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 and Geomorphic Changes of Natural Lakes in East Coast Korea

한반도 동해안의 자연호 분포와 지형 환경 변화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김남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이광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stribution of natural lakes including lagoonal lake(lagoon) and tributary dammed lake(tributary lake) and calculate the size, morphology in order to interpret time-serial change of lakes using methodology of remote sensing images(1990s), GIS and topographic maps(1920s) in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r. Analysis results show that in 1990s, there are 57 natural lakes, with the total size of $75.62km^2$ over size $0.01km^2$. marine-origin lagoons are 48 with total size of $64.85km^2$, composing 85% of total natural lake, and the largest lagoon is Beonpo in Raseon City. Tributary lakes have been formed by damming of tributary channels by fluvial sand bars from main stream, located nearby at coastal zone, similar to lagoon sites. Large tributary lake, Jangyeonho, is developed in lava plateau dissection valley of Eorang Gun, Hamnam Province. There are more distributed at Duman River mouth$\sim$Cheongjin City, Heungnam City$\sim$Hodo Peninsular and Anbyeon Gun$\sim$Gangreung City. Geomorphometrically, correlation of size to circumference is very high, but correlation of size to shape irregularity is very low. The direction of lagoonal coast, NW-SE and NE-SW are predominated due to direction of tectonic structure and longshore currents. The length of the river into lake are generally short, maximum under 15km, and lake size is smaller, degree of size decreasing is higher. Geomorphic patterns of the lake location are classified as coast-hill range, coastal plain, coastal plain-channel valley, coastal plain-hill range and channel valley-hill range. During from 1920s to 1990s, change with lake size decreasing is highest at coastal plain-channel valley, next is coastal plain. Causes of the size decreasing are fluvial deposition from upper rivers and human impacts such as reclamation.

본 연구는 지형도(1920년대)와 위성사진(1990년대)을 기초로, GIS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한반도 동해안의 석호와 하적호를 포함한 자연호의 분포, 면적 및 형상, 시계열적 변화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1990년 현재, 동해안에 확인된 면적 $0.01km^2$이상의 자연호는 총 57개이며, 총면적은 $75.62km^2$이다. 석호의 수는 총 48개, 총 면적은 $64.85km^2$로, 자연호의 85%를 차지하며, 가장 큰 것은 라선시의 번포이다. 하적호는 본류의 퇴적물에 의해 해안에 인접한 지류들이 본류 퇴적물에 의해 막힌 것으로, 석호들과 비슷한 위치에 존재하며, 이중 기장 큰 것은 함경남도 어랑군의 장연호로 용암대지 개석곡에 발달한 하적호이다. 동해안에서도 두만강 하구$\sim$청진, 흥남$\sim$호도반도, 안변$\sim$강릉 해안에 석호의 분포가 높다. 지형태적 관련성을 보면, 자연호의 면적과 둘레 사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며, 면적과 형상도 사이에는 상관도가 낮다. 석호가 위치한 지역의 해안선은 지체구조와 연안류의 영향을 받아, 북서-남동, 북동-남서 계열이 우세하다. 호수로 유입하는 하천은 최대 길이가 대체로 15km 미만이며, 유입 하천에 의한 호수 면적의 감소는 면적이 좁을수록 뚜렷하다. 자연호가 위치한 지역의 지형은 해안-구릉, 해안평야, 해안평야-하곡, 해안평야-구릉, 하곡-구릉으로 구분되며, 1920년과 1990년 사이의 시계열적인 면적 감소는 해안평야-하곡의 지형에서 가장 심하고, 다음으로 해안평야이다. 면적 감소는 하천과 사구로부터의 퇴적물 유입에 의한 건륙화와 인위적인 호안 매립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