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검색결과 850건 처리시간 0.022초

해상풍력 개발사업의 환경성 평가 협의 지침 개발에 관한 시사점 및 개선안 연구 (A Study on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Developing Consultation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s)

  • 이해미;맹준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6호
    • /
    • pp.449-464
    • /
    • 2022
  • 본 연구는 해상풍력 환경성 평가 협의 지침 개발 과정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침 개정을 위한 시사점 및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사례 연구는 국내 해상풍력 개발사업 협의 사례 및 환경입지 컨설팅 사례와 국외 해상풍력 관련 지침을 검토하였고 사업별 입지 특성과 주요 환경 이슈를 분석하였다. 해상풍력 관련 주요 환경 이슈로는 조류(새), 소음·진동, 해양 동·식물, 해양물리, 해양수질 및 해저퇴적물, 해양경관, 육상에 설치되는 기타 부대시설 항목이다. 해상풍력 환경성 평가 협의 지침 개정을 위한 시사점 및 개선안은 사업자가 해상풍력 사업 입지 가능 지역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자료 제공 및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누적영향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해상풍력 환경 이슈에 대한 누적영향평가를 위해서는 국내 상황을 반영한 항목별 누적영향평가 방법론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협의 지침 개정 시에는 해역별 해상풍력단지의 환경조사 및 모니터링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실증 연구사례가 반영되어야한다.

비전통 가스 개발의 국내외 환경영향평가 현황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Unconventional Gas Development)

  • 조한나;박주양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3호
    • /
    • pp.227-235
    • /
    • 2014
  • Interest has been growing worldwide in unconventional natural gas that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source of energy in the world. Unconventional gas development, including shale gas, generally involves a larger environmental impact, compared to conventional gas development, due to its intensity and scale of the operation. There are a growing number of studies on identifying and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unconventional gas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s the current environmental policies and regulatory systems related to the unconventional gas development. The study shows that few environmental regulation exists concerning unconventional gas development, even in the USA where unconventional gas development is most actively pursued. Regulations, however, are being developed based on studies currently underway on health and environmental risks of unconventional gas development and on guidelines designed to reduce the risks. In a world where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ever strengthening, review the environmental regulatory systems and guidelines about unconventional gas need to be established for Korean firms to understand environmental impacts of unconventional gas development they invest or take part in, enabling them to manage and operate gas activities in a way that minimizes environmental damages.

국내 포유동물에 적합한 생태통로의 유형과 규격 (The Suitable Types and Measures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for Mammals of Korea)

  • 최태영;양병국;우동걸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209-218
    • /
    • 2012
  • In this study, suitable types and measures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WCS) for mammals of Korea were analyze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design guidelines of WCS. In order to find the types and measures, we conducted field surveys on 79 WCS and literature reviews on 159 WCS. The results of our study were as follows; Small-medium sized carnivores usually use all measures of wildlife underpass, meanwhile large sized herbivores as water deer need lager measures than 0.7 Openness Index(OI). Furthermore, we found that wildlife overpasses were usually used at the measure of 6.8 m width by every mammal.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proper measures should be lager than 0.7 OI for underpass and 7 m width for overpass.

대형 국책사업에 대한 사회영향평가 (Social Impact Assessment on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 이종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2호
    • /
    • pp.197-204
    • /
    • 2010
  • 새만금사업, 신행정수도(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한반도 대운하사업(4대강 살리기사업) 등과 같은 대형국책사업은 대통령 선거공약으로 제시되었다. 그러한 대형국책사업이 국가의 이익을 위해 꼭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하더라도, 그 결과는 좋은 의도와는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대통령 선거후 환경정책기본법과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라 대형국책사업에 대한 사전환경성검토(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평가가 이뤄졌지만, 예상하지 못했던 정치적, 사회경제적, 환경적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개발 및 환경 갈등의 원인은 여러 측면에서 찾을 수 있겠지만, 사회경제적 항목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영향평가의 미흡을 그 원인으로 제시하는 연구가 많다. 대규모 국책사업을 둘러싼 개발 및 환경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회영향평가의 현황과 연구 동향을 고찰하고, 국책사업의 주요 쟁점의 분석을 통하여 사회영향평가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사회영향평가의 도입, 강화, 지침 마련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현재의 사전환경성검토(전략환경평가)시에 사회적 통합, 경제적 측면(B/C분석, 비용, 고용 등), 법제적 측면, 한반도 통일이나 국가균형발전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항목을 평가항목에 추가함으로써 사회영향평가를 도입하고; 둘째, 환경영향평가 시에 공공시설, 교육, 교통, 문화재, 경제적 타당성, 고용, 토지이용을 현재의 사회경제평가항목에 추가시켜 사회영향평가를 보다 강화시키고; 셋째, 한국의 환경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상황을 반영하여(사회영향평가의 원리와 지침(가칭))을 마련하도록 한다.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시 토양중점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Identifying Soil Management Area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Development Projects)

  • 김종성;김충기;유근제;황상일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457-469
    • /
    • 2017
  • 개발사업 예정지역에서 토양의 본래 기능을 최대한 보전하기 위해 토양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지역(토양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시 어떻게 토양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할 것인지에 대한 예비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 기능중 토양침식조절기능과 토양탄소저장기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InVEST 모형을 활용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고 중첩분석을 통해 2개의 개발사업 사례에 대해 토양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방법론은 고해상도의 정밀한 분석, 다른 평가항목들과의 중첩분석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좀 더 완벽한 평가를 위해 토양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평가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 육상풍력발전사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 58개 환경영향평가서 사례에 대한 정량적 분석 - (Analysi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South Korean Inland Windfarms)

  • 정은해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1호
    • /
    • pp.47-62
    • /
    • 2022
  • 풍력발전은 비용 효율적인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증거에 기반한 정책수립과 혁신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서 58건의 분석을 통해 1) 국내 육상풍력의 주요 특징이 어떠한가? 2)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업별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환경영향평가서에 제시된 개별 육상풍력사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변수를 추출하여 이러한 환경변수에 대한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개별 변수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육상풍력발전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지수는 육상풍력발전의 입지를 고려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증거에 기반한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8개 사업은 사업지역의 고도 및 자연성의 정도를 바탕으로 1) 산악형, 2) 목장형, 3) 해안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풍력발전사업에 대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지수를 성공적으로 계산하였다. 가장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큰 사업은 목장형으로 분류된 33번 사업이 1.04였고, 가장 낮은 사업은 산악형으로 분류된 55번 사업으로 -1.44였다. 둘째, 분석결과는 목장형이 환경지속가능성 지수가 평균 0.4551로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가장 높고, 해안형이 평균 0.3712으로 중간이었으며, 산악형이 평균 -0.345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육상풍력발전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보다 계량적으로 증명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개발과 관련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 정보공개 제도의 평가와 개선 방향 - 오르후스 협약을 중심으로 -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IA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 Focused on the Aarhus Convention -)

  • 조남욱;이명진;최준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4호
    • /
    • pp.400-412
    • /
    • 2019
  • 환경 가치 및 환경 영향의 평가과정은 주관적이고 예측에 의존하기 때문에 과학적 합리성의 확보가 제한된다. 그러므로 정보공개를 통한 절차적 합리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의 절차적 합리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평가 과정의 정보공개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오르후스 협약은 대중의 환경 정보에 대한 접근과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규정하는 국제 협약이다. 본 연구는 오르후스 협약에서 제시하는 정보공개에 관한 조항을 토대로 10개 지표를 도출하여 우리나라의 환경영향평가 정보공개 제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정보공개 방향성 및 제공 기반 마련 측면에서 5개 지표를 만족하여 긍정적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정보 활용 근거 및 제공 과정에 대한 4개 지표에서 세부적인 규정 보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중의 이해 가능성 지표를 통해 전문성 비대칭 문제 및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정책 수용성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환경영향평가 시 토양 관련 평가 항목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soil related assessment factors in Kore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양지훈;박선환;김태흠;황상일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1호
    • /
    • pp.41-50
    • /
    • 2016
  • 우리나라는 약 30년 간 환경영향평가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환경영향평가의 대상 사업 및 평가 항목 등에 대한 다양한 개정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현행 환경영향평가법 상의 토양 관련 평가 항목은 토양 환경의 일부분에 국한하여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환경영향평가 지침을 분석하여 토양 관련 평가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해외의 환경영향평가제도 내 토양 관련 평가항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환경영향평가 제도에서 토양 환경 평가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영향평가 제도 내의 수질, 토양, 지형 지질, 수리 수문 평가 항목에서 토양과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고 있다. 그 대상은 토양 오염도, 비옥토, 우수유출량, 비점오염원 등 주로 오염과 관련한 인자이다. 하지만 해외의 경우 토양 압밀, 토양 밀폐, 토양 염류화 등 토양의 기능 및 질과 연관된 항목을 분석 중에 있다. 우리나라 국토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하여 해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토양 관련 평가 인자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

고해상도 영상자료 및 객체지향분류기법을 이용한 식생분류 정확도 향상 방안 연구 (Accuracy Improvement of Vegetation Classification Using High Resolution Imagery and OOC Technique)

  • 홍창희;박종화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6호
    • /
    • pp.387-392
    • /
    • 2009
  • As Our society'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ncern the significant increases, the importance of the legal system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such as the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growing increasingly. but, still critical issues are present such as reliability. Though there could be various causes such as the system or procedures etc. Above all, basically the environmental data problem is the critical cause. Therefore, this study was trying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data accuracy using the high-resolution color aerial photography, LiDAR data and Object Oriented Classification method. And in this study, classification based on coverage percentage of a particular species was attempted through the multi-resolution segmentation and multi-level classification method. The classification result wa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11 points local survey data. All 11 points were classified correctly. And even though the exact coverage percentage of the particular species did not be measu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es was occupied similar por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environmental data which can be used for the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could be acquired.

사회환경분야 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Schem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Social Environment)

  • 신경희;임효숙;조공장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15-2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impact caused by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issues presented during development projects carried out in Korea. Furthermore, on the basis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possible improvement measur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minimizing social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in the future. Issues related to development projects are generated mainly by the following three causes. Initial social impact can occur when a development project directly causes certain changes in natural, living and social environment. Operational problems related to assessment are another cause of social impact, and it can also occur when changes in natural and living environment work in tandem with social environment sphere. Social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is not brought about solely by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but is the result of interaction of factors such as changes in social, natural, living environment and problems related to assessment or operation/management. As to why the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uld not provide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issues mentioned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asons: limitations of assessment method used in social environment category, difficulties in defining assessment criteria, limitations inherent in criterion referenced assessment method, insufficient issue-making in local community, and lack of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local residents. Possible solutions for these limitations are as follows: 1) To identify local issues in social environment category through participation of local experts in scoping stage, 2) To adopt deliberative method for local participation, 3) To utilize social survey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