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YE TRACKING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5초

시선추적형 가상현실기기를 통한 광고분석 시스템 (Advertisement Analysis System with Eye Tracking VR HMD(Virtual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 박재승;석윤찬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3호
    • /
    • pp.62-66
    • /
    • 2016
  • 최근 가상현실 기술이 세계적으로 대두되면서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과 결합하면서 새로운 트렌드로 형성하고 있다. 광고의 경우, 가상현실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을 건드리지 못한다는 특성 때문에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였는지에 여부에 대한 탐지와 확인이 어렵다. 그러나 기술의 진화로 가상현실 광고나 가상 쇼룸을 통해 보여 지는 영상을 디텍팅하고 분석이 가능한 솔루션을 통해 소비자의 인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즉 시선추적(Eye Tracking) 기술은 이러한 가상현실 광고분야에 있어서 사용자가 어떤 광고를 시청하였는지, 얼마나 자주 시청하였는지, 얼마동안 시청하였는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가상현실상의 광고 탐지와 VR 매체 광고 연구의 어려웠던 부분을 해소할 수 있다. 논문에서는 가상현실에서 광고를 시선추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새로운 VR플랫폼상 광고효과를 통해 기존의 TV, 인터넷, 지면 광고와 비교 분석을 통한 광고의 몰입도 및 광고 효용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제안된 연구내용은 서버와 VR HMD(Virtual Reality Head Mounted Display)와의 통신 및, 서버 측 출력화면 등이 포함 되어 있다.

시선추적 장치를 활용한 부정적 감정표현 이모티콘의 시각적 주의집중도 분석 (Analysis of Visual Attention i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Emoticons using Eye-Tracking Device)

  • 박민희;권만우;황미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580-1587
    • /
    • 2021
  • Currently, the development and sale of various emoticons has given users a wider range of choices, but a systematic and specific approach to the recognition and use of emoticons by actual users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perception and visual attention concentration of actual users o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emoticons through a survey and eye tracking experiment. First, as a result of subjective recogni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emoticons are frequently used because their appearance is important, and they can express various emotions in a fun and interesting wa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emoticons that express negative emotions are often used because they can indirectly express negative emotions through various and concretely expressed visual elements. Next, as a result of the eye tracking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emoticons focused on the large elements that visually emphasized or emphasized the emotional expression elements, and it was found that the focus was not only on the facial expression but also on the physical behavioral responses and language of expression of emotions.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users' perceptions and utilization of the diversified emoticons. In addition, for the long-term growth and activation of the emoticon industry market in the future, continuou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various emotions of real users and to develop differentiated emoticons that can maximize the empathy effect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시선추적-뇌파 기반의 비디오 요약 생성 방안 연구 (Video Summarization Using Eye Tracking and Electroencephalogram (EEG) Data)

  • 김현희;김용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95-117
    • /
    • 2022
  • 본 연구는 시선 및 뇌파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비주얼(audio-visual, AV) 시맨틱스 기반의 동영상 요약 방법들을 개발하고 평가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2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선추적과 뇌파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뇌파와 동공크기 데이터를 함께 사용한 방법의 평균 재현율(0.73)이 뇌파 또는 동공크기 데이터만을 사용한 방법의 평균 재현율(뇌파: 0.50, 동공크기: 0.68)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AV 시맨틱스 기반의 개인화된 동영상 요약의 평균 재현율(0.57)이 AV 시맨틱스 기반의 일반적인 동영상 요약의 평균 재현율(0.69)보다 낮게 나타난 원인들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AV 시맨틱스 기반 동영상 요약 방법과 텍스트 시맨틱스 기반 동영상 요약 방법 간의 차이 및 특성도 비교분석해 보았다.

Kalman filter를 이용한 비접촉식 응시점 추정 시스템에서의 빠른 머리 이동의 보정 (Compensation for Fast Head Movements on Non-intrusive Eye Gaze Tracking System Using Kalman Filter)

  • 김수찬;유재하;김덕원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4권6호
    • /
    • pp.35-41
    • /
    • 2007
  • 자연스러운 머리 움직임 하에서 응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하나의 카메라와 2개의 거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거울은 안구에서 눈동자의 영상을 언제나 카메라로 획득할 수 있도록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영상의 획득 속도가 초당 30 프레임이므로 거울의 제어가 빠른 머리 움직임을 보상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현재 안구 이미지에서 다음 안구 이미지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Kalman filter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수평방향으로 평균 55cm/s, 수직 방향으로 평균 45cm/s정도의 속도의 머리 움직임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머리 움직임의 공간도 수평 60cm, 수직 30cm의 넓은 범위까지 가능하였다. 공간 해상도는 수평과 수직 각각 $4.5^{\circ}$$5^{\circ}$ 였고, 자연스러운 머리 움직임 아래에서의 응시점의 정확도는 92% 였다.

시선추적 실험에 따른 가로공간요소의 관심영역 분석 (An Analysis of AOI(Area of Interest) based on the Eye-Tracking Experiment according to Streetscape Elements)

  • 김주연;박준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65-7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street elements when pedestrians have a view in the street. The research was utilized eye-tracking experiment and two times survey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experiment is composed as follow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wo days period from March 30 to 31, 2017. There were 43 participants who were all male and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data recording, the stimulus image was presented 65 seconds on a 23-inch monitor. Prior to analyzing data, the images were represented into five elements of AOI(area of interest). The fixation rate was divided by a period such as 'fixation time' and 'fixation count' parameters. The results were additionally obtained by linking analysis with the area ratio of AOI, time series analysis, and questionnaire. First of all, both building signs and advertisement standing boards draws attentions in participants. From a comparison between fixation rate and survey, the data have negative perspective view. Second, the advertisement standing boards are more eye-catching than other elements regardless of AOI size. It shows the priority of elements what should be developed in the environment. Third, the pavement is rarely seen in the fixation rate. Fourth, the trees are not a long frequency but viewed as a positive element. People want to keep the natural site in the street. In summative research, this method of extracting eye movement data would be provided a foundation data for developing streetscape plan based on scientific factors.

크로스아이 재머의 조우각에 따른 모노펄스 레이다의 거리 오차 (Range Error of Monopulse Radar according to the Engagement Angle of Cross-Eye Jammer)

  • 임중수;채규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0-3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크로스아이 재머의 위상차와 진폭비 및 조우각을 제어하여 모노펄스 레이다의 추적 거리오차를 분석하였다. 크로스아이 재밍은 모노펄스 레이다의 중요한 재밍 방법으로 레이다 수신안테나의 입력에 변위를 유발하여 레이다의 추적 각도를 오도시킨다. 모노펄스 레이다와 재머 사이의 조우각을 변화시키면서 레이다의 추적 거리오차를 분석한 결과 조우각이 0°이고 위상차가 180° 일 때 최대 거리오차가 발생하며 조우각이 45°~135°가 되면 거리오차가 최대 거리오차의 70%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재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전 재머나 다수 채널 재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항공기 및 함정의 크로스아이 재머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동물체 추적을 위한 능동시각 시스템 구축 (Active eye system for tracking a moving object)

  • 백문홍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257-259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the active eye system for tracking a moving object in 3D space. A prototype system able to track a moving object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mechanical system ables the control of platform that consists of binocular camera and also the control of the vergence angle of each camera by step motor. Each camera has two degrees of freedom. The image features of the object are extracted from complicated environment by using zero disparity filtering(ZDF). From the cnetroid of the image features the gaze point on object is calculated and the vergence angle of each camera is controlled by step motor. The Proposed method is implemented on the prototype with robust and fast calculation time.

  • PDF

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실시간 눈 검출 및 추적 (Real-Time Eye Detection and Tracking Under Various Light Conditions)

  • 조현섭;민진경;김희숙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7-19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명하에서 실시간으로 눈을 검출하고 추적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한다. 기존의 능동적 적외선을 이응한 눈 검출 및 추적 방법은 외부의 조명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밝은 동공 효과와 전형적인 외형을 기반으로 한 사물 인식 기술을 결합하여 외부 조명의 간섭으로 밝은 동공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견실하게 눈을 검출하고 추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눈 검출과 추적을 위해 SVM과 평균이동 추적방법을 사용하였고, 적외선 조명과 카메라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를 구성하여 제안된 방법이 효율적으로 다양한 조명하에서 눈 검출과 추적을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시선 추적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shion Design Cognition Using Eye Tracking)

  • 이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3-336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gnitive process of fashion design images through eye activity tracking.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process and gaze activity according to image elements were confi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in the gaze time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the model and design. Although model diversity is an important factor leading the interest of observers, the simplicity of the model was deemed more effective for observing the design.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by segments regarding the gaze weight of the image area showed differences for each group. When a similar type of model is repeated, the proportion of face recognition decreases, and the proportion of design recognition time increases. Conversely, when the model diversity is high, the same amount of time is devoted to recognizing the model's face in all the processes. Additional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gaze activity in recognizing the same design according to the type of model. These results enabled the confirm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model as an image recognition factor in fashion design. In the fashion industry, it is important to find a cognitive factor that attracts and retains consumers' attention. If the design recognition effect is further maximized by finding service points to be utilized, the brand's sustainability is expected to be enhanced even in the rapidly changing fashion industry.

Visual Perception Experiment Study on the Brand Effect - Comparison of Domestic and Imported Car Brand -

  • Im, Hajin;Kim, Chiyoung;Kim, Soojung;Yu, Sooyeon;Kwon, Mahnw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46-154
    • /
    • 2021
  • Conspicuous consumption is often investigated in Korea and consumers purchase a product to publicly display economic power or social status. The existing studies argue that brand loyalty and luxury brand preferences escalate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different visual perception to understand irrational consumers' behavior. Car emblem as brands' visual identity represents the brand's image, mission and message. Irrational consumers thus are expected have different visual perception to the emblem or logo. To understand the impact of irrational consumer behavior on visual perception, this study explored how brand loyalty and luxury brand preferences impact on the visual perception of car emblems between Korean domestic brand and imported brand. This study used eye tracking technology to measure the respondents' attention on an emblem of the cars. Eye tracking tools analyze fixations and measure the attention on a specific area of interests (AOI). This study explored the maintaining time and frequency on AOI, as well as explored the size of pupil to identify the respondents' attention on the AOI. In this experiment, the logos of domestic cars (i.e., Hyundai and Kia) and foreign cars (i.e., Mercedes-Benz and BMW) were swapped to see how irrational consumer behavior impact on visual perception of car emb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