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RGREEN BROAD-LEAVED PLANT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상록활엽수 3종의 한반도분포 및 자생북한계지 (Distribution and Northernmost Limit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ree Evergreen Trees)

  • 이정현;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7-273
    • /
    • 2010
  • 본 연구는 표본과 현지조사를 토대로 대표적 난온대성 상록활엽수인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의 한반도 분포를 조사하고, 각 종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조사결과 이 종들은 제주도, 울릉도, 남해안 및 서해의 인천 도서지방까지 분포하며, 이는 한반도 남해안아구계와 일치하였다. 붉가시나무의 서쪽 자생북한계지는 인천시 옹진군 덕적면 납도이었으며, 동쪽은 금번조사를 통해 울릉도에서 새로운 자생지가 확인되었다. 참식나무의 자생북한계지는 인천시 옹진군 덕적군도(각흘도, 광대도, 하고도)이었으며, 후박나무의 자생북한계지는 인천시 옹진군 대청도로, 3종중 가장 고위도 까지 분포하였다. 이들 상록활엽수 분포 조사결과는 한반도 식물구계 구분 및 기후변화 생물지표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II)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귀화식물 -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I) - Rare, Endangered and Naturalized Plants -)

  • 김용식;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8-139
    • /
    • 1996
  •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난대상록활엽수림의 12개 지역을 대상으로 이 지역에 주로 출현하는 상록수종과 생육하고 있는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난대상록활엽수림에 70% 이상 공통적으로 고르게 출현하는 수종으로는 녹나무과의 생달나무, 후박나무 등 28과 34속 37종류로 파아고디었으묘, 이들 수종은 상록활엽수림의 복원모형을 만드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리라 판단된다. 면적 100m$^{2}$당 종수는 보길도가 5.511로 가장 높았으묘, 미조리(4.677), 맹선리(2.481) 등의 순이었다. 관찰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물푸레나무과의 이팝나무를 포함한 4종 등 총 24과 32종이었으며 보길도에서 13과12종 1변종 등 13종류로 가장 많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파악되었다. 귀화 및 도입식물의 경우 국화과는 7종, 콩과는 5종, 자리공과는 2종을 파악되었다. 이 외에 비름과, 자작나무과, 능소화과, 명아주과, 닭의장풀과, 측백나무과, 꿀풀과, 아욱과, 분꽃과, 소나무과, 마디풀과 및 낙우송과 등 12과는 각 1종씩 총 12종이 확인되었다. 보길도의 경우 낙우송과의 삼나무 등 총 9과 13속 13종으로 가장 많은 도입 또는 귀화식물이 식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격리된 소규모 도서 생태계의 합리적인 보전을 위한 관리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PDF

筽篒度와 燐近 島嶼의 植物相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Flora of Osik Island and its Neighboring Two Islands)

  • Kim, Doo Young;Jeom Sook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7권3호
    • /
    • pp.158-169
    • /
    • 1983
  • An investigation on the floras of Osik island and its neighboring two islands, 13km west of Gunsan, show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305 kinds belonging to 81 families, 132 genus, 259 species, 42 varieties, 4 formas. Of the 305 kinds collected 213 kinds were herb and 92 kinds were woody plant. Seven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cluding Euonymus japonica T., Eurya japonica T. and Elaeagnus macrophylla T. etc. are listed in the Norae-sum and Ga-do. The vegetations of Norae-sum and Ga-do were more favorable than that of Osik-do which vegetation was destructed by human inerferences. Coastal plants in these areas were about 30 species. It is interest that the floras of these areas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Gogunsangun-do (r=0.97) inspite of adjacency to inland area.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지구 산림군집구조 및 천이계열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Succession of Kojedo District,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이경재;김보현;김동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1-344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지구 산림의 군집구조 및 천이계열을 연구하기 위하여 56개 조사구(10m$\times$10m)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하였다. 56개 조사구는 TWINSPAN분석에 의하여 굴참나무-느티나무군집(I), 굴참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군집(II), 곰솔-생달나무-참식나무군집(III), 곰솔-소나무군집(IV)으로 분리되었다. 거제도지역 대부분의 산림은 인위적 교란을 받은 후 형성된 맹아림과 조림식생으로 4개 군집의 평균 수령은 35~40여년이었고 $600\m^2$당 출현종수는 32~44종이었다. 또한 낙엽활엽수(굴참나무, 느티나무 등)림은 참식나무, 생달나무를 중심으로 한 상록활엽수림으로, 상록침엽수(곰솔, 소나무 등)림은 참식나무, 생달나무, 육박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고 있었다.

  • PDF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 강지우;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3-178
    • /
    • 2023
  • 본 연구는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천관산도립공원의 지속적인 관리와 보호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진행되었다. 천관산도립공원의 63개 조사구에 대한 식물군집구조 분석 결과, TWINSPAN과 DCA분석을 통해 삼나무군락(I), 편백-소나무군락(II),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III), 침활혼효군락(IV), 소나무군락(V), 낙엽성참나무류군락(VI), 신갈나무-소나무군락(VII), 곰솔군락(VIII)의 총 8개 군락으로 나뉘었다. 이는 조림수종인 삼나무와 편백, 리기다소나무가 우점하는 인공림 군락(I, II, III)과 자생수종이 우점하는 자연림 군락(IV, V, VI, VII, VIII)으로 나눌 수 있다. 천관산도립공원은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도립공원 지역임에도 다른 도립공원에 비해 인공림의 출현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공림 군락은 조림수종이 인위적으로 식재된 형태로 대부분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주변 자연림을 통해 유입된 난온대 수종인 후박나무와 참식나무 등과 낙엽활엽수 등의 자생종이 하층에 출현하고 있어 관리를 통해 기후적 특성에 맞는 자연림으로의 천이 유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림 군락은 대부분 낙엽성참나무류와 소나무가 경쟁하고 있는 상태로 한국 난온대 지역의 식생천이계열상 천이 초기단계로 보여지며, 천이계열상 침엽수 다음으로 출현하는 졸참나무나 신갈나무로의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난온대 지역의 천이 중간단계에서 출현하는 후박나무, 참식나무 등이 출현을 시작하고 있으며, 기후 특성을 고려하면 장흥군은 난온대 지역에 속해있어 최종적으로 상록활엽수가 우점하는 난온대림으로의 천이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식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자료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산림식생자료 구축과 식생변화 관찰 등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loristic study of bryophytes in a subtropical forest of Nabeup-ri at Aewol Gotjawal, Jejudo Island

  • YIM, Eun-Young;HYUN, Hwa-J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00-108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survey of bryophytes in a subtropical forest of Nabeup-ri, known as Geumsan Park, located at Aewol Gotjawal in the northwestern part of Jejudo Island, Korea. A total of 63 taxa belonging to Bryophyta (22 families 37 genera 44 species), Marchantiophyta (7 families 11 genera 18 species), and Anthocerotophyta (1 family 1 genus 1 species) were determined, and the liverwort index was 30.2%. The predominant life form was the mat form. The rates of bryophytes dominating in mesic to hygric sites were higher than the bryophytes mainly observed in xeric habitats. These values indicate that such forests are widespread in this study area. Moreover, the rock was the substrate type, which plays a major role in providing micro-habitats for bryophyte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studies of the bryophyte flora should be conducted on a regional scale to provide basic data for selecting indicator species of Gotjawal an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n Jejudo Island.

우리나라 미기록 식물: 남흑삼릉(흑삼릉과) (A new record for the Korean flora: Sparganium fallax Graebn.(Sparganiaceae))

  • 김찬수;김수영;문명옥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9-173
    • /
    • 2010
  • 제주도 동부지역의 저지대 상록활엽수림 내 습지에서 우리나라 미기록 종인 흑삼릉과(Sparganiaceae)의 남흑삼릉(Sparganium fallax Graebn.)이 채집되었다. 이 종은 지금까지는 일본, 중국, 대만, 인도, 인도네시아(수마트라), 미얀마, 뉴기니 등 우리나라보다 남쪽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남흑삼릉은 잎 뒷면에 능이 있고, 4-7개의 웅성 두상화서, 상대적으로 넓게 떨어져 있으면서 대개 자루가 없으나 최하위는 자루가 있는 자성 두상화서를 갖는다는 점에서 나머지의 흑삼릉과 식물들과 구분이 된다. 염색체 수는 2n = 2x = 30으로 2배체이며 염색체 크기는 $0.69-2.19{\mu}m$로 매우 작았다.

천관산도립공원 식생보전을 위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Plants Social Network for Vegetation Conservation on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in Jeollanam-do)

  • 강지우;이상철;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92-402
    • /
    • 2023
  • 본 연구는 천관산도립공원의 식물사회 특성을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식생관리와 도립공원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천관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126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출현한 목본수종을 조사하였고 희소종을 제외한 종을 중심으로 종간결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Gephi 0.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시오그램으로 작성하였으며, 인접한 노드 간 그룹을 나누어주는 모듈화 분석과 네트워크 중심성 및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된 방형구 내 출현빈도는 청미래덩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졸참나무, 사스레피나무, 때죽나무, 조릿대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희소종을 제외한 69종에 대해 종간결합분석을 실시하였고, 양성결합을 토대로 식물사회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식물사회네트워크는 69개의 노드와 396개의 연결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수종이 평균 약 17.9종과 종간결합을 맺으며 2.3단계 만에 서로 간 연결되었다. 69종은 모듈화 분석을 통해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1그룹은 주로 상록활엽수 및 난온대 지역에서 출현하는 수종으로 이루어졌으며, 2그룹은 낙엽활엽수 위주로 이루어졌다. 3그룹은 주로 햇빛이 잘 들고 건조한 양지에서 잘 자라는 수종으로 나뉘었다.

식생구조 관리를 위한 한국 미황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및 종다양성 분석 연구 (Study of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for Vegetation Management on Shrine Forest of Miwhang-sa, Korea)

  • 이성제;오오노 케이이치;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40-561
    • /
    • 2011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식생구조의 변화에 맞추어 미황사 사찰림의 현 식생구조분석과 종다양성을 고려한 사찰림의 식생학적 구조분석과 적합한 식생구조 선정 및 관리를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분석, 식생단위와 환경변수와의 상관관계, 생활형구조분석, 종다양성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현 사찰림은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분석결과 졸참나무-굴참나무 군락, 붉가시나무군락, 팽나무군락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환경변수 Ca, Mg, P 의 기준에 따라서 팽나무군락과 나머지 군락들(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과 붉가시나무군락)의 두 영역으로 분포하였다. 또한 환경변수 유기물(OM), Ni, Zn 에 따라서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과 붉가시나무군락의 분포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굴참나무 군락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붉가시나무군락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형 R1-2 식물인 조릿대가 관목층 이하에서 우점하고 있으며, 저층부의 종의 단순화를 이루고 있다. 종다양성은 졸참나무-굴참나무 군락이 붉가시나무 군락에 비하여 더 높게 나타났으며, 상록활엽수림으로 이루어진 남은사에 비해서 본 미황사 사찰림의 종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사회학적 분석결과를 통한 식생군락, 조릿대에 의한 저층부 이하의 종의 단순화, 종다양성 및 종균재도를 고려한 미황사 사찰림의 장기적 식생관리가 필요하다 사료된다.

내장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군락의 군집특성 및 분포 변화 연구 (The Study of Distribution Changing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National Monument No. 91)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신진호;전용삼;손지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5-57
    • /
    • 2016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northernmost limit of the distribution changing of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studied characteristic of plant communities of natural monument No. 91 in Najangsan national park,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highest importance percentage(I.P.) value at tree layer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Q. mongolica, 37.8%. But the highest value of mean importance percentage(M.I.P.) was D. macropodum, 32.8%. 2. The highest I.P. value at tree layer in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was C. laxiflora, 47.4%. The highest M.I.P. value was C. laxiflora, 28.8% and M.I.P. value of D. macropodum was 24.0%. 3. The highest I.P. value at tree layer in D. macropodum community was D. macropodum, 55.6%. C. laxiflora and Q. mogolica I.P. value was 14.8% and 6.8%, respectively. The highest M.I.P. value was D. macropodum, 47.9%. Sapium japonicum and C. laxiflora M.I.P. value was 11.4% and 10.7%, respectively. 4. The highest I.P. value at tree layer in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as C. laxiflora, 20.8%. Q. variabilis and Acer pseudosieboldianum I.P. value was 15.3% and 12.5%, respectively. The highest M.I.P. value was D. macropodum, 21.5%. It needs to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vegetation and importance percentage change in tree layer and subtree layer of D. macropodum. The researching results of D. macropodum distribution, the distribution range of D. macropodum showed expanded more than range of Lim and Oh' result(1999). In other words, it was distributed low density level between Najangsa temple and Byeokryeonam, and distributed in upper Keumsun waterfall and Wonjeok upper valley. D. macropodum was appeared on hiking trails around from Wonjeokam to Bulchulbong. Especially,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D. macropodum was distributed on Seoraebong's north which placed outside area of Naejangsa region.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distribution range of D. macropodum was expanded. Also,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sult of the field study of changing distribution study of broad leaved evergreen forest due to global wa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