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Retiremen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Cognitive Ability in Midlife and Labor Market Participation Among Older Workers: Prospective Cohort Study With Register Follow-up

  • Sundstrup, Emil;Hansen, Ase M.;Mortensen, Erik L.;Poulsen, Otto M.;Clausen, Thomas;Rugulies, Reiner;Moller, Anne;Andersen, Lars L.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3호
    • /
    • pp.291-300
    • /
    • 2020
  • Background: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individual cognitive ability in late midlife with labor market participation among older workers. Methods: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estimates the risk of long-term sickness absence, disability pension, early retirement, and unemployment from scores on the Intelligenz-Struktur-Test 2000R by combining data from 5076 workers from the Copenhagen Aging and Midlife Biobank with a register on social transfer payments. Analyses were stepwise adjusted for age, gender, physical and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health behaviors, occupational social class, education, and chronic diseases. Results: In the fully adjusted model, low cognitive ability (≥1 standard deviation below the mean for each gender) and high cognitive ability (≥1 standard deviation above the mean for each gender) were not associated with risk of any of the four labor market outcomes. Conclusion: Individual cognitive ability in late midlife was not associated with risk of long-term sickness absence, disability pension, early retirement, and unemployment in the fully adjusted model. Thus, no direct effect of individual cognitive ability in late midlife was observed on the risk of permanently or temporarily leaving the labor market.

현행 직접지불제의 평가와 개선방향 : 수혜자 조사의거 (Evaluation of the Current Direct Payment Schemes and Direction : based on farmers' survey data)

  • 김은순;장효선;엄대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247-2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armer's general contents on the current direct payment schemes and to derive som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survey data for the three types of direct payment schemes currently executed in Korea; Rice Farmer's Income Support, Early Retirement Aged Farmer's Support and Less Favored Area Direct Payment. In recent years we have introduced diverse direct payment schemes that are expected to have immediate effects in a short term period without enough preparation of the policy, which raises some contradiction between the agricultural policy and the original purpose of the direct payments. The result shows some important revisions should be made related the direct payment schemes, such as farmer's income stabil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unit payment and the payment length jointed with criteria of the payment, in addition to keeping up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enhancing the effect of structural adjustment in agriculture.

  • PDF

미국 산업구조의 변화가 고령 남성의 고용에 미친 영향: 1880~1940 (Changing Industrial Structure and Employment of Older Male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0)

  • 이철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3호
    • /
    • pp.1-28
    • /
    • 2003
  • 본 논문은 고령 노동자에 대한 퇴직의 압력이 직종별로 어떻게 달랐으며 그러한 차이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산업화 시기 미국 고령남성의 고용상의 지위 변화를 분석하였다. 직종에 따른 퇴직확률을 비교한 회귀분석 결과는 경제적 지위와 근로조건이 우월한 직종에 고용되어 있던 고령 노동자들의 퇴직확률이 더 낮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이미 20세기 초부터 은퇴 행위가 기본적으로 자발적인 것이었다는 최근의 견해를 반박하는 것이다. 장기실업의 상대적인 비율에 기초하여 측정한 노령화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불이익은 숙련공, 조립공, 판매직 등의 직업군에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민과 관리 및 전문직 종사자는 고령화에 따른 고용상의 불리함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1880년에서 1940년 사이에 발생한 직업구조의 변화 패턴을 살펴보면, 산업화와 함께 노년기의 퇴직압력이 상대적으로 강했던 산업들의 비중이 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노년초기 건강상태가 노후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Health Status on Income during Old-Age Period)

  • 김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93-6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상태를 선행요소로 두고 건강수준의 차이가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노후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공단의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1차(2005년)부터 6차년(2015년)까지 10년 동안 종단자료에 모두 존재하는 923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술통계분석결과 노년초기건강상태의 차이에 따라 노후소득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56~60세 노년초기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대상자가 건강하지 못한 대상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적 수준을 10년간 지속하고 있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는 성별, 배우자유무, 교육수준의 효과를 통제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노년초기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소득수준이 증가하였다. 또한 노년초기 건강상태가 좋은 고령층은 건강하지 못한 고령층보다 노후소득이 높았으며, 건강상태에 따른 소득차이가 고령화와 함께 지속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년초기건강상태의 향상과 노년초기 건강상태가 노후소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노년기 조기퇴직과 경력마감 형태 : 남성노인을 중심으로 (Old Age Early Retirement and Careering Ending Patterns : Centering around the US Older Men)

  • 이현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33-61
    • /
    • 2003
  • 본 연구는 서구사회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중고령자의 조기퇴직과 그에 따른 경력의 마감형태에 대하여 개인수준의 자료를 갖고 노동시장 및 사회보장정책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오늘날 많은 중고령근로자들이 조기퇴직을 하고 있지만 그 이후에 어떤 형태로 경력을 종료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5세 이후 직업에서 이탈한 후 61세까지의 개인의 노동시장 경험을 분석하여 노년기의 경력마감형태를 발견 구성해 보고 어떤 요인들이 복잡한 경력종료형태에 영향을 미치는지 미시적 모형과 거시적 모형을 설정, 그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은 대규모의 조기퇴직 현상은 종래의 사회심리적 결정모델과 미시경제적인 설명방법보다는 사회의 구조적 과정으로서 노동시장의 주체(기업, 경영자협회, 노조, 국가)등의 역할을 강조하는 고령화의 정치경제적 접근(political economy of aging)에 바탕을 둔 노동시장접근방법을 차용하였다. 본 목적을 위해 전미고령자종단연구 1966-1991(최종분석대상 n=2,784)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55세 현직에서 계속 근무하는 형태(27.3%), 55세 직업을 그만두고 전직하여 다른 직업에서 근무하는 형태(46.1%), 노동시장전출입을 반복한 형태(4.4%), 간헐적으로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형태(15.9%), 영구 퇴직하여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는 형태(6.3%)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설명모델을 추정한 결과 건강의 정도, 코호트 소속, 민족적 배경, 가치관 변수보다는 기업연금, 공적연금, 노동시장상태, 직업의 구조변수들이 고령자의 경력마감행동에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노동시장접근관점이 조기퇴직을 설명하는데 더 강한 설명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초기 노인의 은퇴 후 재취업 경험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employment Experiences of the Young-old)

  • 여형남;김영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68-1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노인의 은퇴 후 재취업 경험의 본질과 의미 구조를 규명함으로써 지지적 간호중재 방안을 찾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 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은퇴한 후 재취업 경험이 있는 60세에서 74세 사이의 한국인 노인 7명을 편의표본 추출하여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심층 인터뷰와 테이프 녹음을 사용하여 2016 년 6월에서 8월까지 자료를 수집했다. 인터뷰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구성 요소가 도출되었다; 삶의 변화에 혼란스러움, 다시 일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인식함. 새로운 변화에 적응함, 새로운 인생이 열림. 결론으로 평균수명의 증가와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 간호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던 간호사는 임상에 국한된 업무에서 벗어나 사회 전반에 걸친 확장된 업무를 담당해야 한다는 중요성이 점점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초기 노인 은퇴자를 포함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간호 시 은퇴 이후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건강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 시스템과 지속적인 간호중재에 필요한 간호지침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생각한다.

미국과 캐나다 노인밀집도시의 노인주거관련 사회적지원에 관한 연구 : 농촌지역 소도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Supports for the Elderly Housing in Senior Concentrated C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 Focused on Small Cities along Rural Coun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3호
    • /
    • pp.23-4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supports for elderly housing and their residential lives in small cities along rural count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nd suggest future implications for age-concentrated rural villages in Korea. In this study, five small and medium cities in non-metropolitan counties of California and Ontario province were visited and elderly residents and service exper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perceptions of community integrated social support networks for senior residences. The senior housing complexes were built due to influx of both metropolitan and rural residents seeking warm localities, traffic connections, business purposes in active production areas. and leisure attractions. There are five main social support networks for senior housing issues in these areas. First, the areas are claimed for senior zones and accordingly health industries are encouraged by local authorities. Second, the community is homogeneously constructed as a senior friendly environment and include features such as an RV park and mobile cottages. Third, senior-helping seniors are offered active work through golf-cluster active retirement communities. Fourth, traditional theme production camps are mobilized by the elderly workers. Lastly, an information system is maintained for screening volunteers and for senior abuse prevention. On the other hand, residential lives are occasionally negatively influenced by unbalanced concentrations of elderly facilities such as nursing stations and funeral homes. For the future of Korean rural elderly policies,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an integrated urban and rural township that contains attractive places for early retiring people who seek a warm atmosphere in later life needs to be constructed. Second, an integrated model retirement village of urban and rural retirement life needs to be initiated as a measure of evaluat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movers in senior concentrated zones. Third, a cooperation system among governmental ministries needs to be formed with the long- term goal of establishing a traditional rural town of independent housing districts and medical facilities in rural areas. Fourth, productive and active lifestyles need to be maintained as the local community and government develop successful retirement rural villages, by limiting the expansion of nursing related facilities. Finally, generation integrated visiting welfare programs and service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for the housing areas especially in the winter, when social integration and activity are relatively low.

인구 고령화에 대응한 스마트시티의 함의 탐색 (Implication of Smart City in Adaption to Silver Population)

  • 이정언;이승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9-460
    • /
    • 2017
  • The research proposes theoretical recommendations for Smart City that targets elderly citizens. The elderly citizens in question are people currently in their mid-50s to early 60s, in order to adequately employ futuristic technologies into four major sectors: healthcare, post-retirement employment, community-based governance, and environment-friendly infrastructure.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 technical application of welfare to the elderlies through constructing a purposeful Smart City is desirable, environmental consideration should come in prior concern as a sustainable foundation.

  • PDF

조기퇴직자의 생활적응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일상생활 조사연구 : 일상생활 만족/불만족 근거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aily Life of the Early Retirees : Content Analysis of Sources of Life Satisfaction/Dissatisfaction)

  • 한혜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287-31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에 거주하는 조기퇴직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만족도를 조사하고, 만족 혹은 불만족의 근거를 파악하기 위해 일상생활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를 통하여 이들이 하루를 어떻게 보내고 경험하는지를 조사하며, 내용분석을 통해 만족 혹은 불만족의 근거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64세 이하의 조기퇴직자 101명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매우 만족, 만족/만족하는 편, 불만족/불만족하는 편, 매우 불만족하는 대상자 93명에 대한 개별적인 심층면접 결과를 통해 만족 혹은 불만족의 근거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조사대상자의 일상생활 만족도 수준은 5점 척도에서 평균 2.68로 낮은 편이었다. 일상생활 만족, 불만족의 근거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내적, 심리적 상태, 가족관계, 경제상태, 사회적 관계, 주요 일과, 퇴직에 대한 태도라는 6개의 카테고리와 31개의 구체적인 만족 근거, 35개의 구체적인 불만족 근거를 도출하였다. 퇴직 후 일상생활 만족, 불만족의 근거에 대한 응답분포를 분석한 결과, 불만족의 가장 큰 근거는 일과 관련된 것으로서 조기퇴직자자들의 일에 대한 열망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가정에서의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무위/무료한 일상에서 오는 불만족도 매우 빈번하게 지적되었다. 반면 일상생활 만족의 주요 근거로는 내적, 심리적 상태와 가족관계, 경제적 안정, 다양한 여가생활 등이 빈번하게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조기퇴직자의 생활적응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거시적, 미시적 차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미국의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과 서비스의 특성을 통해 본 한국의 노인주거 정책에 대한 제안 (Suggestion on Senior Housing Policy with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of Service and Housing Alternatives for the Senior of the U.S.A.)

  • 곽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6호
    • /
    • pp.81-95
    • /
    • 2003
  • While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nsiders it necessary that children support their parents, a new trend of silver support is expanding by the recent social change, the increase of women's working, and the reluctance to support the old people. However, the number of silver welfare facilities in Korea is short for the demand with limited selections of them. Based on the situation, the following results of the study what kind of policies Korea service for the old people in the USA where early stepped into the aging society: 1. provide specific and proper social-supporting service and facilities with charge or free for the old people to be able to select one of them, according to econom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situation of the old people; rather to prepare service and facilities for all the old people. 2. increasing community service support for the home-staying old people 3. the development of support program for the family of the old 4.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for the home-staying senior 5. prepare the housing alternatives for the senior would be home-lik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