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42초

밀양산 콩포장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약제에 대한 감수성 (Insecticide Susceptibility in the Different Larva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l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Collected in the Soybean Fields of Milyang, Korea)

  • 배순도;최병렬;송유한;김현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5-231
    • /
    • 2003
  • 밀양에서 채집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약제의 반수치 사농도는 1령층에서 0.5-5.6ppm,2령층에서 9.9-27.9ppm, 3령층에서 9.6-125.1ppm 및 4령층에서 24.3-546.6ppm으로 약종에 따른 차이와 함께 유충의 영기가 증가할수록 높았다. 또한 약제별 추천농도에 대한 유충의 90%치사농도의 비로 나타낸 약제내성비(내성비=$LC_{90}$ 약제별 추천농도)도 1령충에서 0.04-0.8, 2령충에서 0.2-7.5, 3령충에서 0.7-115.3및 4령충 에서 1.2-483.4으로 약종에 따른 차이와 함께 유충의 영기가 증가할수록 높았다. 한편,동일 약제에서 유충의 영기간 반수치사농도, 및 내성비의 차이는 chlorfenapyr, chlorpyrifos 및 EPN에서 매우 낮았으며, lufenuron, chlorfluazuron및 teflubenzuron에서 매우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방제는 영기가 어릴수록 또한 약제감수성이 낮은 약제, 즉 반수치사농도 및 내성비의 차이가 적은 약제인 chlorfenapyr, chlorpyrifos 및 EPN을 사용할수록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서양종(西洋種)꿀벌의 살충제분해효소에 관(關)한 연구(硏究) (Enzyme Activities of a Honeybee(Apis mellifera L.)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Some Insecticides)

  • 서용택;심재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41-248
    • /
    • 1988
  • 서양종(西洋種) 꿀벌(Apis mellifera L)에 대(對)한 살충제의 독성(毒性) 및 해독능력(解毒能力)을 조사(調査)하고 농약한계사용량(農藥限界使用量) 결정(決定)에 기여(寄與)하기 위하여 7가지 대표적(代表的)인 살충제의 꿀벌에 대한 독성(毒性)및 해독효소(解毒酵素)의 활성(活性)을 조사(調査)하였다. 효소활성(酵素活性)은 해독효소(解毒酵素)로 알려진 microsomal oxidases, glutathione S-transferases, esterases 와 DDT-dehydrochlorinase를 조사(調査)했고 성충(成?)일별의 중장(中腸)을 사용(使用)하여 측정(測定)하였다. $LC_{50}$치(値)의 측정결과(測定決果) 공시(供試) 살충제중(殺?劑中) DDT가 58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낮았고 EPN이 1.61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강(强)했다. 준치사농도(準致死濃度)의 농약(農藥)이 성충(成?)일벌의 microsomal oxidase에 미치는 영향은 malathion 및 permethrin 처리(處理)가 aldrin epoxidase 활성(活性)을 저해(沮害)시켰고 N-demethylase 활성(活性)은 diazinon 처리구(處理區)에서 증대(增大)되었다. Ghtathione S-transferarse(DCNB conjugation) 활성(活性)은 diazinon과 permethrin 처리구(處理區)에서 증대(增大)되었다. Esterase는 malathion 및 permethrin 처리구(處理區)에서 ${\alpha}-NA$ esterase활성(活性)의 저해(沮害)를 보였고 diazinon처리구(處理區)에서 carboxylesterase활성(活性)이 증대(增大)되었으며 AChE 활성(活性)은 거의 영향(影響)이 없었다. DDT-dehy drochlorinase활성(活性)은 carbaryl 및 permethrin 처리구(處理區)에서 증대(增大)되었다.

  • PDF

Effects of some organophosphate pesticides on the murine immune system following subchronic exposure 1

  • Moon, Chang-Kiu;Yun, Yeo-Pyo;Lee, Soo-Hwan;Lee, Young-S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175-181
    • /
    • 1986
  • Four technical grade organophosphate pesticides (Fenitrothion, Fenthion, Dizninon and EPN)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ffects on the murine immune function. Among the immunotoxicological assay parameters of NIEHS, humoral immune parameter and pathotoxicological indicator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Subchronic exposure of rodents to these pesticides resulted in marked suppression of humoral immune function and moderate histological changes of lymphoid organ any significant alterations of clinical status.

  • PDF

Phenylmercuric Acetate-B와 Ethylparanitrophenylthiobenzen Phosphate 중독 한우(韓牛) 및 면양(緬羊)의 혈청(血淸) Transaminase와 Cholinesterase 활성도(活性度)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nd Serum Cholinesterase Activity of Cattle and Sheep after Administration of Phenylmercuric Acetate-B and Ethylparanitrophenylthiobenzen Phosphate)

  • 김대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3-25
    • /
    • 1975
  • Eight cattle and ten sheep were administrated various degree of PMA-B and EPN, and S-GOT, S-GPT and serum cholinesterase activity were tested. Serum cholinesterase activity showed no typical tendency, however, S-GOT/S-GPT ratios were decreased by the administration of PMA-B. It was suggested some degree of liver damage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chemicals was recognized.

  • PDF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페트리 네트 모델 성능 평가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Petri Net model using simulation method)

  • 강성귀;장석호;남부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3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22 Oct. 1993
    • /
    • pp.1105-1110
    • /
    • 1993
  • We applied the simulation method using Petri Nets to a FMS model. Generally ordinary Petri Net would be short of describing a real FMS operations. Hence we adopted the extended Petri-Mets(EPN) and timed places in order to have performance evaluation. Our simulator use data based modeled of Petri Nets in simulation. We can enhance the overall production rate of the system with the obtained results over a number of simulations.

  • PDF

Fate of Some Pesticides during Brining and Cooking of Chinese Cabbage and Spinach

  • Kang, Se-Mi;Lee, Mi-G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77-81
    • /
    • 2005
  • Chinese cabbage and spinach applied with eight pesticides at two different rates were subjected to brining, heat-cooking, and blanching to determine residue or transfer ratios of those pesticides. Residue ratio in discarded inedible portion varied significantly, 0-94%, depending on pesticides applied, vegetable type, and cooking processes. Average reduction ratios of residues during cooking process were 78, 46, 23, 12, 10, 9, 8, and 2% in dichlorvos, diazinon, chlorpyrifos, endosulfan, EPN, cypermethrin, deltamethrin, and fenvalerate, respectively.

과실 및 채소중 유기인계 잔류 농약에 관한 연구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 최영진;김세원;고영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81-186
    • /
    • 1986
  •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residues were investigated in six kinds of fruits and five kinds of vegetables.The material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grape, musk melon, apple, peach, plum, apricot, lettuce, green pepper, cucumber, pumpkin and tomato which were collected from June to september 1986 in Seoul. Residual pesticides investigated were Diazinon, Parathion, MEP (Fenitrothion), Malathion, EPN, MPP (Fenthion), PAP (Phenthoate) and Dimethoate and all samples were analysed by gas chromatographic technique with NPD (Nitrogen Phosphorus Detector). No sample was found to approach proposed national maximum residue limits in Korea.

  • PDF

Cobalt Phthalocyanine 탄소유기 전극을 이용한 농약 잔류량 측정 센서개발 (Development of Electro-Biosensor for the Residual Pesticides using Organic Carbon and Cobalt Phthalocyanine)

  • 유영훈;조형준;박원표;현해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2-7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탄소 유기물과 CoPh를 혼합하여 농약 잔류량을 측정 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구현 하였다. 작동 전극은 탄소유기물과 CoPh를 섞어 사용하였고 비율은 CoPh를 7%로 제작하였다. CoPh가 7%인 경우 저농도 thiocholine 농도에서도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대표적인 농약인 카보후란에 대하여 센서의 감도 한계는 약$0.5{\mu}g/L$ 수준이며, 농약 농도에 따른 전극의 출력이 선형적인 결과를 얻었다. 또한 EPN 및 클로로피리포스 농약에 대하여 실험 한 결과 카보후란과 같이 농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센서는 현재 농약 잔류량 측정에 사용되는 비색법과 비교하여도 감도 및 선형성 면에서 뒤떨어지지 않으며, 간이 농약 잔류량 측정기 센서로 사용가능성이 있다.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SFC) 방법에 의한 Paclitaxel 및 그 유도체의 분리 정제 (Purification of Paclitaxel and Its Derivatives by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SFC))

  • 조병관;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17-23
    • /
    • 1999
  • 초임계 이산화탄소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한 paclutaxel baccatm III, 7-epn-10-deacetyltaxol.cephalomanme, 10-deacetyltaxol의 분리에서 초임계 유체의 압력, 온도 및 이동상의 조성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Pachaxel, 10-deacetylbaccatin III, 10-deacetyltaxol은 압력, 온도, 이동상의 조성 변화에 의하여 우수한 분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acltaxel 의 경우 압력 275kg/$\textrm{cm}^2$,온도 $40^{\circ}C$, 이동상 조성을 초기 20분간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인 메탄올을 각각 3.9~3.6mL/min, 0.1~0.4mL/min의 gradienl조건으로 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분리능을 보였다. Baccatin III, caphalomamine, 7-epn-10-deacetyltaxol의 경우에는 낮은 분리능을 보였다. 주목 분말 시료로부터 paclitaxel 을 정제할 때 on-linc coupled SFE/SFC장치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 공정을 단순화하였다.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용매로하여 추출, 1차 정제 및 크로마토그래픽 정제 단계를 연속적으로 거쳐 38%수율로 95%paclitazel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HPLC 및 GC에 의한 농약분석에서 전처리에 대한 연구 (Studies on Pretreatment for Analysis of Pesticides by Using HPLC and GC)

  • 오보영;배준현;강준길;김연두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63-669
    • /
    • 1999
  • HPLC/UV 및 GC/FPD 법을 사용하여 환경수에 존재하는 Diazinon, EPN, Fenitrothion, Phosalon 및 Phosmet 등 5종의 유기인계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전처리 과정으로 고체상추출법(SPE)과 용매추출법(LLE)을 각각 적용한 결과, 회수율과 재현성에 있어, HPLC/UV에서는 용매추출법(LLE)보다 고체상추출법(SPE)이 더 우수하였고, GC/FPD에서는 고체상추출법(SPE)보다 용매추출법(LLE)이 더 우수하였다. 또 수돗물 및 하천수(와룡천)에 일정량의 유기인계 농약을 가하여 만든 합성시료중 각 성분을 분석한 결과, SPE-HPLC/UV 법에서는 회수율이 101%, % RSD는 4.3∼8.7이었고, LLE-GC/FPD 법에서는 회수율이 100%, % RSD는 3.2∼9.5이었다. 이 결과는 두 방법 모두 유기인계 잔류농약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