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 Governanc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국방아키텍처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A Governance Framework for MND- Enterprise Architecture)

  • 정찬기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5-191
    • /
    • 2008
  • 우리 군은 EA(Enterprise Architecture)를 국방변혁과 한국형 NCW 구축을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국방아키텍처(MND-EA) 구축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국방아키텍처가 가지는 중요성과 달리 명시적인 EA 거버넌스(Governance) 체계를 갖추지 않고 국방아키텍처를 구축하고 있다. 많은 연구보고서에서 EA 거버넌스 없이는 실용적인 EA를 구축하기 어렵다고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국방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한 EA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국내 외 공공기관의 EA 구축 및 거버넌스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거버넌스 구성요소를 식별한다. 원칙, 조직, 프로세스로 구성된 거버넌스 기본 의델을 수립하고 이 모델을 거버넌스 범위 및 대상에 투사하여 국방아키텍처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제안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는 명시적이고 공식적인 국방아키텍처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IT거버넌스의 영향요인 분석: ITA/EA 기능 중심 (An Analysis for Influence Factors for IT Governance: Focusing on ITA/EA Functions)

  • 안연식;강재화;조형래;김문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3-80
    • /
    • 2007
  • In this paper, the function factors contributing to ITA/EA functions in their organizations, are suggested. Also the reasons to the construction of IT governance system and their effects on the their organizations are discussed and the relationships are verified by empirical model. From the survey, the data of the 227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validating the research model. ITA/EA functions consist of the IT infrastructure systemization, ITA/EA business process support, IT investment efficiency factors. And the factors of IT resource and performance management, IT process management, IT service management are included to IT governance. The main analysis results described significantly are shows as follows. At first, IT resource and performance management factor is effected by the ITA/EA business process support factor and IT investment efficiency factor. In similarly, IT service management factor is also affected by the factors such as ITA/EA business process support, IT investment efficiency, and IT infrastructure systemization. In additional analysis, IT investment efficiency factor in official sectors, ITA/EA business process support factor in private sectors respectively are described as the significant factors on the IT governance.

ITA/EA 영향분석 요인 (Influence Factors on the IT Governance from ITA/EA Functions)

  • 안연식;김희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3-15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ITA/EA 기능이 IT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조직에서 ITA/EA가 역할을 하고 있는 몇 가지 기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 요인들이 IT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223개의 조직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인프라 체계화, 의사결정 향상 그리고 IT 프로세스 및 지원 기능들이 IT거버넌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 Enterprise Architecture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IT Governance 관점에서 (A Study on the Key Factors for Activating Enterprise Architecture in the Public Sectors: A Perspective of IT Governance)

  • 김충영;오승운
    • 정보화연구
    • /
    • 제10권4호
    • /
    • pp.423-43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EA(Enterprise Architecture)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에서 EA가 운영되고 있는 실태를 IT 거버넌스 관점에서 분석하고 EA 담당자의 입장에서 EA 활성화에 필요한 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 기관별로 차이가 있는 EA성숙도수준을 고려하여 실행업무를 비교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EA의 도입이 IT관리체계의 구축과 개선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EA의 성숙도가 높을수록 IT 관리체계의 개선뿐 아니라 사용자 만족도와 활용도, 그리고 업무개선 등 다른 성과도 뚜렷하게 산출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EA 성숙도 수준이 일정수준에 도달해야만, 즉 EA가 활성화되어야만, IT 관리체계를 개선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다양한 IT 성과(사용자 만족도와 IT 활용도, 업무개선)에 도달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EA 거버넌스와 EA 역량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EA Governance and EA Competency of Public Agencies)

  • 김기백;이철규;유왕진;문종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03-114
    • /
    • 2012
  • 최근 정보시스템의 중복투자 방지와 상호운영성 증대를 위해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보자원관리(IRM)를 위해 EA(Enterprise Architecture)를 도입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EA를 더욱 성과지향적으로 통제관리하기 위해 EA 거버넌스를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기관의 EA 거버넌스 수준과 EA 역량에 대한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수행하였다. EA를 도입 활용하는 정보화 부서에 종사하는 총190명을 대상으로 관련 가설을 수립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EA 거버넌스의 EA기능 프로세스, EA 조직과 인력 수준 모두 도입 후 EA관리와 활용 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EA 조직과 인력 수준이 EA 수립에는 그 다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이 처음 EA 도입구축 시 관련 예산 부족 등으로 전문 인력 미확보와 전담 조직을 미처 갖추지 못하고 외부 전문가에 의존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EA 거버넌스가 단계적으로 EA수립 역량의 수준에 따라 두 번째 단계인 EA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EA관리 역량의 수준이 세 번째 EA활용 역량에 충분히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결과가 규명되었다.

EA 거버넌스를 고려한 SOA 거버넌스의 구축 (Building SOA Governance relating with EA Governance)

  • 최종섭;김희택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0-235
    • /
    • 2007
  • 현대의 조직은 급격한 업무 환경의 변화와 극심한 경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보기술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다. 업무 체계가 다양하고 복잡해지면서 이들 체계 간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하여 조직의 전략들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업무의 민첩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보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전사적 아키텍처(EA)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가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들은 일회성 프로젝트로 추진하여서는 섬과를 얻을 수 없으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뭐하여 EA 거버넌스와 SOA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이들 간의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고려하며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를 설명하였다.

  • PDF

국가정보화 거버넌스 체계정립을 위한 EA 노력의 변화 분석 (Reestablishing EA as a Pan-Government IT Governance Tool)

  • 김성근;오승운;신신애
    • 정보화정책
    • /
    • 제17권3호
    • /
    • pp.21-35
    • /
    • 2010
  • Enterprise Architecture는 정보화 문제의 해결 방안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정부도 이런 목적으로 2005년부터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도입 초기에는 개별 기관 중심이었다. 즉 개별 기관별로 산출물을 만들고 기관 내부에서 적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들 산출물이 국가정보화 거버넌스 용도로 활용될 여지가 없다 보니 그 효과도 미미할 수밖에 없었다. 2008년 출범한 새 정부는 EA를 국가정보화의 효과적 거버넌스 도구로 새롭게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행되어왔던 EA 노력의 문제점과 이의 해결을 위해 새롭게 추진해 왔던 EA 노력의 변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EA 노력의 향후 추진 방안도 제시된다. 이를 통해 수년 전부터 수행되어 왔던 EA 노력이 공공기관에 보다 성과 지향적으로 착근되게 하고 국가정보화의 효과적 관리를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 PDF

EA기반 정보자원 통합 추진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산림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s for EA-based Information Resource Integration Execution and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the Korea Forest Service)

  • 김찬회;홍승태;김형진
    • 정보화정책
    • /
    • 제20권3호
    • /
    • pp.86-105
    • /
    • 2013
  • 산림자원을 기존의 육성 및 관리적인 측면에서 대외적으로는 대국민을 대상으로 이용과 대내적으로는 지속적인 산림자원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육성과 관리를 위하여 국가산림정보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특히 산림정보화는 산림이라는 특수성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간 많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일례로 산림청의 많은 내부 업무 시스템들이 현업보다는 본청에서 하향식 자료 취합을 목적으로 구축되었으며, 또한 대국민 이용측면에 있어서도 다양한 콘텐츠들이 이해당사자별로 제공됨으로써 유익한 정보들이 체계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산림청은 전사차원의 문제 해결 방안으로써 IT Governance 개념과 EA기반의 정보화를 추진하고 더불어 기존 시스템 측면에서 업무와 서비스 측면을 강화하여 국가 산림정보화 기반조성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이에 따른 주요 추진 내용과 시사점 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

공공부문에서 한국의 EA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EA Experiences of Korea in Public Sector: Past, Present and Future)

  • 오승운;신다울;신동익
    • 정보화연구
    • /
    • 제10권4호
    • /
    • pp.411-42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EA 추진노력을 준비기, 기반/적용기 및 활용기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이후 개별기관 EA와 범정부 EA의 성과 및 시사점과 향후 정책방향에 대한 조언을 제시해보았다. 한국의 EA 추진노력은 개별기관 차원에서는 중복투자 방지, 자원 재사용 등의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범정부 차원에서도 자원 최적화에 따른 정보화예산 절감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EA 추진현황 및 성과를 알아보고 향후 공공부문의 EA가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정보화 투자의사결정 유형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IT Investment Decis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 on Public Sector)

  • 홍승태;민대환;김형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9-309
    • /
    • 2013
  • Korea has been ranked at the top consecutively in UN e-Government Survey. This fact reflects consistent efforts by public institutes in Korea. However, there were some duplicate efforts and inefficiency in the investment into IS(information systems). In other words,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on e-government have yet to improved. Accordingly, governmental institutes have long been promoting policies for EA in order to carry out and manage effectively IT projects including the e-Government projects. EA is being regarded as a means to facilitate IT Governance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IT projects, A major objective is to firmly establish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IS investment through EA, since the each institute is a large organization with so complicated and specialized demand for IS. As a result, systematic decision making is becoming quite difficult. Thu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IT investment decision making an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 types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es where EA was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