Cocconeis placentula, Coelastrum microporum, Cyclotella sp., Cymbella affinis, C. minuta, C. tumida, Diatoma vulgare, Fragilaria capucina, F. construens, F. crotonensis, Gomphonema affine, G. clevei, Melosira varians, Merismopedia elegans, Navicula cryptocephala N. pupula, Nitzschia tryblionella, Oscillatoria anna, O. limosa O. tenuis v. tenuis, Pediastrum duplex v. reticulatum, Phormidium tenue, Scenedesmus acuminatus v. acuminatus, S. acutus v. acutus, S. ecornis v. ecornis, S. quadricauda v. quadricauda, Spirogyra sp., Stigeoclonium sp., Synedra acus, S. ulna, Ulothrix sp. 등 34종이었는데, 가장 중요한 종은 90개 시료 중 52개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난 Cymbella minuta이었다 종다양성지수는 1.58~3.10, 균등도지수는 0.51~0.95, 우점도지수는 0.22~0.74의 범위로 연구지역이 상당히 안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상류정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는 도암호에서 나오는 방류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