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decay tim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4초

Intensive Monitoring Survey of Nearby Galaxies (IMSNG) : Constraints on the progenitor system of a normal Type Ia SN 2019ein from its light curve at the early phase

  • 임구;임명신;김도형;백승학;최창수;김소피아;황성용
    • 천문학회보
    • /
    • 제46권1호
    • /
    • pp.55.2-56
    • /
    • 2021
  • The progenitor of Type Ia supernovae (SNe Ia) is mainly believed to be a close binary system of acarbon-oxygen white dwarf (CO WD) and non-degenerate companion (single degenerate) or another WD (double degenerate). However, it is unclear which system is more prevalent. Here, we present a high cadence optical/Near-IR light curve of normal but slightly faint type Ia SN 2019ein from IMSNG project. We fit the early light curve (t <+8.3 days from the first detection) with various models to find the shock-heated cooling emission from SN ejecta-companion interaction. No significant shock-heated cooling emission is found, from which we constrain the progenitor star size as the following. The upper limit (Rupper,*) of the companion size in R-band is ~0.2R when forcing the first light time (tfl) to have one value and ~0.9R when using the mean value of tfl from the fitting in each band. Assuming the source of the I-band curve is almost powered from the radioactive decay, we obtained Rupper,*~1.2R. The early B-V color curve is in agreement with the model color curve of the 2M main sequence companion. These results allow us to at least rule out large stars like red giants as a companion star of the binary progenitor system of this supernova. B-R and V-R color do not show any significant signs of a red bump, which shows a thin helium shell (MHe<0.1M) for the sub-Mch WD (double detonation model). In addition, we estimated the distance to NGC 5353 as 37.098±0.028Mpc.

  • PDF

Influence of Endurance tests on Space Charge Distribution of 160kV HVDC XLPE Cable

  • Liu, Yun-Peng;Liu, He-Che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302-309
    • /
    • 2017
  • The ageing of XLPE cable insulation will lead to the accelerating accumulation of space charge, which will greatly affect the safe operation of the HVDC cabl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ageing modes on the space charge distribution of the HVDC cable, thermal stressed, electrical stressed and electro-thermal stressed endurance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XLPE peelings. The tested XLPE peelings were obtained from 160kV HVDC cable insulation. The endurance tests were carried at thermal stress of 363K, electrical stress of 20kV/mm DC and a combination of both. The Pulsed Electro-Acoustic (PEA)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space charge distribution of the samples. The influences of ageing on the trap energy distribu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isothermal relaxation theory and the decay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har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mal ageing would help to improve the crystalline morphologies of the XLPE at the early stage. The total amount of space charge decreased compared to the ones before thermal ageing. The long term of electrical stress would result in the cleavage of polymer molecule chains which would intensify the accumulation of space charge and increase the density and depth of electron traps. With a combination of electrical and thermal stress, the injection and migration of space charge were more significant. Besides, the depth and density of electron traps increased rapidly with the increase of endurance time.

수확시기에 따른 수확 후 PE필름, 1-MCP 및 AVG 처리가 '상주둥시' 감과실의 저온저장동안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 times with polyethylene (PE) film liner, 1-methylcyclopropene (1-MCP) and aminoethoxyvinylglycine (AVG) treatments on fruit quality in 'Sangjudungsi' persimmon during cold storage)

  • ;유진기;류슬기;이진욱;정희영;정명근;박경일;조영제;강상재;강인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898-907
    • /
    • 2017
  • 본 연구는 2015년과 2016년에 '상주둥시' 감의 수확시기를 달리하여 수확 후 PE필름, 1-MCP 및 AVG를 처리가 저온저장동안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6년 과실 수확시기는 2015년에 비하여 10일 빠른 조기수확을 실시하였다. 과실의 에틸렌 발생 정도는 조기수확한 과실들에서 현저히 낮았고, 과실의 경도는 저온저장동안 1-MCP 처리구들이 다른 처리구의 과실에 비하여 높게 유지되었다. 과실의 감모율은 수확기를 달리한 모든 과실들에서 PE 필름 처리 과실들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성숙기에 수확한 과실은 저온저장 중 과실의 꽃받침 부위과 경와부의 과피색($L^*$$b^*$) 변화를 보면 무처리와 PE필름 처리구에 비하여 1-MCP 처리구들이 그 변화정도가 낮았다. 과실의 부패와 연화정도는 PE필름 처리 과실들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AVG 처리구들에서는 부패과 발생이 없었다. 그리고 조기수확한 과일은 성숙기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과피색의 변화가 낮은 경향을 보였고, 성숙기에 수확한 과실들은 당도, 과피의 적색(Hunter a 값) 발현 및 호흡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감과실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서는 조기수확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또한 수확 후 1-MCP 처리가 과일의 경도를 높게 유지하고 과피색의 변화를 억제하였으며, 과실의 감모율은 PE 필름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네리네 대량증식을 위한 자구 저장 및 순화재배 (Condition of Storag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n Bulb Propagation of Nerine by Tissue Culture)

  • 한수곤;강찬호;임회춘;고복래;최정식;이왕휴;최인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0-53
    • /
    • 2006
  • Nerine 대량증식을 위한 자구 저장 및 순화재배 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장온도와 기간별 자구 무게 참모율은 저온보다 고온에서 증가하였다. 따라서 조직배양 자구의 적정 저장온도와 기간은 86.4%의 출현율을 보이는 $15^{\circ}C$에서 12주가 적절하였다. 또한 기내 생산 자구의 적정토양순화 시기는 휴면타파온도인 $22^{\circ}C$이상 유지가 가능한 6월 상순이 적절하였다. 순화 재배시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적정 광원은 적색과 청색의 혼합파장에서 네리네 생육과 광합성 능력이 우수하였다.

배.급수관망의 잔류염소 확보를 위한 적정 재염소 주입량 산정 및 효과분석 (Computing the Dosage and Analysing the Effect of Optimal Rechlorination for Adequate Residual Chlorine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 김도환;이두진;김경필;배철호;주혜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916-927
    • /
    • 2010
  • 일반적으로 정수처리 공정에서 염소에 의한 소독공정은 수인성 질병을 억제하고 상수도관망에서 미생물의 재성장을 억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염소소독은 수중의 유기물과 반응하여 소독부산물(Disinfection By-products; DBPs) 과 같은 발암성 물질을 생성함으로 적절한 염소 주입이 필요하고 최근에는 관말지역에서의 잔류염소 확보를 위해 상수관로 나 배수지 등에서 재염소를 실시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수장에서 최적의 염소주입과 재염소 주입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미국 EPA에서 개발한 EPANET 2.0을 사용하여 최적 염소 주입량을 산정하고 그 효과를 모의하였다. 대상지역 상수관로에 대한 수질을 모의하기 위하여 bottle test를 통해 수체감소계수($k_{bulk}$)를 도출하였으며, syster-matic analysis method를 이용하여 관벽감소계수($k_{wall}$)를 도출하였다. 배ㆍ급수계통에서의 수질을 정확히 예측하고자 유량과 체류시간 등을 고려한 수리해석 모델을 기초로 하여 상수도관망에서의 잔류염소 농도를 예측하고 염소주입 농도에 따른 소독부산물(DBPs)인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s; THMs)의 생성변화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수체감소계수($k_{bulk}$)를 도출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초기에 빠른 감소를 보였으며, $25^{\circ}C$의 경우 25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절반이상이 감소하였다. 대상지역에 재염소 주입시설을 도입할 경우 최적 재염소 주입량을 산정하였으며, 관망도상에서 경제적으로 유리한 지점을 선정할 수 있었다.

중간 열교환기 높이 상승에 의한 KALIMER-600 원자로 풀 과도 성능 변화 분석 (Analysis of Transient Performance of KALIMER-600 Reactor Pool by Changing the Elevation of Intermediate Heat Exchanger)

  • 한지웅;어재혁;김성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11호
    • /
    • pp.991-998
    • /
    • 2010
  • 소듐냉각 고속로 내부기기 배치 변경에 의한 초기냉각 성능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중간열교환기의 수직배치가 다른 3개의 원자로를 대상으로 COMMIX-1AR/P 코드를 활용한 다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원통좌표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의 1/4 부분만을 모델링하고 정상상태 및 과도상태 분석을 수행하여 IHX 수직배치 변화가 초기 냉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DHX를 통한 후기 냉각 모드 개시 시점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IHX 수직배치 상승은 원자로 풀내부 자연 순환 유량을 증가시켜 초기 냉각과정에서 노심 최고 온도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성회전차의 가용설계재원의 범위도 확대시킨다. 또한 IHX 수직배치 상승은 후기냉각모드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초기냉각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여러 가지 첨가제가 맥주박과 베지밀박의 부패방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Additives for Spoilage Prevention on Brewers grain and Soymilk by-product)

  • 이현준;김현섭;전병순;김상우;기광석;조광근;조재순;이홍구;최윤재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3호
    • /
    • pp.74-84
    • /
    • 2002
  • 고수분 유기성 물질인 맥주박, 베지밀박 등의 농산가공부산물들은 상온에서 변패성이 강하여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기위해서는 보관성증진을 위한 첨가제의 처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맥주박과 베지밀박을 소금, 유기산, 발효미생물 및 메치오닌수산화물(MHA)을 처리하여 고온다습한 7월중순경에 상온에서 20일간 방치한 후 보관일수에 따른 시료의 표면연화현상과 곰팡이 발생양상, 시료내부 pH, 암모니아태질소 함량변화를 조사하여 각 첨가제의 시료에 대한 변패방지효과를 비교한 결과, MHA 5%이상 처리구에서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 PDF

방사성 우주기원 동위원소를 이용한 티벳고원에서 가장 오래된 제4기(?) 빙성퇴적물인 Bunthang sequence의 절대 연대측정과 이의 고환경 및 지반운동에 대한 의미 (Absolute Age Determination of One of the Oldest Quaternary(?) Glacial Deposit (Bunthang Sequence) in the Tibetan Plateau Using Radioactive Decay of Cosmogonic $^{10}Be$ and $^{26}Al$, the Central Kavakoram, Pakistan: Implication for Paleoenvironment and Tectonics)

  • 성영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5-176
    • /
    • 2007
  • 티벳고원의 서쪽, 중부 카라코람의 인더스 강이 지나는 Skardu 근처에서 발견된 약 1.3km의 두께를 보이는 Bunthang 시퀀스의 절대 연대측정을 우주 기원 동위원소인 $^{10}Be$$^{26}Al$의 비를 이용해서 측정했으며 약 2백 65만년전에 급격하게 퇴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퇴적시기는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직접적인 빙하활동의 증거로서 이전의 고지자기 연구와도 일치한다. Bunthang 시퀀스는 아래에서부터 빙퇴석, 호성 퇴적물, 하천 퇴적물 그리고 다시 호성 퇴적물로 이루어지며 어떠한 단층운동의 증거도 발견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분지의 생성은 빙하의 하방침식에 의해서 만들어졌으며 빙하의 후퇴와 더불어 proglacial과 paraglacial 프로세스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에 있어서 신생대의 활발한 지반 활동은 인더스 강의 구배를 변형시킴으로써 연구지역과 같은 국지적인 호소퇴적층의 활발한 퇴적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또한 지반운동과 빙하의 침식에 의한 사면의 불안정성은 이러한 국지적 퇴적 작용을 더욱 촉발시켰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전의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로써 지난 제4기 동안 빙하의 활동이 약해진 것으로 보건데 지난 마지막 빙기 최성기를 정점으로 티벳고원에 커다란 빙상이 존재했다는 가설은 틀린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에서 제4기 동안의 빙하 활동의 축소는 희말라야 산맥과 카라코람 산맥 중심의 급격한 융기로 인해 Indian monsoon의 유입이 줄어든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Formation of a large-scale quasi-circular flare ribbon enclosing three-ribbon through two-step eruptive flares

  • Lim, Eun-Kyung;Yurchyshyn, Vasyl;Kumar, Pankaj;Cho, Kyuhyoun;Kim, Sujin;Cho, Kyung-Suk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42.1-42.1
    • /
    • 2016
  •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dynamical properties of a large-scale quasi-circular flare ribbo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DO AIA and HMI data along with data from RHESSI and SOT. Within one hour time interval, two subsequent M-class flares were detected from the NOAA 12371 that had a ${\beta}{\gamma}{\delta}$ configuration with one bipolar sunspot group in the east and one unipolar spot in the west embedded in a decayed magnetic field. Earlier M2.0 flare was associated with a coronal loop eruption, and a two-ribbon structure formed within the bipolar sunspot group. On the other hand, the later M2.6 flare was associated with a halo CME, and a quasi-circular ribbon developed encircling the full active region. The observed quasi-circular ribbon was strikingly large in size spanning 650" in north-south and 500" in east-west direction. It showed the well-known sequential brighten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during the decay phase of the M2.6 flare at the estimated speed of 160.7 km s-1. The quasi-circular ribbon also showed the radial expansion, especially in the southern part. Interestingly, at the time of the later M2.6 flare, the third flare ribbon parallel to the early two-ribbon structure also developed near the unipolar sunspot, then showed a typical separation in pair with the eastern most ribbon of the early two ribbons. The potential field reconstruction based on the PFSS model showed a fan shaped magnetic configuration including fan-like field lines stemming from the unipolar spot and fanning out toward the background decayed field. This large-scale fan-like field overarched full active region, and the footpoints of fan-like field lines were co-spatial with the observed quasi-circular ribbon. From the NLFF magnetic field reconstruction, we confirmed the existence of a twisted flux rope structure in the bipolar spot group before the first M2.0 flare. Hard X-ray emission signatures were detected at the site of twisted flux rope during the pre-flare phase of the M2.0 flare. Based on the analysis of both two-ribbon structure and quasi-circular ribbon, we suggest that a tether-cutting reconnection between sheared arcade overarching the twisted flux rope embedded in a fan-like magnetic field may have triggered the first M2.0 flare, then secondary M2.6 flare was introduced by the fan-spine reconnection becau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panding field and the nearby quasi-null and formed the observed large-scale quasi-circular flare ribbon.

  • PDF

강원도 중왕산 지역의 지형 및 토양요인에 따른 고로쇠나무의 분포와 생장 특성 (Distribu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cer pictum var. mono in Relation to Topography and Soil in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

  • 엄태원;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0-207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천연 활엽수림내에 분포하고 있는 고로쇠나무의 입지 및 생장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림의 지형적 특성은 고도 $1,000{\sim}1,200m$, 평균경사 $24^{\circ}$, 북동에서 북서방향의 사면에서 우점하고 있다. 고로쇠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지역의 토양특성은 A층 토양깊이가 평균 22cm로 갚고, 수분함량은 36.9%로 높으며, 양료가 비옥한 지역이었다. 또한 고로쇠나무와 함께 상층 임관을 구성하는 주요수종은 거제수나무, 복장나무, 신갈나무, 층층나무이었으며, 고로쇠나무림내 하층 초본류는 벌깨덩굴, 오리방풀, 노루오줌, 관중, 단풍취 등이었다. 고로쇠나무의 생장분석결과 고로쇠나무의 수고생장량은, 초기에는 최대 0.25m까지의 생장을보였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연간 0.1m이하의 생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직경생장은 초기에는 연간 1mm이하의 생장을 보이다 4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최대 0.3mm의 생장을 보였으며, 최근에도 2mm정도의 생장을 유지하고 있다. 재적은 수령 120년경에 상당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세를 수령 200년까지도 유지하고 있어 목재부후가 없을 경우 벌기령이 매우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