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H-1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4초

미생물을 이용한 자철석으로부터 철 침출에 관한 연구 (Microbial Leaching of Iron from Magnetite)

  • 노열;오종민;서용재;장희동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5-275
    • /
    • 2006
  • 미생물을 이용한 원석 또는 폐석으로부터 인류에 유용한 원소 및 중금속의 용출은 초기 연구단계에 있는 새로운 생물학적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갯벌 퇴적물에서 분리한 미생물(Microcosm)을 이용하여 자철석으로부터 철의 용출 및 용출된 철의 생광화작용에 따른 2차 물질의 형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갯벌퇴적물에서 분리한 철 환원 박테리아(Microcosm)가 글루코스($10{\sim}20mM$)를 이용하여 성장하는 동안 자철석으로부터 철의 용출 및 2차 물질의 형성을 ICP, XRD, SEM-EDX 및 TE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미생물배지에 상업용 자철석(미생물배지 : 자철석 = 100 : 1)과 철환원 박테리아를 넣고 혐기성 및 호기성 조건하에서 철 용출 및 2차 물질의 형성실험을 실시한 결과, 철의 용출 실험동안 미생물배지의 Eh는 호기성 조건에서 +250 mV에서 -520 mV 까지 감소하고, pH 7.3에서 5.5까지 감소하였다. 혐기성 환경에서 박테리아의 활동에 따라 15일째 자철석으로부터 94 ppm의 Fe를 용출하였으며, 박테리아가 없는 혐기성 조건 하에서는 0.9 ppm의 Fe의 용출을 보여 주었다. 호기성 환경에서 박테리아의 활동에 따라 자철석으로부터 15일째 107 ppm의 Fe를 용출하였다. 배양을 시작한지 1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는 미생물배지에 용출되어 있는 Fe가 혐기성 조건에서는 57ppm의 Fe가, 호기성 조건하에서는 6.5 ppm의 Fe 각각 존재하였다. 박테리아가 배양되는 동안 용출된 철의 감소는 2차물질의 형성에 철이 소비된 것으로 사료되며, 호기성 조건하에서는 적갈색의 2차 물질 형성을 보여주었다. 미생물에 의한 자철석으로부터 철과 망간의 용출은 미생물의 활동에 따른 미생물배지의 열역학적인 조건(Eh/pH)의 변화 및 유기물의 산화에 따른 유기산의 형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미생물을 이용한 결정질의 자철석으로부터 철의 용출 및 비정질의 2차물질의 형성은 미생물의 퇴적물 내에서 철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의 침출(Bioleaching) 및 생광화작용에 따른 광물의 합성 가능성을 시사한다.

수도용(水稻用) 질산태질소함유(窒酸態窒素含有) 복합비료(複合肥料)의 추비효과(追肥效果) (Effect of top dressing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ing nitrate (Ammonium Nitrate Sulfate) on Paddy Rice)

  • 김정제;장용선;조병옥;허범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9-295
    • /
    • 1988
  • 수도(水稻) 수비용(穗肥用)으로 제조(製造)한 2종복비(種複肥)(I)(14-0-14 : $NO_3-N$$NH_4-N$함유(含有)), 2종복비(種複肥)(II)(14-0-14:$NH_4-N$함유(含有))와 3종복비(種複肥)(III)(14-0-14+OM10 : $NO_3-N$ $NH_4-N$함유(含有))의 비효(肥效)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일반품종(一般品種)인 화성벼와 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인 삼강벼를 공시(供試)하여 규암통(窺岩統)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복합비료(複合肥料)의 수비효과(穗肥效果) 시험(試驗) 가. 수량(收量)에서 화성벼는 단비구(單肥區)에 비하여 2종복비(種複肥)(I) 및 3종복비(種複肥)(III)에서 5~10%의 증수(增收)를 보였고 2종복비(種複肥)(I) 및 3종복비(種複肥)(III)의 수비시용시기(穗肥施用時期)는 출수(出穗) 15일전(日前)이 양호(良好)하였다. 삼강벼의 수비시용시기(穗肥施用時期)는 출수(出穗) 20일전(日前)이 3~5%증수(增收)되었으나 출수(出穗)10일(日) 전(前)은 효과(效果)가 없었다. 나. 처리별(處理別) 부임입비율(不稔粒比率)은 두 품종(品種) 공(共)히 2종복비(種複肥) (I) 시용구(施用區)에서 감소(減少)하였다. 다. 토양중(土壤中) 질산태질소함량(窒酸態窒素含量)과 수량(收量)과는 정(正)의 상관(相關)$(r=0.618^*)$을 보였다. 2. 환원유발토양(還元誘發土壤)의 비종별(肥種別) 수비효과(穗肥效果) 시험(試驗) 가. 환원유발(還元誘發)에 의(依)한 Eh값은 큰 차이(差異)가 없었고 비종별(肥種別) 수량(收量)은 두 품종(品種) 공(共)히 2종복비(種複肥)(I) 시용구(施用區)에서 증수(增收)되었다. 나. 비종별(肥種別) 부임비율(不稔比率)은 2종복비(種複肥)(I)에서 두 품종(品種) 공(共)히 적었다. 다. 식물체중(植物體中)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에서 처리간(處理間)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 PDF

Bacillus circulans 기원의 Cellulolytic Xylanase 유전자의 대장균에서의 클로닝 및 발현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a Cellulolytic Xylanase Gene from Bacillus circulans in Escherichia coli)

  • 이동석;김지연;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6-202
    • /
    • 2000
  • Bacillus circulans ATCC21367의 Cellulolytic Xylanase 유전자를 pUC19을 vector 로 하여 대장균내에서 클로닝 하였다. 재조합 plasmid pXL180은 B. circulans 로부터 유래 된 0.5 kb와 1.3 kb Pst I 절편으로 이루어진 총 1.8 kb 삽입 절편을 포함 하고 있었다. 1.3 kb 절편의 상류영역에 있는 0.5 kb 절편은 클로닝된 유전자의 정상 발현뿐만아니라 과잉 발 현에 대해서도 필수 불가결함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는 모균 B. circulans에 의해 생산된 것보다 135배 이상 많은 xylanase를 생산하였다. 클로닝된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pH 5.2와 $60^{\circ}C$ 였다. $55^{\circ}C$에서 1시간 동안의 사전 연처리에도 이 효소는 활성의 감소를 일 으키지 않았다. 이 효소는 xylan과 carboxymethyl cellulose (CMC), lichenan에 대하여 기질 특이성을 보였는데, 주요 산물로서 xylose(EH는 G1)와 xylobiose(또는 G2), xylotriose(또는 G3)를 생산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는 클로닝된 유전자의 효소를 cellulolytic xylanase로 명명 하였다. 액체 배양된 Eschericxhia coli DH5$\alpha$(pXL180)의 전체 세포 추충물이나 배양 상등 액으로부터 조제된 시료들의 SDSPAGE와 zymogram을 통하여 이 효소의 분자량은 45kDa 이었으며, 대장균 내에서 주목할 만한 processing은 일어나지 않았다.

  • PDF

비균질 다공성 매질의 효율적 해석 방법 (Effective Method for Analysis of Heterogeneous Porous Media)

  • 박창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459-467
    • /
    • 1998
  • 유사매질개념에 의하여 비균질 다공성 매질을 설명할 수 있는 기존의 방법은 미시 밀러 상사(Mis), 거시 밀러 상사(MaS)와 웨릭 상사(WS)로 나눌 수 있고, 그들간의 관계는 MiS ⊂ MaS⊂ WS(⊂: subset)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WS에서 축적변수 $\alpha$=w 로 가정하고 함수량을 포화도 대신 유효포화도로 축적한 것이다. 이 방법은 검사해석의 관점에서 일반성이 결여되지 않고, 축적변수 $\alpha$만으로 비균질 매질을 설명할 수 있다. 즉 =1($\alpha$의 평균값)인 매질은 비균질 매질에 상응하는 등가매질을 의미하고, $\alpha$의 표준편차는 다공성 매질의 비균질 정도를 설명한다. $\alpha$>1인 매질의 특수계수는 등가매질의 투수계수보다 크며 또한 유효함수량은 $\alpha$>1인 매질에서 크게 나타난다. 이와같은 $\alpha$의 성질을 이용하여 가상적인 여직 1차원 비균질 다공성 매질을 난수 발생기법으로 생성하였다.

  • PDF

충북 영동지역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 및 질산염 오염 특성 (Hydro-geochemical Nature and Nitrates Contamination Charecters of Groundwater in the Youngdong, Chungbuk Province)

  • 이인경;최상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1호
    • /
    • pp.23-30
    • /
    • 2012
  • 농업지역인 충북 영동 지역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과 질산염의 기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화학 및 질소동위원소 연구가 수행되었다. 지하수의 pH는 평균 7.2 (6.0~8.2)로 약산성 내지 약알칼리성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의 평균 전기전도도, 산화환원전위 및 용존산소량은 각각 369 ${\mu}S/cm$ (70~729 ${\mu}S/cm$), 165.6 mV (29-383.2 mV), 4.3 mg/L(1.8~8.0 mg/L)이다. 지하수 내 양이온을 함량이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Ca^{2+}$>$Na^{2+}$>$Mg^{2+}$>$K^{2+}$이고, 음이온의 경우는 ${HCO_3}^-$>${NO_3}^-$>${SO_4}^{2-}$>$Cl^-$>$F^-$이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대부분은 물-암석과의 반응으로 기인된 Ca-$HCO_3$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Ca-Cl 유형 (2.5%) 과 Na-$HCO_3$ (2.5%) 유형은 농업활동 등의 영향으로 전이된 것으로 밝혀졌다. 지하수 내 질산성 질소의 함량은 10.2 mg/l~26.9 mg/l 범위로 검출되어 오염이 우려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하수 내 질산성 질소의 기원을 파악하기 위한 질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 질산성 질소의 동위원소비 (${\delta}^{15}N_{-}NO_3$)는 1.9‰~19.4‰ (평균 10.1‰)로 측정되었으며, 동위원소비에 따른 질산염의 기원은 축사의 동물 분뇨나 농지에 시비된 유기물 비료임을 나타낸다.

낙동강 수계에서의 자외선 차단제류 검출 특성 : 본류, 지류 및 하수처리장 방류수 (Occurrence of UV Filters in Nakdong River Basin : Mainstreams, Tributaries and STP Effluents)

  • 서창동;손희종;최진택;유평종;장성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472-479
    • /
    • 2015
  • 낙동강 수계에서의 자외선 차단제류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본류 및 지류 20지점 중 5지점에서 EHS, BP-3, 4-MBC, BZC 및 EHMC 5종이 검출되었으며, 본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지류의 경우는 금호강 상류, 신천, 금호강 하류, 진천천 및 양산천에서 EHS가 ND~60.8 ng/L, BP-3가 ND~72.1 ng/L, 4-MBC가 ND~57.2 ng/L, BZC가 ND~60.1 ng/L 및 EHMC가 ND~85.2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11개 하수처리장 방류수들에서는 EHS, BP-3, 4-MBC, BZC 및 EHMC 5종이 각각 ND~89.3 ng/L, ND~90.8 ng/L, ND~88.1 ng/L, ND~118.5 ng/L 및 ND~104.4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낙동강 수계 및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11개 하수처리장 방류수들에서의 계절별 자외선 차단제류의 분포비율은, 6월과 9월에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분포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4월과 11월에는 검출농도 뿐만 아니라 구성종 비율의 변화폭도 매우 크게 나타났다.

Effect of By-Product Gypsum Fertilizer on Methane Gas Emissions and Rice Productivity in Paddy Field

  • Park, Jun-Hong;Sonn, Yeon-Kyu;Kong, Myung-Suk;Zhang, Yong-Seon;Park, Sang-Jo;Won, Jong-Gun;Lee, Suk-Hee;Seo, Dong-Hwan;Park, So-Deuk;Kim, Jang-E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0-35
    • /
    • 2016
  • Rice cultivation in paddy field affects the global balance of methane ($CH_4$) as a key greenhouse gas. To evaluate a potential use of by-product gypsum fertilizer (BGF) in reducing $CH_4$ emission from paddy soil, $CH_4$ fluxes from a paddy soil applied with BGF different levels (0, 2, 4 and $8Mg\;ha^{-1}$) were investigated by closed-chamber method during rice cultivation period. $CH_4$ flux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with increasing level of BGF application. $8Mg\;ha^{-1}$ of BGF addition in soil reduced $CH_4$ flux by 60.6% compared to control. Decreased soil redox potential (Eh) resulted in increasing $CH_4$ emission through a $CO_2$ reduction reaction.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calcium (Ca) and sulfate ion (${SO_4}^{2-}$) in soil pore wat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application rate of BGF increased and showed negatively correlations with $CH_4$ flux. Decreased $CH_4$ flux with BGF application implied that ${SO_4}^{2-}$ ion led to decreases in electron availability for methanogen and precipitation reaction of Ca ion with inorganic carbon including carbonate and bicarbonate as a source of $CH_4$ formation under anoxic condition. BGF application also increased rice grain yield by 16% at $8Mg\;ha^{-1}$ of BGF addition.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BGF application can be a good soil management practice to reduce $CH_4$ emission from paddy soil and to increase rice yield.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그리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이당류들의 열방성 액정 특성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Cholesteryloxycarbonated and (8-Cholesteryloxycarbonyl) heptanoated Disaccharides)

  • 정승용;마영대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58-67
    • /
    • 2007
  •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그리고 락토오스를 콜레스테릴 클로로포메이트 또는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완전치환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그리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이당류 유도체들을 합성함과 동시에 이들의 열방성 특성들을 검토하였다. 모든 콜레스테릴옥시카본화 유도체들(CH1DSs)은 쌍방성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는 반면 모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유도체들(CH8DSs)은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니며 온도상승에 의해 광학피치들(${\lambda}m's$)이 감소하는 단방성 콜레스테릭 상들을 형성하였다. 모든 CH1DSs들은 CH8DSs들과 달리 콜레스테릭 상의 전 범위에서 반사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콜레스테릴 그룹에 의한 나선의 비틀림력은 콜레스테릴 그룹과 이당류 사슬을 연결하는 스페이서의 길이에 민감하게 의존함을 시사한다. CH8DSs들에서 관찰되는 액정 상의 열적 안정성과 질서도 그리고 ${\lambda}m$의 온도의존성은 콜레스테릴 그룹을 지닌 dimer들과 triplet 그리고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다당류들에 보고된 결과와 전혀 달랐다. 이들의 결과를 반복단위 몰당의 mesogenic 단위들의 수와 주사슬의 유연성의 차이와의 관련하에서 검토하였다.

육용계 초생추에 대한 뉴켓슬병 생독 및 사독 백신의 동시접종 효과 (Efficacy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Live and Killed Newcastle Disease Vaccines in Day - Old Broiler Chicks)

  • 최정옥;박승주;위성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3-198
    • /
    • 1988
  • 모체이행항체가 있는 병아리에 생독과 사독 ND 백신을 동시접종 했을때 면역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B_1$과 LaSota의 2가지 생독백신과 Gel, Oil의 2가지 사독백신을 구입 1 일령에 각각 단독접종하거나 생독과 사독을 서로 다르게 조합하여 동시에 접종하였다. 생독백신은 백신제조회사에서 추천하는 1수분을 25${\mu}\ell$ 씩 한쪽눈에 적하 하였으며 사독은 0.3$m\ell$씩 경부피하에 접종하였다. HI 가를 주별로 8주까지 조사하였으며 방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4주와 8주에 강독으로 수당 $10^{5.3}$$ELD_{50}$씩 공격 접종하였다. 8개 시험군 중에서 .사독Oil백신과 생독을 동시에 접종한 군이 항체가와 방어율이 가장 높았다. 생독백신이나 Gel백신만 단독접종한 군은 방어율이 50%이하로 낮았으며 항체가도 4~5주 때 $2^2$이하로 하강하였다. 사독 Oil과 동시 접종한 생독백신으로서 $B_1$과 LaSota간에 는 방어율이나 항체가에서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2가지 생독이 모두 Oil백신과 동시 접종했을 때 4주에서 방어율이 100%였으며 8주 때는 90-100%이었고 항체가도 $2^4$ 이상 8적까지 지적되었다. 동시접종해도 호흡기증상등의 부작용이나 증체율 저하 등의 현상은 볼 수 없었다.

  • PDF

500hPa면 순환특성을 중심으로 한 동계 이상 한.난월의 종관기후학적 연구 -1992년과 1984년의 1월의 경우- (A Study of the Synoptic Climatology on the January's Cold and Warm Winter Especially in 600hPa Circulation : Case Study 1992 and 1984 in January)

  • 이병곤;민우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3-111
    • /
    • 1996
  • 본 연구는 지표상의 기상 요소의 분포 특성이 이압계(氣壓系)뿐만 아니라 기압계를 지배하는 상충대기의 상층대기의 환류(還流)의 특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기준하여, 우리나라에 있어서 지난 30년간($1965{\sim}1994$) 28개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동계 기온을 표준편차(標準偏差)에 의해 분류하였으며, 여기서 나타난 이상한(異常寒) 난월(暖月) 중 대표적인 1992년(이상난한동월(異常暖寒冬月), EH)과 1984년(이상한동월(異常寒冬月), EL)의 1월에 있어 500hPa면 고도 특성 및 몇 가지의 분석을 통하여 한 난동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난동월(暖冬月)에서는 강수량이 많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500hPa면은 난동월(暖冬月)에는 trough를 한동월(寒冬月)에는 남북유형(南北類型)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순환의 특징에서 우리나라 부근의 500hPa면 고도는 난동월년이 1984년에 비해 높았고, 동서지수에 있어서도 난동월이 높았다. 이외에도 환류형과 환류파수형에서는 난동월이 M형의 3파수, 1984년이 5형의 3파수(波數)로 나타나 단지 파수형(波數型)만으로는 한(寒) 난동월(暖冬月)을 구분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지상 기압에 있어서는 한동월이 난동월에 비해 서고동저(西高東底)의 기압배치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향후 동계 전월에 관해 850hPa면의 분석 등을 추가한 좀 더 포괄적인 연구를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