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arly fixation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5초

Multifilament Cable Wire versus Conventional Wire for Sternal Closure in Patients Undergoing Major Cardiac Surgery

  • Oh, You Na;Ha, Keong Jun;Kim, Joon Bum;Jung, Sung-Ho;Choo, Suk Jung;Chung, Cheol Hyun;Lee, Jae 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4호
    • /
    • pp.265-271
    • /
    • 2015
  • Background: Stainless steel wiring remains the most popular technique for primary sternal closure. Recently, a multifilament cable wiring system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Marquette, MI, USA) was introduced for sternal closure and has gained wide acceptance due to its superior resistance to tension. We aimed to compare conventional steel wiring to multifilament cable fixation for sternal closure in patients undergoing major cardiac surger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on 1,354 patients who underwent sternal closure after major cardiac surgery, using either the multifilament cable wiring system or conventional steel wires between January 2009 and October 2010. The surgical outcomes of these two groups of patients were compar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based on 18 baseline patient characteristics. Results: Propensity score matching yielded 392 pairs of patients in the two groups whose baseline profi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in the rates of early mortality (2.0% vs. 1.3%, p=0.578), major wound complications requiring reconstruction (1.3% vs. 1.3%, p>0.99), minor wound complications (3.6% vs. 2.0%, p=0.279), or mediastinitis (0.8% vs. 1.0%, p=1.00). Patients in the multifilament cable group had fewer sternal bleeding events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wire group, but this tenden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3% vs. 7.4%, p=0.068). Conclusion: The surgical outcomes of sternal closure using multifilament cable wires were comparable to those observed when conventional steel wires were used. Therefore, the multifilament cable wiring system may be considered a viable option for sternal closure in patients undergoing major cardiac surgery.

전투 상황에서 발생한 사지 총상 및 폭발창의 치료 (Treatment of Combat-related Gunshot and Explosive Injuries to the Extremities)

  • 이정은;이영호;백구현;이경학;조영재;김영철;서길준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6권3호
    • /
    • pp.111-124
    • /
    • 2013
  • Purpose: We should prepare proper medical service for disaster control as South Korea is not free from terrorism and war, as we experienced through the two naval battles of the Yeonpyeong, one in 1999 and the other in 2002, the sinking of Cheonan in 2010, and the attack against the border island of Yeonpyeong in 2010. Moreover, North Korea's increasingly bellicose rhetoric and mounting military threats against the world demand instant action to address the issu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our experience with three patients with combat-related gunshot and explosive injuries to their extremities and to establish useful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ombat-related injuries. Methods: Three personnel who had been injured by gunshot or explosion during either the second naval battle of the Yeonpyeong in 2002 or the attack against the border island of Yeonpyeong in 2010 were included in our retrospective analysis. There were one case of gunshot injury and two cases of explosive injuries to the extremities, and the injured regions were the left hand, the right foot, and the right humerus. In one case, the patient had accompanying abdominal injuries, and his vital signs were unstable. He recovered after early initial management and appropriate emergency surgery. Results: All patients underwent emergent surgical debridement and temporary fixation surgery in the same military hospital immediately after their evacuations from the combat area. After that, continuous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and wound care were performed, and definite reconstructions were carried out in a delayed manner. In the two cases in which flap operations for soft tissue coverage were required, one operation was performed 5 weeks after the injury, and the other operation was performed 7 weeks after the injury. Definite procedures for osteosynthesis were performed at 3 months in all cases. Complete union and adequate functional recovery were achieved in all cases. Conclusion: The patient should be stabilized and any life-threatening injuries must first be evaluated and treated with damage control surgery. Staged treatment and strict adherence to traditional principles for open fractures are recommended for combat-related gunshot and explosive injuries to the extremities.

예취가 알팔파 근류의 발달과 질소고정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on Nodule Development and Nitrogen Fixation in Alfalfa)

  • Jong Won Ryoo;Ho Jin Lee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8-134
    • /
    • 1987
  • 刈取가 알팔파根瘤의 着生 및 發達과 室素固定活性에 미치는 影響을 檢討하기 위하여 圃場實驗에서는 刈取區와 非刈取區로 구분하여 時期別로 Acetylene還元法에 의하여 根瘤의 室素固定活性을 測定하였다. 養液栽培實驗에서는 地上部의 50%와 90%刈取, 花芽의 除法, 根瘤의 50%와 100% 除法등을 組合處理後 알팔파 再生과 根瘤의 着生과 發達에 미치는 影響을 檢討하였다. 1. 圃場實驗에서 根瘤의 무게는 1回刈取後 30%, 2 回刈取後 25%의 減少가 있었고 2 回刈取後 30日부터는 減少가 없었다. 2. 7月初, 8月初, 9月初에 刈取區의 specific nodule activity(SNA)는 非刈取區보다 높았으며 total nodule activity도 刈取區가 非刈取區보다 높았다. 開花期의 刈取는 根瘤의 室素固定活性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養液栽培實驗에서는 地上部의 50% 刈取는 알팔카의 再生과 根瘤의 發達에 影響이 없었으나 地上部의 90% 刈取는 再生을 느리게 하고 根瘤의 脫落을 심하게 조장하고 着生된 根瘤나 새로이 着生된 根瘤의 發達을 나쁘게 한 것으로 보아 알팔파根瘤의 室素固定活性을 높은 狀態로 維持하기 위해서는 너무 낮은 刈取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하수슬러지와 제지슬러지를 탄소원으로 이용한 폐탄광페수의 생물학적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ological treatment of abandoned acidic mine drainage using sewage sludge and papermill sludge as carbon sources)

  • 김은호;장성호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3-7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폐탄광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SRB의 탄소원으로 하수슬러지와 제지슬러지를 활용가능성과 아울러 석회석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유입 폐탄광폐수의 pH가 평균 3.3정도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전 실험기간동안에 유출수중 평균 pH는 약알칼리성으로 SRB의 생육에 적합한 pH를 유지하였다. 실험초기에 Washout현상으로 높은 TCODcr농도를 나타내었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져 유기물의 상승으로 인한 이차적인 오염문제는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Mn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금속은 ${SO_4}^2$ 환원량이 많아짐에 따라 고정경향이 강하여 유출수 중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나, Mn의 경우에는 유출수중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하수슬러지의 혼합비율이 제지슬러지와 같거나 많은 경우에 비교적 중금속 제거효율과 ${SO_4}^2$ 환원율이 높으나 제지슬러지 보다 단기간 분해가능한 하수슬러지가 2배 정도 많은 경우에 유기물의 지속성 측면에서 적절하지 못하며 오히려 혼합비율이 같은 경우가 더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석회석과 생물학적 처리에 의한 효율을 비교.검토해본 결과, 생물학적 처리에서 pH 중화와 중금속 제거효율이 높았다.

  • PDF

초고압전자현미경에 의한 엽육세포 색소체 미세구조의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Mesophyll Plastids Using Ultra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

  • 김인선;박상찬;한성식;김은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3호
    • /
    • pp.217-226
    • /
    • 2006
  • 발달중인 Sedum 및 Salsola의 엽육조직을 chemical fixation과 high pressure freezing (HPF) 등으로 고정한 후, 초박 및 후박절편으로 제작 carbon coating하여 TEM 및 UHVEM으로 연속절편에 의한 2-D영상과 tilt image data를 수집하였다. 이후 초미세 구조들에 대하여 tilting 및 tomography 기법, 그리고 디지털화한 image의 3-D 입체구조 재구현에 필수적인 IMOD 프로_그램을 적용한 image 처리과정을 거쳐 UHVEM data에서 색소체내 초미세구조의 정보를 추출하여 세포수준에서의 3-D image를 분석하였다. 색소체 기질에서 녹말입자 및 틸라코이드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CAM및 $C_4$ 식물 색소체 결정체들은 어떤 막으로도 둘러싸이지 않는 구조로서, Sedum rotundifolium 색소체내 결정체는 수 ${\mu}m$에 이르는 커다란 크기로 형성된다. 결정체 내에는 약 20nm격자거리로 이루어진 기원을 알 수 없는 수백-수천 개의 미세소관성 요소들이 평행 또는 격자상태로 정교한 구조를 이루며, 티라코이드 및 녹말입자와 인접하여 발달하였다. $C_4$ 광합성 수행 Salsola komarovii의 경우, 결정체는 엽육세포 색소체에서만 발달하며 결정체 구성 기본요소들이 비교적 규칙적인 격자거리를 이루며 수십 개 배열하는 구조를 형성하였다. 특히, tilted image및 3-D 입체구조 연구에서 결정체 형성에는 이들과 인접하여 발달하는 틸라코이드막이 관여함을 알아 낼 수 있었다. 이는 엽육세포 색소체에는 결정체들이 식물이 수행하는 광합성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구성요소로 형성되어 Sedum의 경우와 같이 발달 중인 엽육조직에서 분화하거나 Salsola에서와 같이 세포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발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성인 주관절의 요골두와 구상돌기 골절을 동반한 탈구의 수술 적 치료 (성인 주관절에 발생한 위험3증주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Terrible Triad in Elbow of Adults)

  • 김병흠;박종석;최호림;이상선;나수균;이현욱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50-59
    • /
    • 2006
  • Purpose: The nonoperative outcome of elbow dislocations with associated radial head and coronoid fractures are often unsatisfactory because of chronic instability and stiffness from proloned immobilization, Therefore we managed these injuries with well programed surgical appproaches. Method: Ten patients with this injury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from May 1998 to June 2004 after a minimum of 12 months. These injuries include elbow dislocation and associated fractures of both the radial head and the coronoid process. All ten patients were treated by one clinic operatively with similar scheduled surgical methods which started on the lateral side and terminated on the medial side of the elbow.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s were classified Mason types, as two and three types respectively with six and four cases and six cases were fixated. Coronoid process were fixated with screws anteroposterior directly or anchor suture in all cases, each type was classified one, two and three. where were three type one, four type two, and three type three were according to Regan and Morrey classification. Results: The outcome was three resulting in excellent, four good, two normaland and the remaining case was one poor according to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At a terminal follow up, the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averaged flection contracture, $6^{\circ}(0{\sim}20^{\circ})$ and further flection, $129^{\circ}(115{\sim}140^{\circ})$. Two patients had complications requiring additional care. One, displaced coronoid process which was repaired with capsule and the other patient experienced, palsy of ulnar nerve and contracted elbow joint. Conclusions: Usage of early operation as the minimum injury of medial ligaments complex and the rigid fixation of fractures to prompt motion with our scheduled management for elbow dislocations with associated radial head and coracoid fractures provided excellent results.

총담관 결찰후 집토끼 담낭상피세포의 미세구조적 변화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Epithelial Cells of the Rabbit Gallbladder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 임수재;양남길;안의태;고정식;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2권2호
    • /
    • pp.15-29
    • /
    • 1992
  • The gallbladder is known to have the function of the storag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bile produced by the liver. This function is carried out by the removal of water and inorganic electrolytes. Extrahepatic cholestasis or the impairment of excretion of the bile leads to the distension and loss of the function of the gallblad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ormal gallbladder epithelial cells,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the ligation of common bile duct of the rabbit. Common bile duct ligation was performed under ether anesthesia. The rabbits were sacrificed on the 1st, 3rd, 5th, 7th and 14th day, respectively after operations. The tissue blocks of the gallbladder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prior to fixation in 1% osmium tetroxide, and embedded in the araldite mixture, and observed with JEM 100 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ormal gallbladder epithelium of adult rabbit demonstrated two cell types, the ordinary epthelial cell and the dark cell. The dark cells have electron dense cytoplasm, and were found much infrequently, whereas ordinary epthelial cells were found quite numerous. 2. The ordinary epthelial cells of normal gallbladder were provided with the regular microvilli at the free surface and the images of pinocytotic activities in the apical cytoplasm, and exhibit highly convoluted lateral surfaces with elaborated microfolds. These figures of the cells suggest that they are resorptive in functional activity. 3. In the early stages (1st, 3rd, 5th day groups) following the ligation, the apical cytoplasm of some cells is protruding from the free surface and lost their microvilli. Numerous mucous granules filled in the apical and supranuclear cytoplasm compactly. 4. In the late stages (7th, 14th day groups) following the ligation, many light cells containing mumerous mucous granules are seen, between the ordinary epthelial cells. Mucous granules are fused each other, and are discharged into the lumen from the apical cytoplasm. The lateral membranes are straight or undulating without any interdigitation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in the cholestasis induced by the common bile duct ligation, there is a tendency for the mucosal epithelium of the rabbit gallbladder to have secretory rather than an absorptive function.

  • PDF

탄력성 있는 골수강 내고정물과 회전경첩형 슬관절 전치환물을 조합한 종양인공관절로 자가골의 골 용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가? (Do the Rotating Hinge-Flexible Intramedullary Nail Composites Alleviate Junctional Osteolysis in Megaprothesis Reconstruction for Bone Tumor?)

  • 송원석;조완형;조상현;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6-104
    • /
    • 2007
  • 목적: 슬관절 주위에서 탄력성 있는 골수강 내고정물과 회전경첩 슬관절 전치환물을 이용한 재건술이 종양인공관절과 자가골 경계부위의 골 흡수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35례에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재건 술식은 다음과 같다. 1) 종양 절제, 2) 근위부나 원위부의 골수강에 다수의 Ender 정 삽입, 3) Ender 정과 Endo-Link 형 슬관절 전치환물을 강선 과 골 시멘트를 이용하여 결합 결과: 평균 추시기간은 53개월(30~79개월) 이었다. 최종 추시 상 29명의 환자가 가동관절을 유지하였다. 장관골 길이의 40% 이상을 절제한 군에서 종양인공관절과 자가골 경계부위 골질의 비후가 나타났다(p=0.028). 내고정 금속정의 파괴가 8례 있었으며, 조기 및 지연 감염으로 8례의 내고정물을 제거하였다. 본 재건술의 생존율은 6년에 33%였다.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ystem 평가 법에 따른 기능적 결과는 26.8(89.3%)였다. 결론: 본 술식의 단-중기적 결과는 양호하였으며 합병증 발생시 재수술이 매우 용이하였다. 본 술식에서 관찰된 종양인공관절-자가골 이행 부위의 골 비후 소견은 추후 더 연구해 볼 문제로 생각된다.

  • PDF

경골과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Operative Treatment of Tibial Plateau Fractures)

  • 신덕섭;성병년;김동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187-198
    • /
    • 2001
  • 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7년간, 수술적으로 치료한 경골과 골절 환자 중 최단 1년에서 최장 8년까지 장시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29예를 대상으로 치료 예후에 관여하는 인자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대부터 40대까지가 15명(51.7%)을 차지해 활동기 연령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았고, Schatzker의 분류에 의해 2형 골절이 11예(37.9%)로 가장 많았다. 동반 연부 조직 손상은 18예(62.1%)에서 발생되었으며,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6예(33.3%), 내측 측부 인대손상이 4예(22.2%)로 많았다. Blokker 평가 기준에 의해 29예 중 23예(79.3%)가 양호하였다. 2. 불량한 결과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는 30대 이전의 연령층, 고 에너지 손상의 Schatzker 분류 IV형 이상의 골절, 전방 십자 인대 손상과 반월상 연골 손상 등의 동반 손상이었다. 또한 각 골절의 양상과 손상의 정도에 따라 골절면의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시행하여, 조기에 슬관절 운동을 시행하여야 슬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전이성 병적 골절 또는 병적 임박 골절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Pathologic or Impending Pathologic Fractures)

  • 김갑중;이상기;최원식;서동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4-51
    • /
    • 2009
  • 목적: 전이성 병적 골절 또는 병적 임박 골절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전이성 병적 골절 또는 병적 임박 골절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8환자,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예 여자가 12예였으며 평균 나이는 65.1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2개월이였다. 초기 진단으로 병적 골절이 14예, 병적 임박 골절이 5예였다. 기능적 평가는 추시 중에 MSTS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주기적인 방사선 촬영을 통해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 유 무를 분석하였다. 결과: 원발암은 다발성 골수종 6예, 신 세포암 4예, 담관암 2예, 대장암 2예, 유방암 2예 및 평활근 육종이 2예였다. 전이 병소는 대퇴골이 10예, 쇄골 4예, 상완골 2예, 경골 2예, 요골 1예였다. 수술 방법으로 소파술, 시멘트 충전술, 내고정술 및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MSTS 점수는 15.9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감염이 1예, 국소 재발이 1예, 고정물의 이완이 1예 있었다. 최종 추시 시 유병 상태 10명, 사망 8명이었다. 결론: 전이성 병적 골절 및 병적 임박 골절의 수술적 치료는 하지의 경우 조기 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상지의 기능 숙달도에 만족할 만할 결과를 보이며, 이환 부의의 통증 조절과 환자의 정서적 만족도에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환자의 남은 여생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술식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