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RP 템플릿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Fitness of ERP template Standardization Methodology for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중소기업 ERP 템플릿 표준화 방법론의 프로세스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조영빈;송희석;김성희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8 no.4
    • /
    • pp.1-16
    • /
    • 2003
  • ERP implementations are known to be unusually difficult, even when compared to other large-scale systems developing in a firm level, because it requires a substantial investment of time, money, and internal resources. Moreover,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that are increasingly adopting ERP feel much difficult due to the lack of resources. To promote the spread of ERP in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ERP template standardization methodology" led by government has been used for constructing ERP system in Korea. In this study, we present a study to measure fitness between ERP standard templates and business processes of 10 small enterprises in 5 industries. Also, we define a fitness measure suitable for this purpose. We car find that ERP template standardization methodology is partly adequate to establish ERP systems and it is required to add to templates which support the differences of business process.

  • PDF

A Development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to ERP Template (건설표준 ERP템플릿 개발 사례)

  • Lee, Min-Nam;Oh, Dong-Hwan;Kwon, O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939-942
    • /
    • 2003
  • 본 연구과제는 건설업체의 현재 문제점은 각 업체별로 상이한 분류 및 식별코드체계를 사용, 품목표기방식, 속성 포맷의 불일치, 용어와 단위의 불일치, 현 업계에서 사용하는 코드 분류체계는 호환이 되지 않고 국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부적합한 실정이다. 따라 기존의 통합정보시스템과 별개로 관리 운영이 이원화되어 오던 각종 건설정보를 건설CALS/EC 핵심기술을 적용하며 건설표준 ERP 템플릿시스템을 개발 할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표준 ERP 템플릿시스템과 건설통합분류체계의 표준코드의 연계로 건설CALS/EC 핵심기술이 적용된 건설표준ERP(통합DB)를 구축과 건설공사의 물량산출 데이터의 체계화된 물량예측과 물량공정의 통합화와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관리유지정보의 연계하여 그리고 현장관리 및 원가관리정보의 통신망접속으로 건설통합정보를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Construction Standards code and StandardsProcess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to ERP Template (건설표준 ERP뎀플릿에 적용된 건설표준코드와 표준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Lee, Min-Nam;Oh, Dong-Hwan;Kwon, O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749-752
    • /
    • 2003
  • 건설분야는 전산화가 낙후되어 있고, 개발 시스템간의 호환성이 결여되어 이중 삼중의 자료처리와 불필요한 인력소요 등 비효율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국가적인 표준코드와 표준업무프로세스의 기준 제시가 없어 과거 데이터에 대한 활용률이 저하되고, 데이터 작성시 표준적인 체계 미흡 등 실무 적용에 있어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 건설 표준규격의 부재는 건설분야 정보화사업의 중복투자 및 건설정보의 사장 등 인적, 물적 손실과 함께 곽가 경쟁력 향상에 장애요인을 초래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건설산업의 정보화로 건설 ERP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대기업을 중심으로 건설 ERP의 적용이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나 건설 표준규격의 미흡으로 정보 공유 및 재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정보 유통의 기반조성과 정보의 공동이용을 위한 통일된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적용시킨 건설 ERP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표준ERP템플릿에 표준이 될 수 있는 규격코드과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ERP템플릿시스템에 적용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Extended ERP Based Model AND System In Construction Industry (확장형ERP 건설분야 적용모델(E2CM) 및 시스템(eCOMIS)개발)

  • Lee, Min-nam;Oh, Dong-hwan;Shin, T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65-568
    • /
    • 2004
  • 최근 ERP에 고객관계관리(CRM), 공급망관리(SCM), 지식관리(KMS) 등의 기능을 확장한 확장형 ERP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타산업과 달리 건설산업의 특수성으로 인한 정보화의 부진으로 인해 이러한 새로운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ERP 확장모델이 없는 상태이며, 대기업의 경우 일부 이러한 모듈을 부분적으로 적용하려는 움직임은 보이고 있으나, ERP와 별도의 이종시스템으로 관리되고 있어 통합적인 ERP운용을 통해 얻을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자부에서 건설표준ERP템플릿으로 지정받은 ERP엔진을 모체로 협력업체와의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협업적IT시스템과 전자계약시스템, 그리고 변화되는 ISO에 대한 기업의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ISO인증관리시스템, 고객과의 관계관리를 위한 고객관계관리시스템, 절차서와 같은 기업 내의 표준화 된 문서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매뉴얼관리시스템, 결재관리를 위한 그룹웨어, 기업 내의 지식저장소 관리를 위한 지식관리시스템을 연구범위로 하여 건설분야 확장형ERP 모델(E2CM)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검증을 위한 시스템(eCOMIS)을 개발하였다.

  • PDF

A Case of JTEL's ERP Implementation through ASP (ASP 방식을 통한 제이텔의 ERP도입사례)

  • Hahm, Yong-Seok;Nam, Ki-Cha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4 no.1
    • /
    • pp.19-31
    • /
    • 2002
  • The JTEL's success case of implementing ERP through ASP is studied in this paper. This paper especially presents the detail processes of implementing ERP through ASP and the advantages of that. Critical success factors in this case study are that pre-prepared ERP template and repetitive prototyping methodology was successfully utilized and that end users involved positively and accepted the standard best-practice processes of the ERP template in this project. These factors reduced ERP training periods and also the whole implementation periods, which made the project time quite short and TCO less. Considering these success factors, ASP method provides the advantages of global e-business IT environment, continuous new IT technologies and flexible response to the business changes to the small and medium firms. Finally, the paper suggests the new direction and possibility for small and medium firms focusing on the core competency and utilizing new system infrastructure through ASP method compared with in-house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