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

검색결과 2,390건 처리시간 0.026초

Development of EM Wave Absorber for Hi-pass System Using Amorphous Metal Powder

  • Kim, Dong-Il;Yoo, Gun-Suk;Choi, Dong-S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717-720
    • /
    • 2011
  •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fabricated the Electromagnetic(EM) wave absorber for an Electronic Toll Collection(ETC or Hi-pass) system by using Amorphous metal powder and CPE. The material properties and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he samples containing 50 wt.%, 60 wt.%, 70 wt.%, and 80 wt.% of Amorphous. Moreover, the EM wave absorption abilities were simulated for the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EM absorbers by adopting the measured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and then the EM wave absorber was fabricated based on the simulated design values. As a result, the EM wave absorber with the composition of Amorphous metal powder : CPE = 50 : 50 wt.% with the thickness of 2.6 mm has excellent absorption ability more than 40 dB at 5.8 GHz.

EM Wave Absorbers with Au Coated Conductive Sheets

  • Song Jae-Man;O Kyeung-Jin;Kim Dong-Il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6권1호
    • /
    • pp.71-75
    • /
    • 2006
  • In this study, EM wave absorbers based on Au coated conductive sheets were prepared, and their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s were investigated. An Au coated conductive sheet showed the transmission loss higher than 40 dB in $1{\sim}18$ GHz. Ba ferrite EM wave absorbers with an Au coated conductive sheet showed enhanced EM wave absorption and shield to compare with Ba ferrite EM wave absorbers without conductive sheets. Proposed EM wave absorbers with conductive sheets are useful to protect EM machines from EM interference by strayfields.

분포 혼합비율의 모수추정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Efficient EM Algorithms for Estimation of the Proportion of a Mixed Distribution)

  • 황강진;박경탁;유희경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8-77
    • /
    • 2002
  • EM algorithm has good convergence rate for numerical procedures which converges on very small step. In the case of proportion estimation in a mixed distribution which has very big incomplete data or of update of new data continuously, however, EM algorithm highly depends on a initial value with slow convergence ratio.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improve the convergence rate of EM algorithm in estimating the proportion parameter of a mixed data. Among them, dynamic EM algorithm by Hurray Jorgensen and Titterington algorithm by D. M. Titterington are proven to have better convergence rate than the standard EM algorithm, when a new data is continuously updated. In this paper we suggest dynamic EM algorithm and Titterington algorithm for the estimation of a mixed Poisson distribution and compare them in terms of convergence rate by using a simulation method.

Muscle Radiation Attenuation in the Erector Spinae and Multifidus Muscles as a Determinant of Survival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An, Soomin;Kim, Youn-Jung;Han, Ga Young;Eo, Wankyu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17-25
    • /
    • 2022
  • Purpose: To determine the prognostic role of muscle area and muscle radiation attenuation in the erector spinae (ES) and multifidus (MF) muscles in 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y. Methods: Patients with stage I-III gastric cancer undergoing gastrectomy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in this study.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oth paraspinal muscle index of ES/MF muscles (PMIEM) and paraspinal muscle radiation attenuation in the same muscles (PMRAEM) were analyzed at the 3rd lumbar level using axial computed tomographic images. Cox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stimate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Results: There was only a weak correlation between PMIEM and PMRAEM (r= 0.28). Multivariate Cox regression revealed that PMRAEM, but not PMIEM, w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survival. PMRAEM along with age, tumor-node-metastasis (TNM) stage, perineural invasion, and serum albumin level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both OS and DFS that constituted Model 1. Harrell's concordance index and integrated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ere greater for Model 1 than for Model 2 (consisting of the same covariates as Model 1 except PMRAEM) or Model 3 (consisting of only TNM stage). Conclusion: PMRAEM, but not PMIEM, w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survival. Because there was only a weak correlation between PMIEM and PMRAEM in this study, it was presumed that they were mutually exclusive. Model 1 consisting of age, TNM stage, perineural invasion, serum albumin level, and PMRAEM was greater than nested models (i.e., Model 2 or Model 3) in predicting survival outcomes.

한반도 신생대 후기 현무암의 근원 맨틀 암상과 두 종류의 부화 맨틀 (Mantle Source Lithologies of Late Cenozoic Basaltic Rocks and Two Varieties of Enriched Mantle in the Korean Peninsula)

  • 최성희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3호
    • /
    • pp.183-197
    • /
    • 2022
  • 한반도의 판 내부 기원 신생대 후기 현무암류(백두산, 전곡, 백령도, 평택, 아산, 간성, 울릉도, 독도, 제주도 등)에 대해 그 동안에 보고된 Sr-Nd-Pb-Mg-Zn 동위원소를 포함한 지구화학 자료를 종합정리하고, 그 근원 맨틀 속에 포함된 암상을 파악한 후 필요한 맨틀 단성분의 종류와 그 성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Sr-Nd 동위원소 상관도에서 제주도는 EM2형 해양도 현무암의 영역에 도시되는 반면 다른 지역 현무암류는 EM1형 해양도 현무암의 영역에 도시된다. Pb-Pb 동위원소 상관도에서 제주도는 인도양 중앙해령 현무암과 EM2 단성분 간의 혼합 배열을 보이는 반면, 다른 지역 현무암류는 인도양 중앙해령 현무암과 EM1 단성분 간의 혼합 배열을 보인다. 한반도 현무암류는 석류석 러어조라이트와 함께 과거에 섭입하여 맨틀 전이대에 정치하고 있는 해양판 물질(에클로자이트/휘석암, 원양 퇴적물, 탄산염)이 혼합된 맨틀에서 유래되었다. EM1형 단성분의 역할을 하는 물질은 오래전(~2.0 Ga)에 섭입되어 중성 부력으로 맨틀 전이대에 정치되어 있는 (함)K-Hollandite 원양 퇴적물로 추정된다. EM2 단성분은 맨틀 속에 섭입된 후 빠른 시간 안에 재활성된 상대적으로 젊은(아마도 태평양판의) 원양 점토 퇴적물일 가능성이 높다. 에클로자이트와 탄산염은 EM 구성요소는 아니나 한반도 현무암의 근원 맨틀 속에 공통 인자로 포함되어 있다.

양돈장 분뇨의 부숙 과정에서 DO 변화와 EM의 첨가에 따른 오염물질 및 악취 저감효과의 비교 (Comparison of Reduction Effect of Contaminants and Odor According to DO Change and EM Addition in Maturation Process of Piggery Slurry)

  • 강경호;감상규;허철구;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63-569
    • /
    • 2006
  • It was compared the reduction effect of contaminants and odor according to DO change and EM (effective microorganisms) addition in maturation process of piggery slurry. The maturation processes were divided into three cases as follows: R-1 was operated at $2.5mg/{\ell}$ of DO without the addition of EM, R-2 was operated at $7.5mg/{\ell}$ of DO without the addition of EM and R-3 was operated at $2.5mg/{\ell}$ of DO with the addition of EM. The addition of E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crease of DO for the reduction of CODcr, $NH_3-N$ and T-N in the maturation of piggery slurry. In addition, the reducing effect of odor intensity appeared high even in the short-term maturation period in case of adding EM and one could not even smell the stimulating odor of piggery slurry.

Cu 배선에 Al층간 물질 첨가에 의한 EM특성 개선 (Improvement of electromigration characteristics in using Ai interlayer)

  • 이정환;박병남;최시영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3-41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Cu 박막 증착 방법으로 유망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실질적 배선 증착 공정과 동일하게 시행하여 여러 조건에서 Cu를 증착하여 가장 EM에 관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조건을 알아보고 또한 박막의 미세구조가 EM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으며 MOCVD 방식으로 증착한 Cu박막의 표면과 barrier layer인 TiN과의 응력(stress)을 조사하여 차세대 EM모델인 grain boundary grooving 모델에 실질적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실험을 행 한 후에 정확한 EM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과 성능개선, 결함 예측, 그리고 소자의 배선설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보다 우수한 EM 특성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barrier layer위에 Cu와의 접착력(adhesion)을 향상시킬 수 있는 promoter로 Al을 이용하여 얇게 증착한 후 EM축적 파괴 실험을 하여 EM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실질적으로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도 병행하였다.

  • PDF

옻을 지지재로 사용한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의 흡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e EM Absorber's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ing Natural Lacquer by Binder)

  • 최동한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622-629
    • /
    • 2003
  • 고성능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를 개발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지재로서 주로 Silicone 고무나 CPE가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공예에서 사용되어 오던 옻에 대한 전자파 흡수능을 조사하고 이를 지지재로 사용하여 MnZn 페라이트와 배합하여 전자파 흡수체를 제작한 경우의 전자파 흡수능을 조사하고, 흡수체의 두께에 따른 흡수능을 조사하였다. 옻을 지지재로 한 MnZn 페라이트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는 CPE나 Silicone 고무를 지지재로 한 전자파 흡수체에 비하여 우수한 전파흡수특성 나타내었으며, 옻의 두께 변화에 따라 정합주파수와 전파흡수능이 변화함을 알았다.

  • PDF

확장된 Born 근사에 의한 EM 토모그래피 (EM Tomography by Extended Born Approximations)

  • 조인기;심현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권3호
    • /
    • pp.155-160
    • /
    • 1998
  • 확장된 Born 근사법을 사용하는 2.5차원 EM 모델링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2차원 역산에 근거한 EM 토모그래피 기법을 개발하였다. 역산법은 평활화 제한을 가한 감쇠최소자승법을 사용하였으며, 측정값은 2차 자기장의 수직성분으로 제한하였다. 적분방정식법에 근거한 3차원 EM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순한 형태를 갖는 모형에 대한 이론 자료를 계산하고, 이 자료를 측정값으로 EM 토모피래피 영상을 획득하였다. 거의 모든 경우에 EM 토모그래피 영상은 이상체의 위치는 비교적 정확히 추정하였으나, 전도도는 실제 값보다 상당히 낮게 추정하였다. 해상도 분석결과 수직해상도가 수평해상도에 비하여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aint형 전파 흡수체의 전파 흡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M Wave Absorption Characteristics in Paint-type EM Wave Absorbers)

  • 제승훈;김동일;최정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30-334
    • /
    • 2006
  • 본 논문에서 Sendust, Mn-Zn, Ni-Zn, Ba, Sr Ferrite를 사용하여 페인트형 흡수체를 제작하였다. 지지재로서는 enamel, epoxy, urethane 페인트들을 사용하여 각각 흡수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Al(OH)_3$으로 코팅한 흡수체의 대역폭은 코팅을 하지 않은 것보다 더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2 mm 두께의 적층형 흡수체는 X-band에서 대략 20 dB의 흡수능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