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 Korea Ba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4초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ivalve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Cheju Island coasts, Korea

  • Silina, A.V.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7-234
    • /
    • 2010
  • A comparative analysis of size and age structures of coastal subfossil shell assemblages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open and protected bays of Cheju Island (Korea) was carried out. On the whole, taking into account the damage of small fragile shells, size and age structures of the shell assemblages corresponded to the classical curve of bivalve population distribution when its mortality diminishes with age increase up to a certain threshold. It was found that shell samples from open bays of the western, southern and eastern coasts included shells of smaller and younger individuals (L ${\leq}$ 40 mm, ${\leq}$ 4 years) than samples from the eastern protected bay (L ${\leq}$ 54.5 mm, ${\leq}$ 6 years). Evidently, strong wave activity was the reason for a short life-span of the clams from the open areas. Growth was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by annual growth rings on the shells. Growth rates of the clams from the various coasts of Cheju Island differed. However, growth rates of the clams from different biotopes at the same (eastern) side of the Island were similar. Shell height/length and width/length ratio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lam age increase. Most likely, the reason for such shell shape alteration is that more conglobated individuals more survive being more energy-optimal than oblong specimens.

황해 가로림만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이동경로 (Transport Paths of Surface Sediment on the Tidal Flat of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 신동혁;이희일;한상준;오재경;권수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2호
    • /
    • pp.59-70
    • /
    • 1998
  • 가로림만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직변수(평균입도, 분급도 및 왜도)를 기초로 '이차원 퇴적물 이동벡터모델'을 이용하여 퇴적물의 이동방향을 추정하였고 이에 따른 퇴적물의 이동현상을 해석하였다. 채취된 퇴적물은 각 정점마다 전체와 조립질(< 4.5 ${\phi}$)로 구분하여 각각의 퇴적물이동방향(15 경우)을 구하였고, 이 방향과 지형, 층면형태(bedform)의 정밀측정, 그리고 여러 번의 현장관찰을 기초로 결정된 퇴적물의 실제이동방향과 비교하였다. 퇴적물의 실제이동방향과 가장 일치하는 이동벡터는 조립질 퇴적물에서 퇴적물 이동방향으로 퇴적물이 세립해지고, 분급이 좋아지며 왜도가 감소하는 경우와 퇴적물이 조립해지고, 분급이 좋아지며 왜도가 증가하는 경우를 조합한 M 경우이다. 이는 조립질 퇴적물이 연구지역의 퇴적물이동에 주요 구성성분이며, 세립질(> 4.5 ${\phi}$)을 포함하는 전체 퇴적물보다 퇴적기작이 더 단순하므로 '퇴적물이동벡터모델'과 잘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체 퇴적물과 조립질 퇴적물 모두 퇴적물의 이동방향으로 분급도가 좋아지는 경향이 뚜렷한데, 이는 퇴적기작의 복잡성과 관계없이 연속적인 수리에너지는 퇴적물의 분급을 더 좋게 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또한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사주조간대의 조립질퇴적물의 이동은 남북방향으로 놓여 있는 만 입구 동주수로를 통하여 저조선에서 상부조간대로 이동하면서 퇴적되었고, 일부는 동주수로를 지나 남수로로 공급되어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북쪽지역으로 이동 퇴적되었음이 밝혀졌다. 조립질 퇴적물은 사주에 퇴적되지만, 일부는 북수로를 따라 썰물때 다시 만밖으로 나가는 것으로 퇴적물이동벡터모델이나 퇴적물 실제이동방향의 관찰 모두에서 증명되었다. 따라서 북수로 및 북동쪽 뻘질모래지역은 만 밖에서 운반된 부유퇴적물과 조립퇴적물이 동시에 퇴적되는 지역이며, 지역적으로 조립질과 세립질의 분리퇴적현상이 때때로 관찰되기도 하는 수리역학적 퇴적물 혼합지역이다. 사주의 육지이동과 북수로 발달현상은 조립퇴적물이 만 밖이나 만 입구 등 근원지(장안퇴를 포함한 사퇴)로부터 더 많이 유입되었거나 혹은 상대적 해수면의 상승의 결과로 보인다.

  • PDF

반구형 통발에 대한 물레고둥 (Buccinum striatissimum)의 망목 선택성 (Mesh selectivity of a dome-shaped pot for finely-striate buccinum Buccinum striatissimum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박창두;배재현;조삼광;김인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3호
    • /
    • pp.284-291
    • /
    • 2014
  • Finely-striate buccinum Buccinum striatissimum, a species of whelks, is caught mainly by pot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In order to determine the size selectivity of pot for the species, comparative fis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near Yeongil Bay from June to September in 2003 using the dome-shaped pots with different five mesh sizes (17.1, 24.8, 35.3, 39.8, and 48.3 mm). The parameters of logistic equation were estimated by the SELECT (Share Each Length's Catch Total) method based on a multinomial distribution. The model with the estimated split parameter was found to fit the catch data best. The master selection curve was estimated to be s (R)=exp (13.044R-16.438)/[1 + exp (13.044R-16.438)], where R is the ratio of shell height to mesh size. The relative shell height of 50% retention was 1.260, and the selection range was 0.168. Enlargement in mesh size of the pot allows more small-sized whelks to escape.

한반도 연안역 표층퇴적물 내 총 수은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Total Mercury in Korean Coastal Sediments)

  • 조동진;최만식;김찬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2호
    • /
    • pp.76-90
    • /
    • 2018
  • 한반도 연안역 표층퇴적물 내 수은의 농도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은의 배경농도를 산정하고 오염도를 평가하였으며, 분포를 조절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표층퇴적물 내 수은 농도는 남해연안의 진해-마산만, 동해연안의 울산-온산만, 영일만에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퇴적물은 Cs와 유사한 분포를 보이며 $0.21{\sim}39.5{\mu}g/kg$ ($13.6{\pm}7.80{\mu}g/kg$) 사이의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국내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과 비교한 결과, 전 연안의 표층퇴적물 (n=282)의 8 %가 주의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동해연안의 온산항 인근 해역 (n=6)에서 관리기준을 초과하였다. Cs에 대한 선형회귀선의 잔차분석을 통해 산정한 배경농도 (2.06Cs+1.75)를 이용하여 수은 농축도를 산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농축 정도에 따른 조절요인을 살펴보았다. 수은 농축인자 <1.69 범위에서는 퇴적물의 입도, 1.69~4.03 범위는 Fe 산화수산화물 및 유기탄소가 좋은 관계성을 보여 주요 조절요인으로 판단되었다. 4.03~74.9 범위는 다른 금속들 (Cu, Zn, Pb)과 좋은 관계성을 보였으며, 동해연안의 고성, 속초, 울진 연안에서는 유기탄소가 주요 조절요인이었고, 영일만과 울산-온산만 (n=30)에서는 주변에 위치한 중화학 공업단지의 영향으로 금속입자의 직접적인 유입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남해연안의 진해-마산만 시료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황화물 형성과 관계하여 수은 농축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반도 주변의 해수 고유광특성과 해색 알고리즘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herent Optical Properties and Ocean Color Algorithms Around the Korean Waters)

  • 민지은;유주형;박영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3-490
    • /
    • 2015
  • 우리나라 주변을 한 시간 간격으로 관측하고 있는 GOCI의 관측영역 안에는 매우 맑은 대양의 성격을 띠는 동해부터 세계적인 큰 강인 양쯔강 하구의 극심하게 탁한 해역까지 매우 폭 넓은 해수 환경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해수 구성 성분인 식물 플랑크톤, 부유물질, 용존유기물질의 흡광 특성자료를 이용하여 각 해역별 해수 환경의 차이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 2014년까지 6년 동안 한반도 주변 해역의 총 959개 정점에서 얻어진 해양 광학 자료 및 해양 환경 자료가 사용되었다. 그 결과 동해, 남해, 동중국해, 황해 외해역은 DOM과 식물 플랑크톤의 기여도가 높은 비슷한 분포 패턴을 나타냈고, 이와는 달리 목포 및 경기만 연안 해역은 부유물질과 용존유기물질의 기여도가 높은 분포 패턴을 보였다. 클로로필 및 부유물질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검증해 본 결과, 클로로필은 주로 과대 추정되고, 부유물질은 주로 과소 추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큰 오차의 경우 클로로필, 부유물질, 용존유기물질 중에서 부유물질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a_{SPM}$의 기여도가 60% 이상으로 높을 때 연안 해역에서 나타났다.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개조개의 생식생물학적 연구 (Reproductive Biology of the Purplish Washington Clam, Saxidomus prupuratus in the East China Sea)

  • 김영섭;김영혜;김종빈;장대수;이동우;강현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1-265
    • /
    • 2010
  • 개조개 표본은 동중국해의 진해만에서 잠수선에 의해 어획된 것을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20개체씩 채집된 것이다. 생식소 발달단계는 비활성기 (11월-12월), 초기활성기 (11월-이듬해 1월), 후기활성기 (12월-이듬해 2월), 성숙기 (2월-5월과 10월), 산란기 (4월-12월) 등 5단계로 구분되었다. 주산란시기 6월부터 8월까지이었다. 성숙각장은 71-85mm로 추정되었다. 암컷과 수컷 성비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므로 1:1이었다.

저서어자원량의 음향추정에 있어서 해저검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in Bottom Detection for Hydroacoustic Assessment of Demersal Fish)

  • 황두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186-194
    • /
    • 2000
  • 계획어군심지기를 이용하여 자원량을 추정할 경우 해저검출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어군이 해저에 가까이 분포하면 할수록, 해저와 어군을 분리하여 책분하는 것은 자원량의 추정정도의 신뢰도를 좌우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해저검출법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해저검출법을 개발하여, 그 유효성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에코레벨의 최대변화점을 이용하여 해저검출을 행한 경우 고정도로, 나아가 레벨 변동과 무관하여 안정한 해저검출법으로서 유효하다. 2) 전압최대변화율법에 의하면, 해저 오프셋는 해저검출위치로부터 0.45m이내에서 설정가능하고, 펄스파형, 해저지형과 음향 빔 등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 PDF

Nearshore waves and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along Rameshwaram Island off the east coast of India

  • Gowthaman, Rajamanickam;Kumar, V. Sanil;Dwarakish, Gowdagere Siddaramaish;Shanas, P.R.;Jena, Basanta Kumar;Singh, Jai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7권6호
    • /
    • pp.939-950
    • /
    • 2015
  • Wave-induced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LS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ynamics of the Dhanushkodi sandspit located southeast of Rameshwaram. The LST along the Dhanushkodi coast is studied based on data collected simultaneously in Gulf of Mannar (GoM) and Palk Bay (PB) using directional waverider buoys. The numerical model REF/DIF1 was used to calculate the nearshore waves and the LST rate was estimated using three different formulae. The model validation was done based on the measured nearshore waves using InterOcean S4DW. Numerical model LITPACK was also used for simulating non-cohesive sediment transport and the LITLINE module was used to study the shoreline evolution over 5 years. Low net annual LST along PB (${\sim}0.01{\times}10^6m^3$) compared to the GoM region ($0.3{\times}10^6m^3$) were due to the weak waves. Accretion in the region led to growth of the Dhanushkodi sandspit by 65 m during the period 2010-2015.

From Zomia to Holon: Rivers and Transregional Flows in Mainland Southeastern Asia, 1840-1950

  • Iqbal, Iftekhar
    • 수완나부미
    • /
    • 제12권2호
    • /
    • pp.141-155
    • /
    • 2020
  • How might historians secure for the river a larger berth in the recent macro-historical turn? This question cannot find a greater niche than in the emerging critique of the existing spatial configuration of regionalism in mainland Southeastern Asia. The Brahmaputra, Irrawaddy, Salween, Mekong and Yangtze rivers spread out like a necklace around Yunnan and cut across parts of the territories that are known as South, Southeast and East Asia. Each of these rivers has a different topography and fluvial itinerary, giving rise to different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trajectories. Yet these rivers together form a connected "water-world". These rivers engendered conversations between multi-agentive mobility and large-scale place-making and were at the heart of inter-Asian engagements and integration until the formal end of the European empires. Being both a subject and a sponsor of transregional crossings, the paper argues, these rivers point to the need for a new historical approach that registers the 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outheast Asian massif through to the expansive plain land and the vast coastal rim of the Bay of Bengal and the China Seas. A connection that could be framed through the concept of Holon.

인도양 해수면 온도와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관계에 대한 장주기 변동성 (The Interdecadal Vari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Indian Ocea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East Asian Summer Monsoon)

  • 김원모;전종갑;문병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5-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변동성과 1970년 중 후반 이후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전반기의 인도양 해수면 온도는 동아시아 여름강수편차(EASRA), 북서태평양 몬순지수(WNPMI)와 상관관계가 거의 없었지만 후반부에서는 인도양 전 부분에 걸쳐 상관관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인도양 해수면 온도와 동아시아 몬순과의 상관성 관계는 봄철과 여름철 각각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봄철의 경우에는 적도 인도양을 중심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인 반면 여름철의 경우에는 벵갈만 근처의 인도양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수십년 주기의 변동성은 ENSO의 변동성보다 동아시아 여름 강수편차에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따라서 ENSO보다도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변동성이 동아시아 여름몬순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수십년주기의 변동성 차이(후반기 해수면 온도와 전반기 해수면 온도의 차이)를 모델의 강제력으로 주고 AGCM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모델 실험 결과 실제 전 후반기 강수량의 차이 패턴인 동아시아 북부의 강수 감소, 한반도와 일본 남부의 강수 증가, 중국 남부의 강수 증가의 패턴이 보였다. 특히 8월의 북서태평양고기압의 확장으로 인한 강수의 증가는 실제 기후변화 차이를 나타낸다. 인도양 해수면 증가로 인한 모델상에서의 대기 순환은 벵갈만-인도양과 북서태평양의 상승기류 중심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해주며 북서태평양에는 고기압성 기류를 강화시키고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저기압성 기류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승기류 중심을 북쪽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증가 효과는 동아시아 지역과 북서태평양 지역의 반대위상의 변화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양지역별 해수면 온도의 민감성 실험에서는 적도인도양의 강제력의 경우에 북서태평양 상승기류을 강화하여 동아시아 여름몬순에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