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A

검색결과 6,247건 처리시간 0.031초

동기 및 비동기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에서 오류 제어 (An Error Control on Multimedia Distance Education System wi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ode)

  • 고응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9-146
    • /
    • 2003
  • 본 논문은 ERA(Error Recovery Agent)의 설계와 구축을 설명한다. ERA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오류를 감지, 공유, 복구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ED, ES, ER로 구성되어 있다. ED는 훅킹 기법으로 오류를 감지한다. ES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에서 오류를 공유하는 에이전트이다. ER은 오류를 복구하는 에이전트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 하나의 오류 응용을 미디어로 취급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ERA 부분방전 측정시스템의 측정불확도개선 (Measurement uncertainty Improvement of ERA PD measuring system in teat laboratory)

  • 허종철;김위영;김석수;오창수;박정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509-1510
    • /
    • 2006
  • ERA PD measuring system has been using for partial discharge evaluation of power appratus in test laboratories. So, the measurement uncertainty of PD measuring system (ERA), such as PD pulse calibrator rise and fall time, sacle factor(k) and linearity, transfer impedance etc, is very important factor of test result in test laboratory. In this paper, we describe tracebility and uncertainty improvement of PD measuring system in test laboratory based on IEC 60270.

  • PDF

Wave height from satellite altimetry and its comparison with ECMWF product

  • Kim, Seung-Bum;Cotton, P.David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37-340
    • /
    • 2002
  • Monitoring of wave height is important primarily to reduce storm risks at sea and along the coast. Wave heights in recent years have increased 50% for the last 40 years, thus requiring intensive monitoring. Satellite altimetry offers a powerful tool for regular and extensive monitoring of the wave height. We extracted significant wave height (SWH) using several altimeter missions from 1987-1995 over the Northwest Pacific and compared with ECMWF reanalysis (ERA) products. For large wave heights > 2.5 m, the ERA wave heights are smaller than the altimetric ones, while for small wave heights the ERA wave heights are larger. Comparison in SWH between altimetric derivations and ERA model products shows the discrepancy of 0.46-0.21$\times$SWH(m).

  • PDF

조선시대 규방문화를 반영한 패션디자인 개발 - 여성수식 장신구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n the Fashion Design Reflecting Gyubang Culture of Chosun Era - Focusing on the Personal Ornaments of Woman's Gache -)

  • 홍은정;간호섭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1호
    • /
    • pp.67-81
    • /
    • 2009
  • The culture of each era make their own art, and it is certain a sense of beauty is changed according to a flow of era. We can find an unique beauty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one era. And it is formed by the local and climatically influences according to their own ethnic character. Furthermore, an unique beauty is became an important element in forming the culture. That is, it is the universality in general. What is important is to develop of one's tradition on the background of the past for the futu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ersonal ornaments of women's Gache among the Cyubang culture in Chosun era. Throughout the study of clothing design that applies various decorative elements like an ornamental hairpin, a chignon ornament, and ttoljam among the women's Gache, this study is proposed to internationalize of clothing design utilizing the Korean specific character. The concep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grasp a definition and notion about Gyubang Culture of Chosun Era. Second, consider the definition of ornamental culture and the specific characters and kinds of women's ornaments. Third, analyze the trend and examples in the modern fashion applying women's ornam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included national science and literature, fashion magazines, newspapers, internet, and the research of like materials, with the intent to set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rnamental design. Throughout these backgrounds, I try to develop and make six modern clothing design that applies women's Gache.

일본 디자인 교육의 개황과 미래의 비젼 (An Outlook of Design Education in Japan and its Vision in the Future.)

  • 김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1-88
    • /
    • 1998
  • 일본의 디자인 운동은 1870년대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제4기로 구분하는데, 그 중 제 1기를 명치시대(Meiji era)개국에서 제 1차 세계대전가지로, 제 2기를 제 2차 세계대전가지, 제 3기를 제 2차 대전 직후부터 고도경제성장기 직전인 1960년까지 그리고 제 4기를 1960년 이후로 구분한다. 일본의 디자인 교육은 이러한 시대구분 속에서 2차 대전 전에는 유럽에서 시작된 갖가지 근대디자인운동, 즉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 독일공작연맹,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대전 후에는 미국의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일찍이 서구문명을 도입한 일본은 독자적인 디자인교육을 표방하여 1940년도에는 대학에 디자인 학과를 설립하기 시작했다. 그 후 정부의 디자인 정책에 힘입어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거품경제 붕괴 이후 일본의 전 대학에서는 교육개혁의 바람이 크게 일고 있다.

  • PDF

A Literature Analysis on Medicinal Use and Research of Cannabis in the Meiji Era of Japan

  • Ahn, Byung-Soo;Kang, Seokhyun;Lee, Kyung Hoon;Kim, Seoyoon;Park, Jin Sung;Seo, Hyung-Sik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2-157
    • /
    • 2020
  • Cannabis is a historical plant which has been used as a medicine in East Asia. These days, there are active debates about using cannabis in clinical field. Collecting and comparing cannabis research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the Opening of Japan to spo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raditional medicine of Japan, Rangaku which was established in Edo Period and the European medicine which is transferred after Perry Expedition is academically meaningful. This study searched publications, which were listed on Open-Access databases by Dec. 11th, 2019. We collected research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January 3rd, 1867 to July 30th, 1912 also known as Meiji era and uploaded on OpenAccess databases. Our searching databases were J-stage, CiNii (Scholarly and Academic Information Navigator), Tokyo Metropolitan Library, The National Diet Library, IRDB (Institutional Repositories DataBase) and KAKEN (Grant-in-Aid for Scientific Research Database). Searching keywords were cannabis, hemp and all their Japanese synonyms and available combinations. We selected final 15 studies which met every selection criteria in the 346,393 collected studies. Cannabis was prescribed in Meiji era of Japan to alleviate pain and cure the digestive, respiratory, urinary, and nervous system diseases such as indigestion, asthma, tuberculosis, gonorrhea and its complications, insomnia, and nervous prostration. Cannabis was medically used in Meiji era of Japan and the reporting and sharing of its clinical effect was published on the medical journals like present days. There were already Cannabis regulations in that era, but its medicinal use was more liberated than nowadays. It may be a chance to reconsider the current legal system, which strictly controls the use of Cannabis.

식민지 근대의 헤테로토피아와 괴담, 그리고 모던의 불안 (Heterotopia, Strange Stories, and Modern Anxiety in the Colonial Era)

  • 이주라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23-46
    • /
    • 2016
  • 이 글에서는 식민지 근대 조선의 영토 내에서 존재하였던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에 주목하였다. 근대 질서에서 보기에는 이질적이나 당대 사회의 희망을 구현했던 헤테로토피아를 찾아서, 그 공간들이 가졌던 실제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런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을 식민지 근대 지식인들이 담론화하는 방식을 살펴보며, 근대적 지배 체제에 대한 당대의 또 다른 시각을 알아보았다. 삼일독립운동이 시작되었던 탑동공원과 정신병동인 동팔호실은 근대적 관점에서 가장 이질적이면서도 그로테스크한 공간이었다. 그곳은 근대성이 실패한 공간들로 표상되었다. 하지만 이 공간 속에서는 독립에 대한 발화가 공공연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는 이 공간들이 당대 사회의 희망을 담아내는 유토피아로 기능하게 하였다. 그렇지만 당대의 지배 체제는 이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를 괴담으로 간주하며 폄하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야기인 괴담은 근대의 지식 체계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당대의 지배 체제가 불완전함을 드러내었다. 체제의 불완전함은 일상에 대한 불안을 야기하였다. 이처럼 이 글에서는 헤테로토피아를 괴담으로 왜곡하여 전달하였던 담론화의 방식을 통해 식민지 근대의 질서가 가지고 있던 불안의 한 측면을 살펴보았다.

전기 영화가 인물과 역사를 소환하는 한 방식에 대해 - 영화 <황금시대>를 중심으로 (On a Way in which Biographical Film Summons Character and History - Focusing on the Film, The Golden Era -)

  • 진성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39권
    • /
    • pp.287-308
    • /
    • 2015
  • Biographical film is a genre narrativizing the actual person and history, and reproducing the character and history in a biographical film is in a dimension different from a film focused on a fiction. Discussion between these methods of narrative composition and image reproduction in a biographical film is also, in line with artistic/aesthetic problems and ethical/philosophical theses of the film text. This study discusses the phase of the way of reproduction of the actual person, $Xi{\bar{a}}o$ $H{\acute{o}}ng$ in the biographical film, The Golden Era and the time she lived in a biographical film and how the audience's discussion of the film and socio-cultural discourse differ depending on their attitude towards the cinematic introspection of the text. The narrative structure, the method of image reproduction and cinematic devices of the film, The Golden Era are completely off the point of the general format of the traditional biographical film. In The Golden Era, $Xi{\bar{a}}o$ $H{\acute{o}}ng$ and the history which she lived in did not revive depending on an omniscient subject's selective statement and meta-film structure. Ann Hui removed general, mythic images of $Xi{\bar{a}}o$ $H{\acute{o}}ng$ formed in the field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reproduced her through multilateral visions of a real, fictional narrator. Each spectator's judgment and interpretation of the film intervene in the multi-layered and sparse descriptions of the actual person's images and the era of the character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uniqueness and authenticity a historical character, $Xi{\bar{a}}o$ $H{\acute{o}}ng$ and to have an opportunity of multi-layered reflection on how to secure a critical distance and make a perception in historical judgment.

태풍 기상장의 신뢰도 분석: 태풍 산바(1216) (Analysis of Reliability of Weather Fields for Typhoon Sanba (1216))

  • 권갑근;조명환;류경호;윤성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465-480
    • /
    • 2020
  • 2012년 남해안에 내습한 태풍 산바에 의해 발생한 폭풍해일과 파랑을 JMA-MSM 예보기상자료, NCEP-CFSR 재분석 기상자료, ECMWF-ERA5 재분석 기상자료, JTWC의 최적경로를 이용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수치모의하고, 계산된 해일고를 전국 해안의 항만에서 관측된 폭풍해일 시계열 자료와 비교하였으며, 파랑에 대해서는 계산된 유의파고를 해상 부이 및 수압식 파고 관측 자료와 비교하였다. 이 비교를 통해 태풍 산바에 대한 각종 기상장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JMA-MSM 기상자료와 NCEP-CFSR 기상자료가 가장 신뢰도가 높았고, ECMWF-ERA5 기상자료는 전반적으로 해일고나 파고의 크기가 작게 나타났으나, 태풍 전면부의 수렴대는 가장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TWC의 최적경로를 이용한 기상자료는 신뢰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효과적인 광고 방향에 관한 연구 (Effective Advertising Direction in the post-COVID-19 Era)

  • 이제영;정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89-101
    • /
    • 2022
  • 코로나19는 소비자들의 수요와 습관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광고 방향을 찾아내기 위해, 광고 수용자의 주관적 관점에서 시장 변화, 기술 변혁 등에 대해 더욱 민감하고 소비 욕구가 높은 젊은 소비층을 실험 대상으로 하고, 그들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광고에 대한 인지실태를 Q방법론을 통해 고찰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광고 발전 모델을 탐색적으로 도출하였다. 이 모델은 소비자 수요를 중시하고 온라인 쇼핑 경로에 적응하는 '수요 발굴형 온라인 광고', 파생가치와 소비자 경험을 중시하는 '부가가치 창출형 체험 광고' 그리고 실용주의와 감성가치에 기반한 '실용 및 감정적 가치 창출형 광고' 등 크게 세 가지 유형의 광고로 구성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도 '다차원적 가치 추구', '소비자 경험 확장', '수요 발굴 및 선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광고의 지속가능한 실천을 위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