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screening

검색결과 871건 처리시간 0.037초

중·고등학생의 우울감 경험, 자살 생각 및 습관적 약물 경험과 구강 증상 경험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and habitual drugs and oral symptom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박지영;이종화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5-23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and habitual drug use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oral symptoms experienc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4,94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the screening and health survey at the 16th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2020). The SPSS statistical software (IBM SPSS 23.0 for Windows; IB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05. Results: Complex-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and habitual drug use and oral symptom experienc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bsence of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or habitual drug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al symptom experience. Conclusion: A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for early detection of oral symptoms and oral health promotion as well as strategies for practicing correct oral hygiene are required.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health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that students can use to grow healthy. A differentiated program on the topic of mental health promotion for each grade can be planned and its effects can be monitored.

Benefit of Using Early Contrast-Enhanced 2D T2-Weighted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mage to Detect Leptomeningeal Metastasis in Lung-Cancer Staging

  • Kim, Han Joon;Lee, Jungbin;Lee, A Leum;Lee, Jae-Wook;Kim, Chan-Kyu;Kim, Jung Youn;Park, Sung-Tae;Chang, Kee-Hyu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6권1호
    • /
    • pp.32-42
    • /
    • 2022
  •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benefit of 2D contrast-enhanced T2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CE-T2 FLAIR) image for detecting leptomeningeal metastasis (LM) in the brain metastasis work-up for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17 to July 2019, we collected all consecutive patients with lung cancer who underwent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including contrast-enhanced 3D fast spin echo T1 black-blood image (CE-T1WI) and CE-T2 FLAIR; we recruited clinico-radiologically suspected LM cases. Two independent readers analyzed the images for LM in three sessions: CE-T1WI, CE-T2 FLAIR, and their combination. Results: We recruited 526 patients with suspected lung cancer who underwent brain MRI; of these, we excluded 77 (insufficient image protocol, unclear pathology, different contrast media, poor image quality). Of the 449 patients, 34 were clinico-radiologically suspected to have LM; among them, 23 were diagnosed with true LM. The calculated detection performance of CE-T1WI, CE-T2 FLAIR, and combined analysis obtained from the 34 suspected LM were highest in the combined analysis (AUC: 0.80, 0.82, and 0.89, respectively). The inter-observer agreement was also the highest in the combined analysis (0.68, 0.72, and 0.86, respectively). In quantitative analyses, CNR of CE-T2 FLAI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E-T1WI (Wilcoxon signed rank test, P < 0.05). Conclusion: Adding CE-T2 FLAIR might provide better detection for LM in the brain-metastasis screening for lung cancer.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Redesigning Medical Examination Result Form Considering User's Cognition)

  • 김예림;백진경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35-244
    • /
    • 2018
  • 국민건강관리공단에서 행하고 있는 건강검진은 질병의 초기발견과 예방에 목적을 둔다. 검진 이후에는 결과지를 받게 되는데 이는 의료진과 환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 된다. 지금까지 몇 차례 결과지에 대한 디자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환자들의 낮은 이해도와 인지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용자인 수검자와 의료진, 디자이너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디자인을 개선하고 사용성도 편리한 검진결과표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건강검진 결과서와 관련한 각종 정보디자인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과 현재 건강검진 결과지에 대한 사용자 인터뷰로 사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존의 결과지를 1차로 디자인을 개선하였다. 또한 기존의 건강검진결과지와 본 연구자가 개선한 검진결과지를 수검자와 의료진에게 검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참조하여 최종적으로 디자인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결과지에서 지적되었던 문제점이 상당수 해소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농업계 특수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따른 정신병리 차이와 개인상담의 효과검증 (Differences in Psychopathology and Effectiveness of Individual Counselling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 of Agricultural Specialized College Students)

  • 이도균;노환국;정달상;안진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153-163
    • /
    • 2017
  •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on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e-specialized college students, in a specific educational environment, consulting some students who show maladjusted characteristics, verifying its effect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college life instructions. The complete survey MMPI was conducted for 676 freshmen and juniors attending K agriculture-specialized college located in Jeollabuk-do. To analyze the results, basic statistic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overall clinical scale was lower than 50 points, standard point, and freshmen showed higher depression (D), hysteria (Hy) and psychasthenia (Pt) in general. Such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other study results. It is considered an anxiety in early stage, resulted from a living in a dormitory. For the juniors who came back from one-year practice, anxiety about employment seems little because they are already employed. Second, The effects of personal consultation for maladjusted students were proved (p<.01). The students who got consultation showed improvement effect from 'very bad condition' to 'considerable depression', which is low scor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preventing from any accident, by screening maladjusted students who are supposed to learn in a specific situation, by relieving their symptoms through consultation and letting them concentrate on learning.

Late-onset drug resistant epilepsy in an adolescent with Allan-Herndon-Dudley syndrome

  • Soyoung Park;Young-Lim Shin;Go Hun Seo;Yong Hee Hong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21권1호
    • /
    • pp.31-35
    • /
    • 2024
  • Allan-Herndon-Dudley syndrome (AHDS) is a rare X-link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 with abnormal thyroid function caused by mutation in the solute carrier family 16 member 2 (SLC16A2) gene. Clinical manifestations of AHDS are global or axial hypotonia, a variety of movement disorders,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quadriplegia or spastic diplegia, growth failure, and seizures. A 10-year-old boy visited our hospital with the chief complaint of newly onset generalized tonic seizures with vocalization of weekly to daily frequency. He showed early infantile hypotonia,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and frequent respiratory infections. He could not walk independently and was non-verbal. Electroencephalogram revealed generalized slow spike and waves with multifocal spikes and slow background rhythms. His tonic seizures were controlled with more than two anti-seizure medications (ASMs). At 11 years of age, he was evaluated for thyroid function as part of regular screening for ASM maintenance and was found to have abnormal thyroid function. We performed whole exome sequencing for severe global developmental delay, drug-resistant epilepsy, and abnormal thyroid function. The hemizygous c.940C>T (p.Arg314Ter) variant in the SLC16A2 gene (NM_006517.5) was identified and confirmed based on Sanger sequencing. Herein, we describe a case of an AHDS patient with late-onset drug-resistant epilepsy combined with congenital hypotonia, global developmental delay, and abnormal thyroid function result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oldest adolescent among AHDS cases reported in Korea. In this report,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 mid-adolescence patient with AHDS were presented.

COVID-19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a review

  • Siti Nur Atikah Aishah Suhaimi;Izzati Abdul Halim Zaki;Zakiah Mohd Noordin;Nur Sabiha Md Hussin;Long Chiau Ming;Hanis Hanum Zulkifly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65-290
    • /
    • 2023
  • Rare but serious thrombotic incidents in relation to thrombocytopenia, termed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VITT), have been observed since the vaccine rollout, particularly among replication-defective adenoviral vector-base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vaccine recipients. Herein, w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summarized reported studies of VITT follow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ccination to determine its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s management. A literature search up to October 1, 2021 using PubMed and SCOPUS identified a combined total of 720 articles. Following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 after screening the titles and abstracts based on the eligibility criteria, the remaining 47 full-text articles were assessed for eligibility and 29 studies were included. Findings revealed that VITT cases are strongly related to viral vector-based vaccines, which are the AstraZeneca COVID-19 vaccine (95%) and the Janssen COVID-19 vaccine (4%), with much rarer reports involving messenger RNA-based vaccines such as the Moderna COVID-19 vaccine (0.2%) and the Pfizer COVID-19 vaccine (0.2%). The most severe manifestation of VITT is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 with 317 cases (70.4%) and the earliest primary symptom in the majority of cases is headache. Intravenous immunoglobulin and non-heparin anticoagulant are the main therapeutic options for managing immune responses and thrombosis, respectively. As there is emerging knowledge on and refinement of the published guidelines regarding VITT, this review may assist the medical communities in early VITT recognition, understanding the clinical presentations, diagnostic criteria as well as its management, offering a window of opportunity to VITT patients. Further larger sample size trials could further elucidate the link and safety profile.

학동전 아동에서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의 심전도 소견에 따른 유형 및 심초음파 소견 (Electrocardiographic and Echocardiographic Characterisitics of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in Preschool Children)

  • 추정민;심현섭;조수철;주찬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097-1105
    • /
    • 2002
  • 목 적 : 평소 건강한 학동전 아동에서 심전도 집단 검진을 이용한 WPW 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하였고 심전도 이상 소견에 따른 WPW 증후군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심실 및 심중격 운동 이상 소견을 심초음파 검사로 관찰하였다. 방 법: 1999년 4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전북지역 4-7세 사이의 유치원생 77,8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전도 집단 검사에서 WPW 증후군으로 진단된 아동을 대상으로 심전도상 이상 소견에 따른 세부 분류와 심초음파 검사상 심벽 운동의 이상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 과: 총 77,824명 중 WPW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는 23명으로 유병률은 2.9/10,000명이었다.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5.4세이었고, 남아는 13명 여아는 10명으로 남녀비의 의의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빈맥의 기왕력을 가진 환아는 2명이었으며, 2명의 환아는 남매간으로 가족력 소견을 보였다. Rosenbaum 등에 의한 부전도로 추정 위치에 따른 분류로 A형은 5명(21.8%), B형은 18명(78.2%)이었다. Boineau 등의 분류에 의한 I군 18명(78.2%), IV군은 3명(13.0%), III, V군은 각각 1명(4.3%)이었고, II군은 관찰되지 않았다. Gallagher 등의 분류에 의한 유형 중 1형 4명(17.3%), 2형 12명(52.1%), 3형, 5형, 6형, 10형은 각각 1명(4.3%), 9형은 3명(13.0%), 4형, 7형, 8형은 관찰되지 않았다. 19명의 환아에게 실시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5명의 A형 환아 중 4명의 환아에서 좌심실 후벽의 초기 수축기 전방운동 소견을 보였으며, B형 환아 14명 중 12명의 환아에서 심중격의 초기 수축기 후방운동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 론 : 학동전기 아동에서 WPW 증후군의 유병율은 10,000당 2.9명이었다. 심전도상 부전도로의 위치는 우심실이 우세하여 이전의 보고와 다른 소견을 보였고, 심초음파 검사 소견상 대부분의 무증상 WPW 증후군 환아에서 이상 심실운동 소견이 관찰되었다. WPW 증후군에서 부전도로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비침습적 검사 방법으로 심전도 소견 및 심초음파 검사가 이용될 수 있다.

한국인 메틸말로닌산뇨증 및 프로피온산뇨증의 유전자형과 임상 양상 (Genotype and clinical features of Korean patients with methylmalonic aciduria and propionic aciduria)

  • 이은혜;고정민;김재민;유한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9호
    • /
    • pp.964-970
    • /
    • 2008
  • 목 적 : 메틸말로닌산뇨증과 프로피오닌산뇨증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아미노산 대사 이상 질환으로, methylmalonyl-CoA mutase와 propionyl-CoA carboxylse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며 최근 유전자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이 질환군의 임상 양상과 유전자형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서 유기산뇨증으로 진단된 20례를 대상으로 질병의 종류, 진단시 연령과 임상 양상, 유전자형, 검사 소견, 치료와 예후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혈장 암모니아, 소변 유기산 분석과 혈장 아미노산을 조사하였고, 유전자분석은 메틸말로닌산뇨증에서는 MUT, MMAA, MMAB 와 MMACHC 유전자를, 프로피오닌산뇨증에서는 PCCA와 PCCB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유기산뇨증으로 진단된 환아는 모두 20명이었으며, 그 중 메틸말로닌산뇨증이 12명(남아 8명, 여아 4명), 프로피오닌산뇨증이 8명(남아 6명, 여아 2명)이었다. 신생아 대사이상 검사로 진단된 환아가 5명이었으며, 6명은 신생아기에 급성 증상으로 발현하였고, 9명은 1개월 이후 발현한 지발형이었다. 신생아기 발현형에서는 6명 중 5명이 구토와 기면을 주증상으로 내원하였으며, 지발형에서는 구토와 기면 이외에도 발달 지연, 보행 장애, 혈소판 감소증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였다. 예후로는 메틸말로닌산뇨증 환아 중 2명(17%)이 2세경에 고암모니아혈증과 대사성 산증으로 사망하였으며, 7명(58%)이 정상발달을 보였다. 프로피오닌산뇨증 환아는 1명이 사망하였고, 4명(50%)이 정상 발달을 보이고 있다. 증상의 발현시기에 따라서는 신생아기 발현형에서 6명중에서 2명은 사망, 2명은 정상 발달, 2명은 발달지연을 보이고 있는 것에 비해, 증상 없이 신생아 대사이상 검사로 진단된 환아 중에는 2명(40%)이 정상발달을 보이고 있고, 지발형에서는 7명(63%)이 정상 발달을 보이고 있다. 유전자형은 메틸말로닌산뇨증 전례에서 규명되었으며 10명은 MUT 유전자에서 11종의 서로 다른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nonsense 돌연변이였다. 비타민 B12 반응형 환아 2명에서는 MMACHC 유전자에서 3종의 서로 다른 돌연변이가 발견되었으며 프로피오닌산뇨증에서는 16개 대립유전자 중 14개에서 PCCA와 PCC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규명되었다. 결 론 : 유기산뇨증은 진단이 지연되면 매우 치명적이나, 조기에 의심하여 진단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이다. 유기산뇨증의 유전자형의 분석은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유전상담, 산전 진단 및 표현형의 예측에도 도움이 된다.

조생 고품질 벼 신품종 '조아미' (A New Early-Maturing, High Quality Rice Cultivar 'Joami')

  • 강종래;남민희;곽도연;정진일;김대식;김정일;송유천;여운상;이종희;박노봉;박동수;이기환;조준현;김춘송;이지윤;전명기;신문식;오병근;강항원;안진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15-622
    • /
    • 2010
  • '조아미'는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중산간지 재배에 알맞은 고품질 벼를 육성하고자 일본품종 'Yukara'와 중국품종 'Tonggae112'가 교배된 조합에 밥맛이 좋은 '삼백벼'를 삼원교배한 이후 계통육성시험에서 YR20557-1-1-3-B-3을 선발하였고,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에 공시한 결과 수량성이 높아 '상주 36호'라는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상주 36호'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에서 표준품종 대비 그 수량 및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 품종으로 선정되어 '조아미'로 명명하였다. '조아미'는 중북부평야지. 중부중산간지 및 동북부 해안지에 적응성이 높은 조생 고품질 벼 품종으로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중북부평야지 보비재배에서 7월 28일로 '화성벼'에 비해 15일정도 빠르고, 남부중산간지, 중부중산간지지 및 동북부 해안지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7월 30일로 '오대벼'의 출수기와 같은 조생종이다. 2. 이삭 길이는 18 cm 정도로 다소 짧고 착립밀도는 보통이며 추출은 양호한 편이다. 까락이 해에 따라 다소 발생하며 탈립은 안되는 편이다. 3. '오대벼' 대비 주당수수가 많고 수당립수는 비슷하며 등숙비율은 높지만 현미 천립중이 다소 가벼운 20.6 g의 소립종이다. 4. 쌀의 완전미율이 '오대벼' 보다 높고, 심복백이 없으며 맑고 투명하다. '오대벼'에 비해 아밀로스 함량이 낮아 밥맛이 양호하다. 5. 도열병에는 강하나 흰잎마름병과 바이러스병에는 약하며 해충에 대한 저항성은 없다. 6. 전국 9개소 3개년의 지역적응성시험에서 수량성은 5.4MT/ha으로 '오대벼' 대비 6% 증수되었다.

변조 이음향방사(DPOAE)를 이용한 고위험군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Neonatal hearing screening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using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 김도영;김성신;김창휘;김시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07-512
    • /
    • 2006
  • 목 적 : 신생아 난청은 신생아 1,000명당 1-3명에서 발생하며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하지 않으면 유소아의 언어 습득과 발달 지연에 영향을 미친다. 저자들은 신생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청각 선별검사로서 DPOAE를 이용하여 난청의 유병률과 위험 인자와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 2001년 5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 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청각 선별검사로 변조 이음향방사를 시행받은 87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변조 이음향방사에서 통과된 경우 Pass 군으로, 통과되지 못한 경우를 Refer 군으로 나누어 출생 체중, 재태 기간, 산모의 위험 인자, 가족력, 인공호흡기 사용, 빌리루빈 수치, 이독성 약물의 사용 등 청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 과 : 총 871명 중 106명(12.1%)이 Refer 군으로 우측 이상이 36명(4.1%), 좌측 이상이 23명(2.6%), 양측 이상이 47명(5.4%)이었다. Refer군 106명 중 20명(18.9%)이 3개월 후 변조 이음향방사를 재시행 하였으며 40명(37.7%)에서 ABR를 시행하였다. 총 871명 중 Pass 군과 Refer 군 사이에 성별, 출생 장소(본원 및 외부병원), 청각장애의 가족력, 재태 연령에 따른 출생 체중(부당 경량아, 부당 중량아, 적정 체중아), 산모의 위험 인자(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조기 양막 파수), 빌리루빈 수치 및 gentamicin 사용 등의 인자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871명 중 Pass 군과 Refer 군 사이에 출생 체중 1,500 g 미만, 재태 연령 37주 이하, 심폐 소생술 시행, 낮은 Apgar 점수(1분에 5점 이하, 5분에 6점 이하), 두경부 이상(구개순, 구개열, 이개 앞 피부 돌출), 인공호흡기 사용, 패혈증, vancomycin 사용 등의 인자에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결 론 : 60 dB 이상의 난청이 18명(2%)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는 전체 신생아 유병률(1-3명/1,000명)보다 높은 수치이다. 그러므로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 환자에게는 청각 선별검사를 반드시 시행하여야 하며 변조 이음향방사가 선별검사의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기초로 하여 전체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신생아 청각 선별검사의 보편화 할 것을 추천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더욱 적극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