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the Rotating Hinge-Flexible Intramedullary Nail Composites Alleviate Junctional Osteolysis in Megaprothesis Reconstruction for Bone Tumor?

탄력성 있는 골수강 내고정물과 회전경첩형 슬관절 전치환물을 조합한 종양인공관절로 자가골의 골 용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가?

  • Song, Won-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Cho, Wan-Hye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Cho, Sang-Hy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Jeon, Dae-Ge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송원석 (원자력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조완형 (원자력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조상현 (원자력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전대근 (원자력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Purpose: The authors investigated whether 35 flexible nail-rotating hinge composite reconstructions around knee joint minimize junctional osteolysis of host bone. Material and Method: The reconstructive technique was as follows: 1) en bloc tumor resection, 2) filling of the host bone marrow cavity with multiple Ender nails, 3) assembling the Ender nails and an Endo-Link type total knee component with wire and bone cement. Result: Mean follow-up was 53 months (ranged 30~79). At final follow-up, 29 patients retained a mobile joint. Resection of more than 40% of bon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unctional hypertrophy (p=0.028). Eight patients showed nail breakage and eight prostheses were removed due to early or late infection. The cumulative prosthetic survival rate was 33% at 6 year. Average functional score according to the MSTS criteria was 26.8. Conclusion: Mid-term evaluations showed that results were fair. The revision process was straightforward. Junctional hypertrophy observed appears to give some clues as to how to minimize osteolysis at the prosthesis-host junction after modular prosthesis fixation.

목적: 슬관절 주위에서 탄력성 있는 골수강 내고정물과 회전경첩 슬관절 전치환물을 이용한 재건술이 종양인공관절과 자가골 경계부위의 골 흡수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35례에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재건 술식은 다음과 같다. 1) 종양 절제, 2) 근위부나 원위부의 골수강에 다수의 Ender 정 삽입, 3) Ender 정과 Endo-Link 형 슬관절 전치환물을 강선 과 골 시멘트를 이용하여 결합 결과: 평균 추시기간은 53개월(30~79개월) 이었다. 최종 추시 상 29명의 환자가 가동관절을 유지하였다. 장관골 길이의 40% 이상을 절제한 군에서 종양인공관절과 자가골 경계부위 골질의 비후가 나타났다(p=0.028). 내고정 금속정의 파괴가 8례 있었으며, 조기 및 지연 감염으로 8례의 내고정물을 제거하였다. 본 재건술의 생존율은 6년에 33%였다.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ystem 평가 법에 따른 기능적 결과는 26.8(89.3%)였다. 결론: 본 술식의 단-중기적 결과는 양호하였으며 합병증 발생시 재수술이 매우 용이하였다. 본 술식에서 관찰된 종양인공관절-자가골 이행 부위의 골 비후 소견은 추후 더 연구해 볼 문제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