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BP2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4초

홍삼 사포닌 분획의 Nrf2 Keap1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지방축적 및 활성산소종 억제효과 (Red ginseng-derived saponin fraction inhibits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by activating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like 2 (Nrf2)/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 1 (Keap1) pathway)

  • 김채영;강보빈;황지수;최현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88-69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홍삼 사포닌 분획(SF)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의 조성을 분석하고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축적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SF는 지방분화인자인 $PPAR{\gamma}$, $C/EBP{\alpha}$의 단백질 양을 억제함으로써 지방분화 동안 효과적으로 지방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주로 지방분화 초기시점부터 지방분화 초기인자인 $C/EBP{\beta}$, KLF2의 조절작용을 통해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F는 또한 지방분화 동안 생성되는 ROS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는데 이는 SF가 산화방지 시스템인 Nrf2/Keap1 경로를 활성화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특히 Nrf2의 핵 내로의 진입을 활성화 함으로써 Nrf2의 타겟 산화방지 분자들인 HO-1, NQO1의 발현을 촉진하였다. 이는 지방분화 동안 SF의 지방축적 억제 효과가 Nrf2의 활성화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조직배양된 Gymnema sylvestre 추출물의 C/EBP-${\alpha}$ 및 지방축적 억제에 따른 항비만 효과 (Tissue-cultured Gymnema sylvestre Leaf Extract Enhance Anti-adipogenic Effects through Inhibition of C/EBP-${\alpha}$ Expression and Lipid Droplet Accumulation)

  • 박창민;정민석;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1-116
    • /
    • 2009
  • 한국에서 '가가이모과잎'이라고 불리는 인도의 전통 식물 약재인 Gymnema sylvestre는 당뇨의 원인인 생체 내당의 대사를 조절하는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Gymnema sylvestre 잎으로부터 인공적으로 조직 배양한 캘러스를 대량 배양하였다. 배양된 캘러스부터 추출물을 얻은 후 지방 전구 세포인 3T3-Ll 세포를 이용하여 항비만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Gymnema sylvestre 잎으로부터 조직 배양한 캘러스 추출물은 지방 전구 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뿐만 아니라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억제 하였다. 또한 지방세포의 형성을 조절하는 초기 지방세포 내의 전사인자인 C/EBP-${\alpha}$ 발현을 억제하면서 인슐린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피부를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서 응용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세포 분화중인 3T3-L1 세포에서 영지추출물에 의한 지방관련 유전자와 전사인자의 발현 조절 (Adipocyte-Related Genes and Transcription Factors were affected by Ganoderma lucidum during 3T3-L1 Differentiation)

  • 이채우;윤현민;강경화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20
    • /
    • 2009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GL) on fat metabolism were performed in 3T3-L1 adipocytes. The effects of GL on 3T3-L1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were also examined. Our results showed that GL decreased the TG content by ORO staining.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effects of GL on lowering TG content in 3T3-L1 adipocytes, we examined whether GL modulate the expressions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adipokines related to control of energy expenditure process because adipokines regulate adipocyte mass and increased expenditure may consume much TG in adipocytes. As a result, the expression of C/$EBP{\beta}$, C/$EBP{\delta}$, C/$EBP{\alpha}$, and $PPAR{\gamma}$, genes, which induce the adipose differentiation and adipose-specific FAS, aP2, and adipsin genes, which compose fat formation were decreased. In addition, GL increased the expression of leptin, UCP2, adiponectin in 3T3-L1 adipocytes, resulting in energy homeostasis. In conclusion, GL could regulate transcript factor related to induction of adipose differentiation and control TG content by up-regulation of adipokines related to fat burn.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Agrimonia pilosa Ledeb. in 3T3-L1 Preadipocytes)

  • 이정아;안은경;홍성수;오좌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1-1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및 adipogenesis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농도별(50, 100 ${\mu}g/mL$)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켰다. 이 같은 활성에 대한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PPAR${\gamma}$ 전사활성과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PPAR${\gamma}$ 전사 활성을 억제시켰고 PPAR${\gamma}$ 및 C/EBP${\alpha}$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adipokine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는 지방 생성의 주요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C/EBP${\alpha}$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효과가 있는 농도가 100 ${\mu}g/mL$로 천연물질로써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항비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Bos taurus coreanae) 유래 myoblast에서 전사인자 과발현에 의한 지방세포로의 교차 분화 유도 (Effects of Ectopic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on Adipogenic Transdifferentiation in Bovine Myoblasts)

  • 문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16-1323
    • /
    • 2012
  • 본 연구는 한우유래 myoblast에서 지방세포분화 유도 전사인자들을 과발현시켜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 유래 satellite cell을 배양한 후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c, KLF5등을 단독 또는 co-transfection을 실시하여 세포에 과발현을 유도하였다. 이들 세포들은 adipogenic differentiation medium에서 2일간 배양한 후growth medium에서 8일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 유무는 Oil-red O염색과 지방세포 마커 유전자들의 발현으로 확인하였다. $PPAR{\gamma}$과 C/$EBP{\alpha}$를 각각 단독으로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myoblast에서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PPAR{\gamma}$와 C/$EBP{\alpha}$을 co-transfection을 실시한 경우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가 유도되었고, 세포내지방구형성, 지방세포 마커유전자의 발현, 근세포 마커유전자의 발현 감소 등이 확인되었다. KLF5 와 $PPAR{\gamma}$를 동시에 과발현할 경우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볼 수 있었지만 KLF단독의 경우는 교차분화를 유도하지 못하였다. 할성형SREBP1c (tSREBP1c)의 경우, 단독으로 myoblast에 과발현을 처리한 경우만으로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는 한우유래 satellite cell을 이용하여 지방세포분화 전사인자를 단독 혹은 조합하여 이들 세포에 과발현 시킬 경우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패턴인식의 MLP 고속학습 알고리즘 (A Fast-Loaming Algorithm for MLP in Pattern Recognition)

  • 이태승;최호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3호
    • /
    • pp.344-355
    • /
    • 2002
  • MLP(multilayer perceptron)는 다른 패턴인식 방법에 비해 여러 가지 훌륭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패턴인식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LP의 학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BP(error 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은 학습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패턴인식에 사용되는 학습 데이타는 풍부한 중복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패턴마다 MLP의 내부변수를 갱신하는 온라인 계열의 학습방식이 속도의 향상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온라인 EBP 알고리즘에서는 내부변수 갱신시 고정된 학습률을 적용한다. 고정 학습률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패턴인식 웅용에서 상당한 속도개선을 얻을 수 있지만, 학습률이 고정되고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학습패턴 영역이 달라지는 학습과정의 각 단계에 효과적으로 대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학습과정을 세 단계로 정의하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패턴만을 학습에 반영하는 패턴별 가변학습속도 및 학습생략(ILVRS) 방법을 제안한다. ILVRS의 기본개념은 다음과 같다. 학습단계마다 학습에 필요한 패턴의 부분이 달라지므로 이를 구별 하여 학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1)패턴마다 발생하는 오류치를 적절한 범위 이내로 제한하여 가변 학습률로 사용하고, (2)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불필요한 부분의 패턴을 학습에서 생략한다. 제안한 ILVRS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패턴인식 응용의 한 갈래인 화자증명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Evidence Based Practice in Long Term Care Settings

  • Specht, Janet 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5-15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to discuss the need for use of evidence based practice (EBP) in LTC, the current use of evidence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what we know about adoption of the use of EBP in LTC. Methods: Literature review and reporting of findings from the M-TRAIN study that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use of EBPs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pain in 48 LTC facilities. Results: Barriers to adopting EBPs include lack of available time, lack of access to current research literature, limited critical appraisal skills, excessive literature to review, non-receptive organizational culture, limited resources, and limited decision-making authority of staff to implement change. Strategies to promote adoption of EBP include the commitment of management; the culture of the home; leadership; staff knowledge, time, and reward; and facility size, complexity, the extent that members are involved outside the facility, NH chain membership, and high level of private pay residents. Findings from the M-TRAIN add, stability of nurse leader and congruency between the leaders perception of their leadership and the staff's perception of the leadership. Conclusion: There is clear evidence of the need and the benefits to residents of LTC and to the health care system yet adoption of EBP continues to be slow and sporadic. There is also evidence fo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best evidence and many resources to find the available EBPs. The urgent need now is finding ways to best get the EBPs implemented in LTC. There is growing evidence about best methods to do this but continued research is needed. Clearly, residents in LTC deserve the best care possible and EBPs represent an important vehicle by which to do this.

지방전구세포와 고지방식이비만마우스에서 가미곽향정기산의 전탕액과 발효액의 항비만효과 (The Antiobese Effects of Gamikwakhyangjungkisan and Fermented GamiKwakhyangjungkisan in Preadipocytes and Mice Fed High Fat Diet)

  • 김주희;박은정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48
    • /
    • 2015
  • Objective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e effects of Gamikwakhyangjungkisan and Fermented GamiKwakhyangjungkisan. Methods The cellular lipid contents were assessed by Oil-Red-O staining.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were determined by real time RT-PCR and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body weight gain and serum lipid levels were measured in the mice with obesity induced by the high fat-diet for four weeks. Results Gamikwakhyangjungkisan and Fermented GamiKwakhyangjungkisan is reduced 3T3-L1 cells' differentiation and the expressions of $PPAR{\gamma}$ and $C/EBP{\alpha}$ in high concentration group. High-fat diet + Fermented GamiKwakhyangjungkisan group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gain. High-fat diet + Fermented GamiKwakhyangjungkisan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HDL-cholesterol contents and reduced LDL-cholesterol contents. Furthermore, Fermented GamiKwakhyangjungkisan is excellent antiobese effects than Gamikwakhyangjungkisan.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amikwakhyangjungkisan and Fermented GamiKwakhyangjungkisan exerts antiobese effect in 3T3-L1 cells and mice fed high fat diet. Furthermore, Fermented GamiKwakhyangjungkisan is excellent antiobese effects than Gamikwakhyangjungkisan.

Potentia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ible COX-2 Expression by C2-ceramide: The Role of JNK- and AP-1-Mediated C/EBP$\beta$ Activation

  • Cho, Yang-Hee;Lee, Chang-Ho;Kim, Sang-Geo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Molecular and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s
    • /
    • pp.144-144
    • /
    • 2002
  • Ceramide, formed by sphingomyelinase, is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2-ceramide (C2), a cell-permeable ceramide analog, on the LPS-inducible COX-2 expression and signaling pathways.(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