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X

검색결과 905건 처리시간 0.025초

급속열처리가 다결정 CdTe 박막의 물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rapid thermal annealing on Physical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CdTe thin films)

  • 조영아;이용혁;윤종구;오경희;염근영;신성호;박광자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48-353
    • /
    • 1996
  • CdS/ITO/glass 기판위에 다결정 CdTe 박막을 진공증착법으로 제조한 후 급속열처리하여 열처리 온도와 가스분위기가 CdTe의 박막의 물성과 전지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450^{\circ}C$에서 $550^{\circ}C$까지 공기중 급속열처리한 경우 박막은 EDX 조성분석결과 화학양론비를 유지하였고 표면성분비는 Cd-rich 상태였으나 전처리후 저저항 contact 제조에 유리한 Te-rich 상태로 변화되었다. TEM과 micro-EDX 결과 급속열처리 전후 모두 CdTe는 주상정구조가 관찰되었고 열처리동안 CdTe내로 확산된 S의 양이 로열처리와 비교하여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급속열처리 온도가 가스분위기 조건 중 공기 중에서 $550^{\circ}C$ 열처리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태양전지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NOx 제거를 위한 금속 담지 ZSM-5 촉매 평가 (Evaluation of ZSM-5 supported metal catalyst for NOx removal)

  • 김진걸;유승준;김성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015-2020
    • /
    • 2009
  • 상압, $200^{\circ}C - 500^{\circ}C$ 조건에서 연소후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 감소 연구가 금속 담지 ZSM-5 촉매에서 수행되었다. 제조된 촉매의 특성은 XRD, SEM, EDX, ICP, ITR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EDX와 ICP 결과로부터 전이 금속이 촉매 표면에 분산된 것을 확인하였다. 금속 담지 ZSM-5 촉매중 Fe/ZSM-5가 최대 NOx 제거율을 보이는 온도 범위($380^{\circ}C-400^{\circ}C$)는 ITR 결과의 최대 환원 속도를 나타내는 온도 $400^{\circ}C$와 일치하므로, 환원 속도가 HC-SCR 반응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경남지역의 실내외 공기 중 총섬유 입자의 농도특성 및 석면 입자의 확인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nd Outdoor Airborne Total Fiber Particles and Identification of Asbestos in Gyeongnam Provinces)

  • 박희은;박정호;김형갑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9-127
    • /
    • 2012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nd outdoor airborne total fiber particles and asbestos in Gyeongnam Province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fiber particles from 748 schools and 38 public facilities as well as outdoor particles from 11 sites through PCM (phase contrast microscope).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using X-ray analysis) was used to obtain physicochemical information of asbestos fiber particles. The study identified asbestos rate in the 15 samples from indoor and outdoor airborne total fiber particles. Results: 1. The average indoor airborne concentrations of total fiber particles were $0.0011{\pm}0007$ f/cc in schools and $0.0015{\pm}0007$ f/cc in public facilities by PCM. Over 90% of the fiber particles were identified as single fibers. 2. The average outdoor airborne concentrations of total fiber particles were $0.0007{\pm}0002$ f/cc, and they were lower than those of indoor airborne concentrations. 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rm of asbestiform was diverse as skein of thread like form and long needle, which was relatively narrower than that of glass fiber and rock wool. 4. The results of SEM/EDX analysis of 15 areas where total fiber particle was relatively high showed that the form was rather similar to that of asbestos, but chemical composition was proven to be non-asbestos.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indoor and outdoor airborne total fiber particles of Gyeongnam Provinces satisfied the IAQ (Indoor air quality) level of 0.01 f/cc and asbestos was not found in most of the samples by SEM/EDX.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ngle Asian Dust Storm Particles

  • Ma, Chang-Jin;Mikio kasahara;Hwang, kyung-Chul;Park, Kum-Chan;Park, Seong-Boo;Lee, Jeong-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6권E호
    • /
    • pp.29-38
    • /
    • 2000
  • For the detailed characterization of atmospheric aerosol, the analysis of single particle is highly valuable.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Asian dust storm particl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coupled with and energy dispersive X-ray microanalyzer(EDX) and micro-PIXE were applied. Sampling was performed at Kyoto University located in Kyoto, Japan, in spring of 1999. Mass concentration during Asian dust storm events was higher roughly 3∼5 times than measured in the season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Single particles were generally sharp-edged and irregular in shape and contained mostly crustal elements. Significant amount of S in coarse fraction was detected in individual particles. A large particles in coarse fraction existed as the mixture of soil components and S. A good agreement between the result of SEM-EDX analysis and that iof micro-PIXE analysis was obtained in this study.

  • PDF

초음파 가공에 의한 Ni-Cu 박판의 용착 특성 평가 (Evaluation on Welding Characteristic of Ni-Cu Sheet by Ultrasonic Machining)

  • 백시영;장성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070-1077
    • /
    • 2011
  • 본 논문은 초음파 가공에 의한 용착성을 가공조건의 영향에 관하여 나타내었다. 한파장 혼의 최적화를 이용한 Ni-Cu 이종금속 박판의 용착성 평가는 초음파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된다. 초음파 가공변수 설정에 따른 인장시험을 통한 최적의 용착조건을 제시하였으며 SEM 사진과 EDX-ray 분석에 의한 용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적 연구는 초음파 가공 후 인장강도의 측정, SEM사진 분석으로 수행된다. 또한 가공시간, 가압력, 진폭의 가공변수들은 본 연구에 적용되었다.

외부화염에 의해 소손된 비닐 코드의 단락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ort-Circuit Characteristics of Vinyl Cords Damaged by External Flame)

  • 최충석;김향곤;송길목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2-7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외부화염에 의한 비닐코드의 손상에 따른 단락 진행과정, 외형 및 표면 구조,조성 변화 등 단락 특성을 연구하였다. 초고속이미지시스템(HSIS)을 이용하여 단락과정을 분석한 결과, 열적피로에 의해 피복이 소실되면서 전선 도체가 닿아 수회에 걸쳐 단락이 발생하였으며. 실체현미경과 SEM을 이용하여 외형과 표면구조를 분석한 결과, 전원 측 전선은 두 가닥 모두에 용융흔이 형성되었으며 V자형의 흠을 나타냈다. 부하 측 전선의 용융흔은 전원 측 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EDX에 의한 조성분석 결과. 전원 측에서는 Cu와 O가 검출되었으며 부하 측에서는 Cu와 O 이외에 피복재료인 Cl과 Ca를 검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험과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기화재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중이용시설 및 학교 교사내 실내공기중 섬유상 입자의 농도 특성 (Characterizations of Airborne Fiber Particle Concentrations in Public Facilities and Schools)

  • 박정호;서정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09-516
    • /
    • 2010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concentration of fiber particles in 30 public facilities and 245 schools by PCM (phase contrast microscopy). Also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energy dispersive using X-ray analysis) was used to obtain physicochemical information of asbestos fiber and to classify asbestos and non-asbestos of fiber particles.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fiber particles were $0.0009\pm0.0009$ counts/mL in public facilities and $0.0012\pm0.0006$ counts/mL in schools by PCM. All the samples were satisfied with the IAQ (indoor air quality) level of 0.01 counts/mL. In classification of 4 type shapes, over 80% of the fiber particles were identified as single fiber type. And this study analysed airborne fiber particles in 4 sites for identifying asbestos of by SEM/EDX. The asbestos fibers in most samples could not be found.

산화피막 형성 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정밀여과형 TiO2 금속막 개발 (Fabrication of Functional Microfiltration TiO2 Metal Membrane Using Anodization)

  • 최승필;김건태;김종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0호
    • /
    • pp.33-39
    • /
    • 2010
  • 산화피막 형성 기술(anodization)을 이용하여 나노크기의 $TiO_2$ 튜브가 표면에 내재된 자기 조직형(self-organized) 광감응 $TiO_2$ 금속막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TiO_2$ 금속막의 특성은 EDX, SEM, XRD로 분석하였고, 전해질 성분과 농도 등에 따른 $TiO_2$ 나노튜브 형성 유무를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광반응 특성을 보유한 아나타제형의 나노튜브가 성공적으로 내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휴믹산을 모델 유기물로 사용하여 광감응 $TiO_2$ 금속 분리막의 유기물 제거 특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CCSEM을 이용한 대기 중 개별분진의 분류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of Individual Ambient Particles by CCSEM)

  • 장여진;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45-353
    • /
    • 199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tastically classify individual PM-10 measured by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analyzer). The SEM/EDX provided various physical parameters like optical diameter, as well as major 18 chemical information (Mg, Al, Si, P, S, Cl, K, Ca, Ti, V, Cr, Mn, Fe, Ni, Cu, Zn, Br, Pb) for a particle-by-particle basis. The total of 1,419 particle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us density and mass of each particle can be estimated based on its chemical composition. Further the study developed 4 semisource profiles including highway, oil boiler, incinerator, and soil emissions, where each sample was collected near the source in the ambient air The profiles developed were consisted of mass fractions and their uncertainties based on a particle class concept. To obtain mass fraction of each particle class, an 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initially applied to create particle classes for each sample. Then uncertainties were calculated for each class based on the jacknife method. The 1,258 particles out of 1,419 (88.7%) were assorted in newly generated particle classes. The study provides opportunities to identify particle's source quantitatively and to develope various receptor models.

  • PDF

인산을 전처리한 활성탄소섬유에 칼륨 처리효과 (Potassium loading effects for activated carbon fiber pre-treated with phosphoric acid)

  • 오원춘;배장순
    • 분석과학
    • /
    • 제18권4호
    • /
    • pp.355-361
    • /
    • 2005
  • 본 연구는 인산의 전처리에 의한 두 종류의 활성탄소섬유의 특성 변화와 여기에 칼륨을 처리하여 표면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X-선 회절 패턴은 인산을 전처리함에 따라 칼륨종을 포함하는 활성탄소섬유에 대한 금속과 금속염의 존재에 대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산을 처리한 후에 표면특성과 비표면적 변화에 차이의 원인을 나타내기 위하여, 동공구조와 표면 모폴로지를 흡착분석과 SEM에 의하여 연구하였다. 인산을 가지고 전처리한 활성탄소섬유의 칼륨 처리효과에 대한 화학적 구성에 대한 원소분석을 위하여 EDX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소를 포함하는 기능기의 형태와 정성분석은 Boehm에 의하여 제안된 방법으로 부터 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