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T

검색결과 1,384건 처리시간 0.029초

고성 공룡축제에 참가한 관광객의 식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ood Behavior of Tourist in the Goseong Dinosaur Festival)

  • 김석영;신예성;민순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89-59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od behavior of tourists to develop consumer-oriented local cuisines for the Goseong dinosaur festival. A random sample of 518 tourists took part in one-on-one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between May 7 and May 28, 2006. The highest percentage of people were in the 30-39 age group, and the over 60 years were the second highest. The participants resided mainly in urban areas of Gyeongnam province and other large Korean cities. Most of the tourists had breakfast at home before leaving for the festival, 27.8% skipped breakfast or bought and ate various food s as a breakfast on the way to the main venue. The proportion of the tourists who wanted to eat lunch at outlets in the main venue was 39.8%, while 34.6% of the tourists brought their lunch boxes. Only 14.5% had a desire to eat lunch at restaurants in Goseong. 33.8% of the tourists were willing to pay 5,000-6,000 Won per capita for the lunch, 15.6% wanted to pay 7,000-10,000 Won per capita. Noodles and Gimbab were chosen as favorite dishes for lunch by 15.4% of tourist while Bibimbab was selected by 12.0%. Various aspects of food behavior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predominant age groups. For example, the prices and the kinds of meals they wanted, and the places they preferred to eat meal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ore than 2 kinds of local cuisines have to be developed for the predominant age groups. The price of the local cuisine for the 30s age group should not exceed 5,000-6,000Won, whereas less than 10,000Won is an appropriate price for the over 60s. Menus for children also need to be developed, along with breakfast menus specifically for the 30s age group.

Development of cooking method for senior-friendly food using fruits suitable for older adults with masticatory dysfunction

  • Dasol Kim;Jihye Ryu;Hee-Sook Lim;Yong-Seok K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8권2호
    • /
    • pp.223-238
    • /
    • 2024
  •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fruit-cooking method suitable for older adults with masticatory dysfunction. MATERIALS/METHODS: Five types of fruits were selected to make fruit jelly and puree: apple, sweet persimmon, mandarin, Korean melon, and watermelon. Recip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for senior-friendly foods (KS H 4897), which classifies foods into 3 levels (L1-L3) based on their hardness and viscosity. RESULTS: In South Korea, senior-friendly foods are classified into 3 stages based on their hardness. Stage 1 is for foods that are able to eat with teeth (hardness greater than 50,000 N and less than 500,000 N), Stage 2 is for foods that are able to eat with gums (hardness greater than 20,000 N and less than 50,000 N), and Stage 3 is for foods that are able to eat with the tongue (hardness less than 20,000 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hardness by varying the shape of the fruit, it was found that nearly all fruits could be eaten fresh by chewing with the teeth (L1) but did not meet the KS for mastication using the gums (L2) or tongue (L3), so the cooking method was selected as fruit jelly and fruit puree. Only sweet persimmon, which had a hardness of 61,624-496,393 N, was not suitable for consumption in fresh fruit, unprocessed form. Based on their hardness measurements, fruit jellies (27,869 to 36,343 N) and fruit purees (315 to 1,156 N) met the L2 and L3 requirements, respectively. The viscosity results of all fruit purees met the L3 require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offer a simple cooking method to prepare texture-modified fruits suitable for safe consumption by older adults living with masticatory difficulties in general households and nursing facilities.

지속가능한 식이의 개념과 측정방법 및 한국형 식이 지수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주제범위 문헌고찰과 기술 연구 (Sustainable diets: a scoping review and descriptive study of concept, measurement, and suggested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 정수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4-50
    • /
    • 2024
  • Objectives: Transformation through a sustainable food system to provide healthy diets is essential for enhancing both human and planetary health. This study aimed to explain about sustainable diets and illustrate appropriate measurement of adherence to sustainable diets using a pre-existing index. Methods: For literature review, we used Pub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by combining the search terms "development," "validation," "sustainable diet," "sustainable diet index," "planetary healthy diet," "EAT-Lancet diet," and "EAT-Lancet reference diet." For data presentation, we used data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2018, among adults aged 20 years and older (n = 3,920). Sustainable Diet Index-US (SDI-US), comprising four sub-indices corresponding to four dimensions of sustainable diets (nutritional quality, environmental impacts, affordability, and sociocultural practices), was calculated using data from 24-hour dietary recall interview, food expenditures, and food choices. A higher SDI-US score indicated greater adherence to sustainable diets (range: 4-20). This study also presented SDI-US scor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status. All analyses accounted for a complex survey design. Results: Of 148 papers, 16 were reviewed. Adherence to sustainable diets fell into 3 categories: EAT-Lancet reference diet-based (n = 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definition-based (n = 4), and no specific guidelines but including the sustainability concept (n = 4). Importantly, FAO definition emphasizes on equal importance of four dimensions of diet (nutrition and health,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nd environmental). The mean SDI-US score was 13 out of 20 points, and was higher in older, female, and highly educated adults than in their counterparts.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sustainable diets should be assessed us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because of their complex nature. Currently, SDI can be a good option for operationalizing multidimensional sustainable die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SDI through additional data collection, including environmental impact of food, food price, food budget, and use of ready-made products.

어패류와 그 제품 섭취양상에 따른 두발중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 (Mercury Contents of Scalp Hair by Consumption Pattern of Fishes, Shellfishes and its Products)

  • 이원식;김두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1호
    • /
    • pp.44-58
    • /
    • 1994
  • 어패류 섭취양상에 따른 총수은 및 유기수은의 체내 축적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6월부터 8월 사이에 경북지방의 해안지역, 도시지역 및 산간지역에서 남자국민학생 115명과 남자 성인 131명, 총 246명의 두발중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을 수은분석장치 (Model IL 440)를 갖춘 원자흡광분광광도계 (Model IL 551)로 선택적 환원기화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학생군의 경우 생선 및 조개류와 생선통조림 및 어묵류를 선호하는 군의 두발중 총수은(각각 7.728ppm, 6.969ppm) 및 유기수은 함량(각각 6.610ppm, 5.885ppm)이 육류(총수은; 4.822ppm, 유기수은; 3.905ppm)나 야채류(총수은; 3.974ppm, 유기수은; 3.224 ppm)를 선호하는 집단보다 현저히 높았다(각각 p<0.01). 생선통조림을 먹는 방법에 따른 두발중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은 그대로 먹는 경우가 야채사라다와 섞어서 또는 찌개로 먹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생선통조림, 생선 조리반찬 및 생선회 섭취빈도가 많을 수록 두발중 총수은과 유기수은 함량이 많아 거의 매일 먹는 군이 거의 먹지 않는 군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p<0.01), 생선을 주로 먹는 방법에 따라서는 회로 먹는 경우가 탕이나 구워서 먹는 경우 보다 현저히 높았다(p<0.01). 성인군의 경우 연령에 따른 두발중 수은 함량은 총수은과 유기수은 함량 모두 40대까지는 연령증가에 따라 증가했으나, 50대 이후는 약간 감소하였다. 직업별로는 어업 및 횟집 종사자가 농부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또한 선호반찬 종류에 따라서는 생선 및 조개류를 선호하는 군이 가장 높았으며, 생선을 먹는 방법에 따른 두발중 수은 함량은 회로 먹는 군이 탕이나 구워서 먹는 군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생선회, 생선조리반찬 섭취빈도에 따른 두발중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은 섭취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각각 p<0.01). 이상의 결과로 보아 두발중 수은 함량은 어패류와 생선통조림의 섭취 빈도가 높을 수록 증가하였으나 중독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농도에는 크게 못 미쳤다.

  • PDF

기체충진 포장조건에 따른 신선편이 캠벨 포도의 저장 중 품질변화 (Storage Quality of Ready-to-Eat Campbell Table Grapes as Affected by Activ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 이현희;홍석인;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59-567
    • /
    • 2012
  • 신선편이 포도 상품의 유통, 판매 중 부패억제 및 품질유지를 위한 환경기체조절포장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살균소독, 세척, 절단 과정을 거친 캠벨 포도 시료에 대해 다양한 기체 충진 조건을 적용하여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밀봉한 후 $5^{\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고이산화탄소 조건에서 포도의 호흡률은 일반 대기조성에서의 호흡률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고산소 조건에서는 산소 소모율이 2배 정도 증가하는 비정상적인 호기호흡이 일어났다. 저온저장 중 포장 내부의 기체조성은 초기 기체충진 조건에 관계없이 $O_2$가 모두 소비되고 고농도의 $CO_2$가 축적되었으나, PE 포장구에서는 약 13% 이상의 $O_2$가 유지되었다. 포도의 품질인자 가운데 생체중량은 대조구인 통기 포장구에서만 1.0% 이상 감소하였고 고산소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중량감소를 나타내었으며, 과육의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경도, 과피 표면색, 폴리페놀 함량, PPO 활성에서는 기체충진 조건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다. 한편 고이산화탄소 처리구에서는 약 $10^1-10^2$ CFU/g 수준의 가장 낮은 미생물 균수를 나타내었으나 저장말기에 이취가 강하게 발생하였고, 고산소 처리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이취가 적고, 고유의 포도향이 유지되면서 관능검사 평가점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적정 농도의 고이산화탄소와 고산소를 병용한 환경기체조절포장은 신선편이 포도의 저장유통 중 품질유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최적의 포장조건을 찾기 위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국내유통 홍어회 제품의 미생물 및 이화학적 특성조사 (Microbi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eady-to-eat Skate in Korean Market)

  • 이은정;서정은;이종경;오세욱;김윤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7-141
    • /
    • 2008
  • 2006년 $6{\sim}8$월 국내 유통 중인 홍어회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을 조사한 결과 홍어회는 다른 어패류와 달리 신선 상태가 아닌 숙성 후 섭취하는 제품으로 pH가 9 내외의 수준이고, 암모니움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른 신선식품 보다 VBN 값이 $15{\sim}30$배 정도 높았다. 숙성 홍어회의 미생물 오염 지표인 총균수 수준이 대다수 제품에서 식품 공전 상 잠정규격인 5 log CFU/g보다 높게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이 검출된 사례도 18건 중 1건이 있었고, 병원성 미생물인 S. aureus가 검출된 사례도 18건 중 2건이 있었다. 또한 약 5 log CFU/g 수준의 S. aureus를 숙성된 홍어회의 가식부위에 접종했을 때 저장 10일 째 일정 수준 (2 log CFU/g) 감소하긴 했지만, 3 log CFU/g 수준의 S. aureus가 10일 이상의 저장 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국인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시장별 한식 편의식품 상품화 의견 (Opinion of Commercialization of Ready-to-Eat Korean Foods by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in Koreans and Non-Koreans)

  • 이나영;최보람;장혜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02-612
    • /
    • 2016
  • 본 연구는 한식 상품화를 위한 내 외국인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기초로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시장의 특성과 한식 즉석편의식품 개발 대상을 규명하였다. 2009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국내외 거주 또는 방문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식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478명(한국인 266명, 외국인 212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17개 항목은 요인분석에 의해 맛추구, 건강추구, 편의추구, 경제추구의 4요인으로 분류한 후 조사대상자의 유형을 군집 분석하였다. 내국인의 세분시장은 건강추구형, 무관심형, 합리추구형, 가격민감형으로 분류되었고, 외국인은 맛추구형, 합리추구형, 무관심형, 편의추구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각 세분시장별로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서로 차이가 있었고 한식 인지도와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다. 내국인과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세분시장별로 상품화 시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평가한 결과 내국인 중 건강추구형, 가격민감형은 비빔밥을, 외국인 중 맛추구형은 불고기를, 합리추구형과 무관심형은 비빔밥을 상품화가 필요한 제품이라고 응답하였다. 상품화 시 구매하고 싶은 음식은 내국인 중 건강추구형은 잡채, 무관심형은 비빔밥을 꼽았고, 외국인 중 맛추구형은 불고기, 합리추구형과 편의추구형은 잡채, 무관심형은 비빔밥을 선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국내외 한국인과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여 특정 세분시장별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으로 상품 출시 및 홍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식 즉석편의식품 상품화 시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별 시장성이 예상되는 상품들의 전략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감마선 조사와 로즈마리 추출분말 병용처리가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에 미치는 영향: I. 미생물학적 특성 및 저장성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Gamma Irradiation and Addition of Rosemary Extract Powder on Ready-to-Eat Hamburger Steaks: I.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helf-life)

  • 오상희;김장호;이주운;이유석;박경숙;김종군;이효구;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87-693
    • /
    • 2004
  • 본 연구는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에 감마선 조사와 항산화제 및 항균제로 알려진 로즈마리의 추출분말의 병용처리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0, 200,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한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를 0, 5, 10 및 20 k㏉로 조사한 후 4개월 간 냉장(5$^{\circ}C$)저장하면서 미생물의 생육을 평가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와 로즈마리 추출분말의 병용처리가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단기간 내에 파악하기 위해 가속저장(3$0^{\circ}C$) 시험을 병행하였다.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초기 호기성 총균수는 약 5 log CFU/g이었으나, 감마선 조사에 의해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 중 호기성 총균과 대장균군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특히, 20 k㏉로 조사한 햄버거 스테이크에서는 저장 4개월까지 어떠한 미생물도 검출되지 않았다. 총균수가 $10^{6}$$10^{7}$ log CFU/g에 이르렀을 때를 저장한계로 보았을 때, 냉장 저장시 비조사구는 14일인 반면, 5 및 10 k㏉ 조사구는 각각 28∼42, 98∼112일이었다. 5 및 10 k㏉ 조사구에서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비첨가구에 비해 저장기간이 14일 연장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속저장 시험 시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성이 향상되었으나 로즈마리 추출분말 첨가에 의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냉장 저장 시에는 감마선 조사구(5 및 10 k㏉)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로즈마리 추출분말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solar salts reduce obesity and alter its related markers in diet-induced obese mice

  • Ju, Jaehyun;Song, Jia-Le;Park, Eui-Seong;Do, Myoung-Sool;Park, Kun-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6호
    • /
    • pp.629-634
    • /
    • 2016
  • BACKGROUND/OBJECTIVE: The aim of this experiments was to show anti-obesity effects of Korean solar salt from different salt fields in diet-induced obese mice. MATERIALS/METHODS: Diet-induced obesity (DIO) was induced by a high-fat diet (HFD; 45% cal from fat) in C57BL/6J mice for eight weeks. The mice were fed with the designated diets (chow diet for Normal, HFD for Control, 0.47%-salt-mixed HFD for purified salt (PS), Guerande solar salt from France (SS-G), solar salt from Y salt field (SS-Y), solar salts from T salt field (SS-T) and S salt field (SS-S)) for another eight weeks. We checked body weight, food efficiency ratio (FER) and tissue weights (liver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EAT)), and observed serum concentrations of triacylglycerol (TG), total cholesterol (TC), leptin and insulin. We also evaluated gene expressions of adipogenic / lipogenic mRNAs of $C/EBP{\alpha}$, $PPAR{\gamma}$ and FAS and beta-oxidation-related factors ($PPAR{\alpha}$ and CPT-1) in liver and EAT. The mineral composition of salt samples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ICP-OES). RESULTS: SS-T and SS-S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gain, FER, and weight of EAT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samples (P < 0.05). SS-T and SS-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levels of TG, TC, leptin and insulin (P < 0.05). SS-T and SS-S suppressed expressions of adipogenic / lipogenic mRNAs in liver and EAT, while promoting expression of beta-oxidation-related factors. The lowest sodium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SS-T ($30.30{\pm}0.59%$), and the lowest sodium-to-potassium (Na/K) ratio was found in SS-S (17.81). CONCLUSIONS: Our study shows that well-processed Korean solar salt may have anti-obesity effects in vivo, probably owing to its differences in mineral composition and other components, presumably resulting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to the mechanism and to explore optimal manufacturing processes.

식사대용 식품(Ready-to-eat meals) 중 병원성 세균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and Assessment of the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Ready to Eat Meals)

  • 홍은경;김윤아;이도경;강병용;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5-2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3월 초까지 497개의 초밥, 김밥, 샌드위치 등의 식사대용 식품 검체를 수거하여 식품공전을 토대로 식사대용 식품에서 유래되는 미생물학적 인 오염도를 조사하고, 현대 사회에서 항생제 사용의 오남용으로 항생제 내성이 심각한 상황을고려하여 분리된 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거된 검체를 실험한 결과 김밥에서 4개(1.4%)의 Escherichia coli가 분리되었고, 초밥, 샌드위치 등에서는 분리되지 앓았다. 또한 김밥에서 12개(4.4%), 초밥에서 8개(5.4%), 샌드위치에서 2개(4.3%)로 총22개(4.4%)의 Staphylococcus aureus가 분리되었다.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26개의 균주로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의 기준에 의거하여 vancomycin, teicoplanin, gentamycin, cipro-floxacin, synercid, cefotaxime, lincomycin, meropenem, cefazo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으로 총 10개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E. coli와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E. coli 4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은 그람 음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인 gentamycin, ciprofloxacin, cefotaxine, meropenem, cefazol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다고 판단되었으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해서는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은 비교적 높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