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S

검색결과 779건 처리시간 0.035초

유용미생물(EM) 기비시용 처리가 오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sal Applica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on the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 김영칠;안승원;강태주;박갑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23
    • /
    • 2015
  •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asal applica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on the grow and yield of cucumber. For treatments, the EM was applied to soil with fertilizer composed with $N-P_2O_5-K_2O$-manure (24.0-16.4-23.8-2,000kg) in the 1.0 strength (defined as EM+1S), 2/3 strength (defined as EM+2/3S), 1/2 strength (defined as EM+1/2S), without fertilizer (defined as EM), or only fertilizer in the 1.0 strength (defined as 1S). In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organic substance content and pH with the EM treatment. While the EC (Electric conductivity) concentration was decreased, plant-available P (phosphorus) was markedly increased. Chlorophyll content was highest in the treatment of EM+standard application rate for both semi-forcing and retarding culture.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lant height and internode length under the fertilizer treatment. Weekly harvested number of cucumber was highest at the treatment of EM+standard application for the semi-forcing culture, while it was 3.6 at the EM+1/2 application for the retarding culture. Weekly yield was greatest at the EM+standard application treatment and decreased with the decrease of fertilizer application rate. In addition, weekly yiel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reatment of 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s by production time with the fertilizer applications?. Yield was increased with temperature for the semi-forcing culture, while consistent pattern was maintained for the retarding culture.

우리나라 계통에서의 상태추정 알고리즘 및 향후 개선방향 (State Estimation Algorithm in Korea Power System & Improvement Direction)

  • 전재룡;여현근;송태용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97-98
    • /
    • 2008
  • 전력계통이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전력계통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안정하게 운영하는데 EMS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EMS에서 상태추정은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므로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EMS와 MOS를 이용하여 전력계통을 안정하게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MS와 MOS의 상태추정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상태추정 파라미터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성능분석 모델을 이용한 ATM 교환기 TMN EMS의 용량 측정 기법 (A Capability Measurement Scheme Using a Performance Analysis Model for the TMN EMS of ATM Switching Systems)

  • 강병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8S호
    • /
    • pp.2663-267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ATM 교환기 TMN EMS의 성능 분석을 위한 큐잉 모델을 제시한다. ATM 교환기 관리를 위한 TMN 시스템은 관리자, 대행자, ATM 교환기 등이 계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관리자는 여러개의 대행자와 통신하며, 대행자는 ATM 교환기의 관리 기능을 대행한다. 우리는 EMS를 구성하는 관리자의 용량과 성능을 예측하기 위하여 큐잉 모델을 정의하였다. 이 모델을 통하여 EMS의 평균 서비스 시간과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자가제조액비 장기연용 처리가 유기 오이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Organic Cucumber Productivity Affected by Long-term Application with Homemade Liquid Fertilizers)

  • 최현석;정지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7-100
    • /
    • 2019
  • 본 시험은 유기오이(Cucumis sativus L.) 선도농가에서 자가제조 액비를 장기간 연용하고 있는 순천과 김천지역의 농가를 선정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순천농가는 EM(EM 액비; 유용미생물)을 1년 및 15년간 연용한 곳을 각각 EM 1년차와 EM 15년차로 명명하였다. 김천농가의 재배구는 토착미생물(Microbes)을 4년 및 5년간 연용한 곳을 각각 Micro 4년차와 Micro 5년차 재배구로 분류하여 명명하였다. 액비 내 pH 수준은 EM 액비에서 약 7.7로 높았으며 EC는 Micro 액비에서 EM 액비 대비 0.1 dS/m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대량 무기성분은 두 액비 자재 간에 비슷하였다. 토양 EC는 EM 1년차 재배구에서 약 10.0 dS/m으로 매우 높았으며 나머지 재배구에서는 1.5 dS/m 이하의 수준을 보였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Micro 재배구에서 20 g/kg 이하의 수준으로 EM구보다 2배 이상 낮은 수준을 보였다. 토양미생물상은 재배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재배구간 SPAD와 광계II 활성은 토양 내 유기물함량과 EC 수준이 비교적 높았던 EM 15년차 재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EM 1년차 재배구에서 작물의 전질소와 칼슘 및 나트륨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지만 인산과 마그네슘의 흡수는 저하되었고, 특히 칼륨농도는 약 1.2%로 오이생육을 위한 적정 수준보다 2배 이상 낮게 관찰되었다. 염류가 과잉으로 집적되었던 EM 1년차 재배구에서 수량이 가장 적었다. EM 15년차 재배구에서는 생육후기에 수관이 가장 크게 확대되어 수량 증대효과가 관찰되어서, 10년 이상 장기간 유기액비를 연용하면 토양 안정성과 작물의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Loop-loop EM inversion and its applicability to subsurface exploration

  • Sasaki, Yutaka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
    • /
    • 2006
  • There are three types of frequency-domain loop-loop EM induction method, depending on the loop separation and their location relative to the ground surface: horizontal-loop EM (HLEM), fixed small-loop EM, and helicopter-borne EM (HEM) methods. Multidimensional inversion provides tomographic images of the subsurface resistivity structure and thus enhances the interpretational accuracy of loop-loop EM data. HLEM method is shown to be effective for exploring groundwater resources in weathered and fractured crystalline basement terrains in semi-arid regions. Also, HEM method is useful for locating weak zones in landslide areas. The applicability of inversion to small-loop EM data depends solely on the S/N ratio. The quadrature response of small-loop EM data can only give the equivalent conductivity of a homogenous half-space model, and thus the in-phase component is essential in inverting EM data. However, the in-phase response is much lower and decreases more rapidly with decreasing frequency than the quadrature response. Further work is needed to obtain conductivity-depth images from small-loop EM data.

  • PDF

나이브베이즈 문서분류시스템을 위한 선택적샘플링 기반 EM 가속 알고리즘 (Accelerating the EM Algorithm through Selective Sampling for Naive Bayes Text Classifier)

  • 장재영;김한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3호
    • /
    • pp.369-376
    • /
    • 2006
  • 본 논문은 온라인 전자문서환경에서 전통적 베이지안 통계기반 문서분류시스템의 분류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EM(Expectation Maximization) 가속 알고리즘을 접목한 방법을 제안한다. 기계학습 기반의 문서분류시스템의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양질의 학습문서를 확보하는 것이다. EM 알고리즘은 소량의 학습문서집합으로 베이지안 문서분류 알고리즘의 성능을 높이는데 활용된다. 그러나 EM 알고리즘은 최적화 과정에서 느린 수렴성과 성능 저하 현상을 나타내는데, EM 알고리즘의 기본 가정을 따르지 않는 온라인 전자문서환경에서 특히 그러하다. 제안 기법의 주요 아이디어는 전통적 EM 알고리즘을 개선하기 위해 불확정성도 기반 선택적 샘플링 기법을 활용한 것이다. 성능평가를 위해 Reuter-21578 문서집합을 사용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빠른 수렴성을 보이고 전통적 베이지안 알고리즘의 분류 정확성을 향상시켰음을 보인다.

어선 AIS에서의 하이브리드 GPS/EM 컴퍼스에 의한 선수방위 안정화 (Stabilization of ship's heading in AIS of fishing vessel by a hybrid GPS/EM compass)

  • 이유원;조현정;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1호
    • /
    • pp.50-55
    • /
    • 2010
  • The ship's heading information of hybrid GPS/EM compass were applied to the AIS of fishing vessel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ccuracy improvement. It is observed 453 each in AIS receiver of land among 3,982 each in AIS Rx/Tx transponder of the test ship at sea, and transmission interval according to the speed of ship is determined the 11.4% good transmitting data of the all information. In results, maximum compass error for the ship's heading of an EM compass was $19.1^{\circ}$. The variance of ship's heading owing to the speed of ship is surveyed. The COG (Course Over Ground) was changed extremely in $180^{\circ}W-179^{\circ}E$ range under 4.9knots, and in $24^{\circ}W-23^{\circ}E$ range over 4.9knots. Finally, using the ship's heading of EM compass and the COG from GPS for the autopilot system of a small fishing boat and the ship's heading information of AIS results in danger on the own ship's navigation safety and leads to make confusion both the others and VTS (Vessel Traffic Service) center. Therefore, the hybrid GPS/EM compass is identified as the best system for a small fishing boat and is allowed to offer continuously a ship's heading information with high accuracy and stability.

다중해상도 kd-트리와 클러스터 유효성을 이용한 점증적 EM 알고리즘과 이의 영상 분할에의 적용 (Incremental EM algorithm with multiresolution kd-trees and cluster validation and its application to image segmentation)

  • 이경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523-528
    • /
    • 2015
  • 본 논문은 효율적인 영상 분할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해상도와 동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새로운 EM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EM 알고리즘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성능이 우수한 클러스터링 방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EM 알고리즘은 다중해상도 데이터 처리에 대한 문제점과 클러스터 개수에 대한 사전 지식 요구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E-단계에 다중해상도 kd-트리를 적용함으로써 다중해상도 데이터 처리 문제를 해결하였고, 순차적 데이터에 따라 클러스터를 할당할 수 있데 하였다. 클러스터의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해서, 클러스터 병합 원칙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텍스쳐 영상 분할에 적용하였고,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Characteristics of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in Electromagnetic (EM) Dosimetry

  • Hwang, Sun-Tae;Choi, Kil-Oung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09-114
    • /
    • 2000
  • The SI unit of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in W/kg in the electromagnetic (EM) field as non-ionizing radiation is exactly same as the SI unit of absorbed dose rate in Gy/s in the ionizing radiation field. The SI unit of both physical quantities can be expressed in $[m^{\cdot}s^{-3}]$. Where, the unit of absorbed dose, Gy stands for Gray. In EM biological interactions, the SAR equations are deri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M field energy absorption in terms of the SAR are discussed and described on the mathematical ba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