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ON

검색결과 1,994건 처리시간 0.03초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alysis of bamboo salt on chicken emulsion sausage

  • Lee, Sol-Hee;Kim, Gye-Woong;Kim, Hack-You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1호
    • /
    • pp.103-110
    • /
    • 2020
  •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emulsion sausage manufactured with various levels of NaCl and 9 times heated bamboo salt (0.3%, 0.6%, 0.9%, and 1.2% respectively) were examined. The pH value of chicken emulsion sausage was increase tendency with increasing amount of bamboo salt, on the contrary in case of NaCl sample were decrease tendency with increasing amount of NaCl. Both before and after heating, redness of chicken emulsion sausage with bamboo salt treatments were upward trend with increasing amount of bamboo salt. water holding capacity (WHC) of 1.2% NaCl samp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0.3%-0.9% (p < 0.05), but 0.9%, 1.2% bamboo salt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0.3, 0.6 % (p < 0.05). Water loss of 1.2% NaCl and 0.9% bamboo salt sampl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treatment (p < 0.05). Protein solubility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 of bamboo salt and NaCl (p < 0.05), and samples of 0.9% NaCl and 0.6% bamboo salt values show similar values. Cooking yield of samples were increased tendency with increasing amount of NaCl and bamboo salt. Also viscosity values of sample containing 1.2% bamboo salt sample showed higher viscosity than other treatments. These results show that containing 1.2% NaCl chicken emulsion sausage and 0.9% bamboo salt chicken emulsion sausage were similar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fore, bamboo salt is suitable for manufacturing chicken emulsion sausage.

The photocatalytic activities of nano-titanium dioxide on the cotton fabrics for self-cleaning properties

  • Metanawin, Siripan;Metanawin, Tanapak;Panutumrong, Praripatsaya;Hathaiwaseewong, Sunee;Chaichalermvong, Tirap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129-137
    • /
    • 2015
  • The study of photocatalysis of nano titanium dioxideon the cotton fabrics have been investigatedthrough self-cleaning properties. The mini-emulsion technique was employed to prepare the encapsulation of titanium dioxide nano particles in polystyrene beads prior used. The mini-emulsion was coated on the cotton fabrics using Pad-dry method.The loading amount of TiO2particles into the mini-emulsion were various from 1%wt to 40%wt. The particles sizes of the TiO2-encapsulated polystyrene mini-emulsion were investigat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It was noticed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mini-emulsion was in the range of 100- 200 nm. The morphology of treated cotton fabrics were investiga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crystal structure of TiO2-encapsulated PS mini emulsion which coated on cotton fabrics were examined by X-ray diffraction spectroscop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otocatalytic activities of TiO2 through the selfclea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tton fabrics, colorant stains were created on the samples. Coffee stains were used as colorant organic stains. The result shown that the coffee stained on the cotton fabrics significantly showed the improving of the self-cleaning properties under UV radiation.

분리 녹두 단백질과 이를 화학적으로 수식화한 단백질간의 식품학적 기능성 비교 (A Comparison Study on Functional Properties of Mungbean Protein and Chemically Modified Mungbean Protein)

  • 손경희;민성희;박현경;박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3-59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rotein functionalities such as foaming and emulsifying properties by succinylation of protein isolates. Succinylated and unsuccinylated munghean protein isolates were tested for finding out the effects of pH, heat treatment and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on the solubility, emulsion capacity, emulsion stability, foaming capacity, and foam stabilit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uccinylation enhanced the solubility of MPI except at pH 4.5. When heated, succinylation great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succinylated MPI above $60^{\circ}C$. With the addition of NaCl, succinylation increased the solubility of MPI at acidic condition. 2. Emulsion capacity of succinylated MPI showed the lowest value at pH 7 and higher values at acidic and alkaine condition. when succinylated MPI was heated, emulsion capacity showed the highest at $80^{\circ}C$. With NaCl was added, emulsion capacity of succinylated MPI lincreased at pH 7, 9 or 11 decreased at pH 3 except addition of 1.0M NaCl. 3. Emulsion stability of MPI and succinylated MPI showed the highest at pH 4.5. Succinylation enhanced the emulsion stability of MPI at acidic condition. 4. The foaming capacity of MPI was increased at pH 3, 7 or 9 by succinylation. 5. When heated, foam stability of MPI and succinylated MPI showed the highest at pH 4.5 and at pH 11, respectively. When heated, both proteins showed the highest stability at $100^{\circ}C$.

  • PDF

Chitin의 분자량과 Phosphorylation 정도가 Microcrystalline Chitin의 유화안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lecular Size and Degree of Phosphorylation on the Emulsion Stability of Microcrystalline Chitin)

  • 이영춘;임지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09-1013
    • /
    • 1996
  • 게껍질로부터 얻은 분자량이 다른 chitin을 phosphorylation하여 얻은 MCC의 유화 안정능력은 중간 분자량의 chitin에 40% phosphorylation시킨 것(M-40-MCC)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MCC의 지방 결합 능력은 사용한 chitin의 분자량 크기에 별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phosphorylation 정도가 높은 MCC는 지방 결합 능력 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액상 커피 creamer에 사용되는 유화제의 50-70%를 MCC로 대체하여 제품을 만들어 품질을 평가한 결과 유화 안정성이 만족스러웠고, MCC를 첨가하면 creamer의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creamer의 백탁능력을 커피에 평가한 결과 MCC 첨가한 creamer의 L 값이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그리고 creamer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시료간에 여러가지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없었으나, MCC를 70% 첨가하면 creamer의 구수한 맛이 대조구보다 떨어지고 전체적인 선호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액상 커피 creamer에 50%정도의 MCC를 첨가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마이크로채널 내 이중유화 액적 형성을 통한 마이크로캡슐 제조 (Fabrication of Polymeric Microcapsules in a Microchannel using Formation of Double Emulsion)

  • 남진오;최창형;김종민;강성민;이창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5호
    • /
    • pp.597-601
    • /
    • 2013
  • 본 연구는 액적기반 미세유체 장치를 이용하여 단분산성 마이크로캡슐의 간단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제조 방법은 이중액적을 생성시키기 위해 기존의 복잡한 표면처리가 필요한 이중 유화과정을 대신하여 하나의 교차점을 가진 단일공정을 사용하고자 한다. 먼저, 분산상은 광중합이 가능한 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ETPTA) 단량체와 fluorocarbon (FC-77) 오일을 사용하고 연속상은 poly(vinyl alcohol) (PVA)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미세유체 채널 내부로 흘려 주면 하나의 교차점에 흐름이 집중되어 균일한 이중액적을 생성한다. 생성된 이중액적은 광중합을 통해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다. 상기 방법은 ETPTA 유체의 부피유속을 조절하여 이중액적의 껍질두께 제어가 가능하고 연속상인 물의 부피유속을 조절하여 전체 직경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양한 물질들을 함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작할 수 있으며, 약물전달시스템의 응용 기술에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복합 에멀젼계 마감재의 기초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Basic Properties of Composite Emulsion Finishes)

  • 류화성;신상헌;김득모;송성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1
    • /
    • 2020
  • 외단열 마감 공법에서 사용되는 얇은 바름재는 아크릴 에멀젼을 주 소재로 한 마감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란 개질 아크릴 에멀젼과 실리카 분산아크릴 에멀젼을 치환하였을때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실란 개질 아크릴 에멀젼은 인장강도 개선에는 큰 효과는 없었으나 부착강도, 물흡수계수, 온냉반복저항성의 성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카 분산 아크릴 에멀젼은 인장강도 개선에 효과적이며, 10%의 치환율에서는 부착강도, 물흡수계수, 온냉반복저항성의 성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아크릴 에멀젼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복합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에서 보습효과 (Moisturizing Effect in Emulsion Body Cleansing System)

  • 신문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5
    • /
    • 2010
  • 최근 불용성의 결정성 수산화 왁스, 불용성의 결정성 계면활성제 구조, 캡슐 입자, 스멕타이트 점토를 이용하여 고함량의 친유성 보습제를 함유할 수 있는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에서 바세린,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다양한 밀폐제의 보습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설험결과에 따르면, 유화제형 바디클렌저에서 바세린이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비하여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로션, 크림과 같은 "바르는" 제형에서는 바세린이 최고의 보습력을 가지지만 본 연구의 "씻어내는" 유화바디클렌정 제형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고함량의 음이온 양성이온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유화제형 바디클렌징시스템에서, 바세린은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비해 용해도가 커서, 헴굼과정에서 피부로의 부착량이 떨어짐으로 인해, 보습력이 부족함을 밝혀내었다.

Effects of porcine blood plasma on the emulsion stabilit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extural attributes of emulsified pork batter

  • Jin, Sangkeun;Choi, Jungseo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1호
    • /
    • pp.170-179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ddition of porcine blood plasma (PBP) to the emulsified pork batter as a substitute for the soy protein isolate (SPI) or sodium caseinate (SC) on the emulsion stability and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emulsified pork batter. A total of 10 treatments were no addition and 0.5%, 1.0%, and 1.5% addition with each of SPI, SC, and PBP. The moisture and fat losses of the pork emulsion after cooking decreased with increasing percentage of any of SPI, SC, and PBP (p < 0.05). Further, moisture loss was less for the PBP treatment than for SPI and SC (p < 0.05). The lightness, redness, and whiteness of the emulsified pork batter decreased (p < 0.05) due to any of the SPI, SC, and PBP treatments whereas the yellowness and the chroma and hue values increased. The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and chroma and hue values differed also among the SPI, SC, and PBP treatments (p < 0.05); however, the numerical difference between any two types of substitutes was less than 8% of the two corresponding means in all of these variables. Textural properties, including the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chewiness, and adhesiveness, were not influenced by any of the SPI, SC, and PBP treatments (p > 0.05), except for greater gumminess and chewiness for the PBP treatment than for SC.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PBP is comparable or even superior to SPI or SC in its emulsion-stabilizing effect and therefore could be used a substitute for the latter as a non-protein ingredient of pork emulsion batter.

NaCl 첨가량에 따른 돈육 유화물의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Emulsion)

  • 박신영;김학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51-556
    • /
    • 2016
  • 본 연구는 돈육 유화물을 저염 육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돈육 유화물 제조 시 NaCl 첨가량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처리구별로 돈육 유화물 제조 시 NaCl 첨가량을 0%, 0.3%, 0.6%, 0.9%, 1.2%, 1.5% 첨가하여 6개의 처리구로 분류하여 제조하였다. 수분 함량은 NaCl 1.5% 첨가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가졌다(P<0.05). 회분 함량은 NaCl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NaCl 첨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열 전 pH는 NaCl 0.9%, 1.2%, 1.5%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P<0.05), 가열 후에는 모든 NaCl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pH를 나타내었다(P<0.05). 색도 측정 결과 가열 전 명도는 모든 NaCl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가열 후 명도와 황색도는 NaCl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보수력과 가열수율은 NaCl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0.9% 처리구부터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점도는 NaCl 1.2%, 1.5% 처리구가 69.60~71.41 Pa s로, 대조구와 NaCl 0.3% 처리구의 51.13~51.61 Pa s보다 높은 점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결과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경도와 검성, 씹음성은 NaCl 1.5% 처리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돈육 유화물에 NaCl이 저염 수준인 0.9~1.2% 첨가되었을 때 NaCl 1.5% 첨가구와 이화학적으로 유사한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돈육 유화물을 이용한 저염육제품 제조 시 염 농도를 0.9%, 1.2%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고에너지유화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 (The Effects of Ethanol on Nano-emulsion Prepared by High-energy Emulsification Method)

  • 원보령;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9-19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s (HCOs)/오일/에탄올/물로 이루어진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에멀젼은 고에너지법인 균질기(homogenizer)를 병합하여 제조하였다.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입자 크기와 입자 분포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다른 성분의 조성은 같도록 하였다. HCO-20의 경우 에멀젼의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크기에서 에탄올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CO-30의 경우 계면활성제 농도 4.00 %에서 입자 크기가 나노미터 크기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의 농도가 4.25 % 일 때 조성 1에서 입자 크기가 $128.15{\pm}1.06nm$이고 조성 2에서는 $136.10{\pm}0.99nm$로 가장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마찬가지로 HCO-40은 계면활성제 농도 4.00 %에서 입자가 나노미터 크기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이 4.50%일 때 조성 1에서 입자 크기가 $115.85{\pm}0.78nm$이고 조성 2는 $121.15{\pm}0.35nm$로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HCO-60의 경우에서는 계면활성제 농도 4.00 %, 에탄올 농도 2.25 %에서 에멀젼의 크기가 $262.35{\pm}0.64nm$인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마이크로 크기의 에멀젼에서는 에탄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나노에멀젼에서는 에탄올의 특정 농도에서 최저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나노에멀젼의 불안정화 과정은 Ostwald ripening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안정한 에멀젼을 만들기 위한 에탄올의 함량을 계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