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stage treatment

검색결과 1,317건 처리시간 0.035초

춘계답리작 토양에서 두과의 질소고정과 이의 화본과로의 이동 (Nitrogen Fixation of Legumes and Transfer to Grasses in Spring Paddy Soil)

  • 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7-172
    • /
    • 2007
  • 분뇨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질소고정을 통해 동반하는 작물에 질소를 고정하고 이동하는 두과와 화본과의 혼파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혼파조합이 춘계논토양에서 두과작물의 질소고정과 이의 이동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처리는 난괴법 3처리, 3반복이었으면 세 개의 다른 혼파처리는 호밀+벳치, 이탈리안라이그래스+크림손클로버 그리고 연맥+완두였다. 충남 서천의 논토양을 포트에 채워 시험을 하였다. 호밀과 헤어리벳치구는 수원의 진흥청 포장에서 이식하였고 나머지 두 처리는 3월 초에 각기 다른 화본과 두과의 비율로(이탈리안라이그래스:크림손클로버=7:3, 연맥:완두=6:4)포트에 파종하였다. 99.8%의 질소동위원소{$(^{15}NH_4)_2SO_4$ solution at. $99.8\;atom%^{15}N$}는 ha당 2kg의 수준으로 각 포트에 시용하였는데 호밀과 벳치는 4월 6일 그리고 나머지 두 처리는 4월 16일에 처리하였다. 각 포트에서 출수기에 수확하여 화본과와 두과로 분리한 다음 총질소와 $^{15}N$값은 서울대학교부설 나이샘(NICEM)의 매스 스팩트로메트리로 분석하였다. 호밀+헤어리벳치, 이탈리안라이그래스+크림손클로버 그리고 연맥+완두 처리의 건물함량은 각각 6,607kg, 3,212kg 그리고 4,312kg 였다. 공중질소에서 기인한 질소의 비는 0.73(호밀+벳치), 0.42(이탈리안라이그래스+크림손클로버) 그리고 0.93(연맥+완두)였다. 두과에서 화본과로의 질소이동비율은 차이법에서 61%에서 4% 사이였고, 동위원소법에서는 12%에서 -32% 범위였다.

맹출장애를 가진 상악 제1대구치의 치료 (TREATMENT OF MAXILLARY FIRST MOLARS WITH ERUPTION FAILURES)

  • 권순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1-287
    • /
    • 2009
  • 유치열이 혼합치열기를 거쳐 영구치열로 교환되는, 소아 및 청소년기에서는 맹출장애가 흔히 관찰된다. 이로 인해 치아의 맹출시기를 놓치게 되면 심미적 문제 인접치아의 전위 및 치근흡수, 부정교합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치아 중 제1대구치는 특히 교합 및 발육에 중요하게 관여하며 기능적, 형태적으로 건전한 교합의 발육 및 유지에 필수적인 치아이다. 그러므로 이들 이상증례를 조기에 파악하고 문제점에 대응하는 것은 보다 적절한 교합관리에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장애는 크게 맹출지연, 매복, 일차정체 및 이차정체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매복의 원인 중 물리적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우선 이를 제거하고 치아발육 상태에 따라 제거 후 관찰, 외과적 노출 또는 교정적 견인 등으로 치료가능하며 이소맹출에 의 한 매복일 경우 brass wire, pendulum applinace, 제2유구치 발치후 공간 유지 및 공간확보 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혼합치열기의 환아로서 맹출장애를 보이는 상악제1대구치의 진단 및 그에 따른 치료를 통해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40대 이후에 발생한 골육종 (Osteosarcoma in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 이승구;우영균;강용구;송석환;정양국;이안희;유진영;정도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9-177
    • /
    • 1999
  • Osteosarcoma in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are rare, however they have different clinical,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from those of younger patients. Sometimes accurate histologic diagnosis is not easy, which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correct surgical treatment and appropriate chemotherapy. Since January 1995, 11 patients with osteosarcoma occurring in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have been diagnosed, treated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6 months. In contrast to osteosarcom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nly 4 cases(36.4%) were conventional types, while the others included 2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like types, 2 small cell types, 2 periosteal osteosarcomas and 1 giant cell-rich type. Seven cases showed purely osteolytic or predominantly osteolytic bony lesions and 8 were in Enneking stage IIB. Performed surgical treatments included 2 amputations, 6 wide resections and reconstructions, and one curettage and autogenous bone graft. In the remaining 2 cases, definitive surgical treatments included not carried out because of old age, multifocal involvement or poor medical tolerance. Neoadjuvant and adjuvant chemotherapies were performed in 9 of 11 patients. At last follow-up, there were 6 continuously disease-free survivals, 3 alive with diseases and 2 died of diseases. The overall cumulative 4-year survival rate calculated using Kaplan-Meier's productlimit method was 59.3%. For improved oncologic outcomes and survivals, early and accurate diagnosis, surgical treatment with adequate margin and neoadjuvant and adjuvant chemotherapy will be necessary.

  • PDF

Embryonic Zebrafish Model - A Well-Established Method for Rapidly Assessing the Toxicity of Homeopathic Drugs - Toxicity Evaluation of Homeopathic Drugs Using Zebrafish Embryo Model -

  • Gupta, Himanshu R;Patil, Yogesh;Singh, Dipty;Thakur, Mansee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9-328
    • /
    • 2016
  • Objectives: Advancements in nanotechnology have led to nanoparticle (NP) use in various fields of medicine. Although the potential of NPs is promising, the lack of documented evidence on the toxicological effects of NPs is concerning. A few studies have documented that homeopathy uses NPs. Unfortunately, very few sound scientific studies have explored the toxic effects of homeopathic drugs. Citing this lack of high-quality scientific evidence, regulatory agencies have been reluctant to endorse homeopathic treatment as an alternative or adjunct treatment. This study aimed to enhance our insight into the impact of commercially-available homeopathic drugs, to study the presence of NPs in those drugs and any deleterious effects they might have, an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Ps in zebrafish embryos (Danio rerio). Methods: Homeopathic dilutions were studied using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ith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 For the toxicity assessment on Zebrafish, embryos were exposed to a test solution from 4 - 6 hours post-fertilization, and embryos/larvae were assessed up to 5 days post-fertilization (dpf ) for viability and morphology. Toxicity was recorded in terms of mortality, hatching delay, phenotypic defects and metal accumulation. Around 5 dpf was found to be the optimum developmental stage for evaluation. Results: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clusively prove the presence of NPs in all high dilutions of homeopathic drugs. Embryonic zebrafish were exposed to three homeopathic drugs with two potencies (30CH, 200CH) during early embryogenesis. The resulting morphological and cellular responses were observed. Exposure to these potencies produced no visibly significant malformations, pericardial edema, and mortality and no necrotic and apoptotic cellular death. Conclusion: Our findings clearly demonstrate that no toxic effects were observed for these three homeopathic drugs at the potencies and exposure times used in this study. The embryonic zebrafish model is recommended as a well-established method for rapidly assessing the toxicity of homeopathic drugs.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처리(處理)가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과 대두(大豆)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il Conditioner Treatments on the Chang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Soybean Yields)

  • 조인상;허봉구;류관식;엄기태;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9-34
    • /
    • 1987
  •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가 토양(土壤) 입단형성(粒團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토양(土壤) 입단(粒團)의 특성(特性)이 토양(土壤) 및 작물생육(作物生育)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PAM 및 Bitumen 을 사양토(砂壤土) 및 미사질(微砂質) 식양토(埴壤土)에 각각(各各) 0.5%, 1%씩 처리(處理)하여 입단(粒團)의 안정성(安定性), 습윤각(濕潤角), 평균(平均) 중량직경(重量直徑), 통기성등(通氣性等)을 조사(調査)하고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를 미사질(微砂質) 식양토(埴壤土) pot에 각각(各各) 0.5%, 1%씩 표면(表面) 처리(處理)하여 대두(大豆) 생육(生育)과 토양(土壤) 특성(特性)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1.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PAM 및 Bitumen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안정성(安定性)은 현저(顯著)히 증대(增大)되었으며 동일농도(同一濃度)에서 PAM은 사양토(砂壤土)에서 Bitumen은 미사질(微砂質) 식양토(埴壤土)에서 더 효과적(效果的) 이었다. 2. PAM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토양(土壤)의 습윤각(濕潤角)은 크게 변화(變化)되지 않았으나 Bitumen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토양(土壤)의 소수성(疎水性)은 크게 증대(增大)되었다. 3. PAM 및 Bitumen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통기성(通氣性) 및 수분(水分)의 침투속도(浸透速度)가 증대(增大)되고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많아졌다. 4. 대두(大豆)의 생육(生育)은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무처리(無處理)보다 초기(初期)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고 수량(收量)은 6-13% 증수(增收) 되었다.

  • PDF

보리 유묘(幼苗)에 있어서 Abscisic Acid (ABA) 유도체(誘導體)가 생장(生長) 및 Peroxid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bacisic Acid(ABA) and its Analogues on Growth and Peroxidase Activity in Barley (Hordem vulgaris L.) Seedling)

  • 배경숙;이상갑;강상재;박창동;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99-108
    • /
    • 1992
  • 천연형(天然形) ABA가 갖는 생물(生物) 활성(活性)을 향상(向上)시키기 위하여 합성(合成)된 ABA 유도체(誘導體)들의 생물활성(生物活性)과 아울러 초기생장(初期生長)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26{\pm}1^{\circ}C$, 암실(暗室)에서 7일간(日間) 생장(生長)시킨 보리 유묘(幼苗)의 지상부(地上部) 신장(伸張)은 3.2ppm의 (${\pm}$)-ABA, 1.2ppm의 (S)-(+)-ABA, 0.6ppm의 ABA-methyl cinnamate ester 화합물(化合物)(AC) 및 0.08ppm의 ABA-umbelliferone ester 화합물(化合物)(AU)에서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80% 이상의 저해(沮害)를 보여 (S)-(+)-ABA가 racemic ABA보다 약(約) 3배(倍), AC와 AU는 (S)-(+)-ABA보다 각각(各各) 약(約) 2.5배(倍), 16배(倍) 더 강(强)한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발아(發芽) 후(後) 생장(生長)이 진행(進行)됨에 따른 보리 유묘(幼苗)의 지상부(地上部)의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는 대조구(對照區)에서는 큰 변화(變化)는 없었으나, ABA와 그 유도체(誘導體)를 처리(處理)한 보리 유묘(幼苗)의 지상부(地上部)에서는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생장(生長) 저해(沮害) 활성(活性)이 강(强)하게 나타난 고농도(高濃度) [3.2ppm의 (${\pm}$)-ABA, 1.2ppm의 (S)-(+)-ABA, 0.6ppm의 AC 및 0.08ppm의 AU]의 처리(處理)가 저농도(低濃度) [3.0ppm의 (${\pm}$)-ABA, 1.0ppm의 (S)-(+)-ABA, 0.4ppm의 AC 및 0.06ppm의 AU]의 처리(處理)보다 더 높은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를 나타내었으며, ABA 유도체들은 ABA보다 저농도(低濃度)에서 더 높은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를 나타내었다.

  • PDF

야외 페인팅 조각의 보존처리를 위한 기초조사 - 니키 드 생팔 '검은 나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ervation of Outdoor Painted Sculptures: Niki de Saint Phalle's 'Black Nana')

  • 권희홍;김정흠;한예빈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3-343
    • /
    • 2016
  • 현대 미술품 중 페인팅 된 야외 조각품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존처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은 초기단계이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야외조각공원에 전시되었던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의 '검은 나나(Black Nana, 1964년)'는 야외전시로 인하여 작품 표면 페인트층의 박락 및 열화가 진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보존처리가 요구되었다. 보존처리를 시행하기에 앞서 '검은 나나'에 사용된 페인트의 성분 및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면관찰, FT-IR, Raman, Py-GC/Mas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해외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검은 나나'에 사용된 페인트 종류 및 색상은 해외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손상 유형 역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검은 나나' 보존처리에 필요한 재료선정 및 보존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보존처리 시 작가의 재단 및 어시스턴트 등과의 협력을 통해 작가의 제작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작품의 원본성을 존중한 보존처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mydomonas reinhardtii의 냉해 초기과정에 관한 기작론적 연구 (A Mechanistic Study on the Early Stage-Events Involved in Low Temperature Stress in Clamydomonas reinhardtii)

  • 조현순;김창숙;정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33-440
    • /
    • 1994
  • 상온에서 배양된 녹색조류 Clamydomonas reinhardtii를 $5^{\circ}C$의 저온에 세워두었을 때 세포내에는 괄목할 만한 pyruvate의 축적이 일어났다. 그러나 저온처리된 세포를 다시 상온으로 옮기면 세포내 pyruvate 수준은 감소하기 시작하며 이에 수반하여 superoxide radicals$(O_2^-)$의 발생수준이 증가하였다. 일정기간 후 최고치에 도달한 $O_2^-$ 수준은 다시 비교적 빠르게 떨어지기 시작하였는데, 이때를 전후하여 세포내 superoxide dismutase(SOD)가 현저하게 활성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벼의 냉해와 관련하여 얻었던 기존(본 연구실)의 관찰 사실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서 고등식물이나 조류가 공히 냉해의 초기과정에 관한한 동일한 기작의 지배를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저온처리에 의해 야기된 SOD의 활성 증가가 대부분 Mn-SOD의 활성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Mn-SOD는 세포 소기관 중 미토콘드리아에만 존재하므로, 이러한 관찰은 독성이 큰 산소화학종이 과생성되는 부정적 상황 즉 냉해유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항산소성 효소가 냉해의 초기과정이 진행되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유도된다는 개념과 부합된다.

  • PDF

수분 부족 스트레스 처리시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의 반응 (Response of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 in Lettuce (Lactuca sativa L.) Leaves Subjected to Water Deficit Stress)

  • 강상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3-282
    • /
    • 2008
  • 수분 공급을 제한하여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상추식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의 활성도, 엽록소 함량, 과산화수소의 함량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생육배지의 수분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식물체내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R^2$=0.8851)하였으며, 수용성단백질 함량은 점차 감소($R^2$=0.9826)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엽록소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공시작물에서의 함량이 정상 생육시 보다 그 함량이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엽록소 a와 엽록소 b함량 변화도 총 엽록소의 함량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총 엽록소에 대한 카로티노이드의 비율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식물에서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정상 생육 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형인 디하이드로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초기에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MDHAR의 활성도는 사이토졸(cytosolic) 분획과 엽록체(chloroplastic) 분획에서 공히 크게 증가하였으며 MDHAR의 mRNA 전사 정도도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수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도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R^2$=0.9937과 0.8645)되어 수분 부족 스트레스로 나타나는 요인들과 MDHAR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함유황(含硫黃) 농약(農藥)이 토양중(土壤中)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containing Pesticides on the Arylsulfatase Activity in Soil)

  • 이상팔;김장억;홍종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19-27
    • /
    • 1990
  • 농약(農藥)이 토양환경중(土壤環境中)의 생화학적(生化學的)인 변화과정중(變化過程中)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토양내(土壤內)에 요소시비(尿素施肥)의 유무(有無)에 따라 유황(硫黃)이 함유(含有)된 살균제(殺菌劑), 살충제(殺蟲劑),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하였을 때 토양내(土壤內)의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 모두 배양(培養) 7일(日)째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이 가장 높았고 배양기간(培養期間)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漸次) 낮아져 배양(培養) 42일(日)째는 처음 수준(水準)으로 되었으며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에서는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보다 전반적(全般的)으로 다소 높은 효소활성(酵素活性)을 나타내었다. 살균제(殺菌劑)인 captan, edifenphos, 살충제(殺蟲劑)인 acephate, 제초제(除草劑)인 asulam, bentazone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배양(培養) 7일(日)째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이 가장 높았으나 배양초기(培養初期)부터 배양(培養) 42일(日)까지 전반적(全般的)으로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저해(沮害)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며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에서도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살충제(殺蟲劑) EPN을 처리(處理)하였을때는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이나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 모두 배양초기(培養初期)에는 활성(活性)이 저해(沮害)되었으나 배양후기(培養後期)에는 오히려 활성(活性)이 촉진(促進)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