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overnment

검색결과 1,495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의 전자정부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e-Government Research Trend in Korea: A Meta Study)

  • 이영주;강경희;신재우;이중정
    • 정보화정책
    • /
    • 제17권3호
    • /
    • pp.36-56
    • /
    • 2010
  •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전자정부를 구축하면서 전자정부에 대한 학술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그간의 연구동향과 성과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은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부를 키워드로 하여 국내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각 논문의 핵심 참조학문, 연구주제, 연구방법론, 지식형성체계 등 전반적 연구 동향에 대한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고, 외국의 동향과 비교해 보았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학문적 정체성, 이론적 성숙도, 실무적 유용성의 세 가지 관점에서 그간의 연구성과를 평가했다. 그 결과, 먼저 한국의 전자정부 연구는 행정학 내의 독립적인 연구 분야로 정체성을 확립해 가고 있으나 주로 경영정보학의 이론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제 간 교류의 지속적인 강화가 요구된다. 다음으로 전자정부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양적인 연구성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연구방법론의 다양화와 이론 개발을 위한 노력 등 질적인 발전을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기술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시의성 있는 연구문제를 다룸으로써 정책적, 실무적 공헌을 해왔으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전자정부 관련 이슈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성과를 보여줄 것을 기대한다.

  • PDF

한국 전자정부 수출 촉진을 위한 전략적 접근 - 개발도상국 진출을 중심으로 - (A Strategic Approach for Promoting Korean e-Government Model Exports Targeting Developing Countries -)

  • 남재일;이종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049-106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UN 전자정부 세계 순위 평가에서 2010년에 이어 2회 연속 1위로 평가 받은 바 있는 한국의 전자정부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수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물론 현재까지 개별 부처나 기관별로는 관련 시스템의 수출을 위해 나름대로 노력해 왔으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부 수출 기업 지원을 위한 기존 부처나 기관 중심의 추진전략에서 나타난 미흡한 점을 분석하여 한국 전자정부의 수출을 촉진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중장기적인 전략과 지원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로서 기존 정부부처 및 기관별로 추진하고 있는 전자정부 수출전략을 분석하여 그 개선점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목표모델과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향후 보다 적실성이 높으며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Determinants of Citizens' Satisfaction of E-Government: An Empirical Study in Vietnam

  • NGUYEN, Thuy Thu;PHAN, Duc Manh;LE, Anh Ha;NGUYEN, Lan Thi Ngoc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519-531
    • /
    • 2020
  •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e-government satisfaction in Hanoi, Vietnam, and assess their impact. To collect data,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with citizens living in Hanoi in a time span of five weeks. We received 1,107 responses, divided into three groups: unaware, known, but not used, and used e-government. After leveraging past studies on satisfaction in different contexts, we arrived at six external variables that are of particular relevance to e-government satisfaction (i.e., efficiency, trust, reliability, convenience, citizen support, and transparency) as well as four control variables (i.e., age, gender, education level, and Internet frequency). We then applied both SPSS 22 and STATA 2016 to process and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found that, while almost all external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four control variables are not. Apart from convenience and trust, four factors - efficiency, reliability, citizens support, transparency - are important measures of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relative benefits of e-government, which in turn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mpact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public services. Furthermore, the efficiency variable has the mos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 decreases in the following order: citizen support, reliability and transparency.

국제조달시장의 전자무역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E-trade in International Procurement Market)

  • 이상진;정재승
    • 통상정보연구
    • /
    • 제6권3호
    • /
    • pp.137-157
    • /
    • 2004
  • It is very necessary to find how to develop international government procurement by analyzing functions and roles of information providing circumstance and existing total international government procurement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it would require to draw up a way of improving current international government procuremen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problems of existing system.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international government procurement information system and give an idea of mutual cooperating with DGMARKET, a good example of international government procurement information system. As a practical method, cooperating with DGMARKET by building each countries' gateway will be very helpful in cost sav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It will also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Korean system's one way service. But supplying only international government procurement information is insufficient in realization of e-trade in international goverment procurement market. To settle these problems, treating international government procurement as a same field of trade and giving political support and incentive to company which hopes to participate international goverment procurement are absolutely needed.

  • PDF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효율적인 GPKI 구축 방안 (Implementation of Efficient GPKI for E-Government)

  • 장홍종;박인재;이정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13-127
    • /
    • 2000
  • 전자정부 구현에 있어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각종 행정정보들에 대한 정보보호는 필수적인 선결 조건이다. 미국 등 각국에서는 전자정부의 정보보호 기반 구축을 위하여 가상행정 환경에서 당사자의 신원 확인, 기밀성, 무결성, 부인봉쇄 등을 보장하는 정부타원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를 구축 운영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등 선진 국의 사례 연구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효율적인 GPKI(Government PKI)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Taxpayer Behavior in Using E-Vehicle in Indonesia

  • Evi Zubaidah;Achmad Nurmandi;Ulung Pribadi;Mega Hidyat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1권3호
    • /
    • pp.378-391
    • /
    • 2021
  • The low use of e-vehicles in Yogyakarta City and Pekanbaru City is an essential issue for local governments to maximize e-government policies in both reg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people's attitud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ty of e-Samsat (e-Vehicle tax) users in developing the UMEGA theory, namely technology and government trust. This is a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philosophy of positivism, which is used to examine populations and individual samples. Data were collected using research instruments and quantitatively analyzed. Furthermore, the hypothesis of the obtained data was tested using SEM-PL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influence does not affect attitudes of e-Samsat (e-Vehicle tax) users. Furthermore, the study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umega theory by adding variables of trust in technology and government affects people's behavior in using e-Samsat services.

차세대 u-City를 위한 정부 대표포털 구축전략 (Korea e-Government Portal for Next Generation u-City)

  • 조영임;정형철;오강탁;곽희섭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808-813
    • /
    • 2008
  • u-City란 언제어디서나 수요자 중심의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도시를 말한다. 현재 대한민국 전자정부 대표포털은 현재 우리나라 대표 행정포털로써,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고는 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즉. 수요자 중심으로(수요자 분류체계에 의해)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현재 시스템이 너무 복잡하여 수요자 중심의 정보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바람직한 u-City를 위한 정부 대표 행정포털로서의 기능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실증연구: ODB와 OUR Index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Open Government Data: Focusing on ODB and OUR Index)

  • 서형준
    • 정보화정책
    • /
    • 제24권1호
    • /
    • pp.48-7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 개방수준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은 물론 사회자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총 26개국을 대상으로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인 ODB와 OUR Index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 ODB를 기준으로 할 때 독립변수만을 투입한 모델 1에서는 전자정부, SW시장규모, 정부효과성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를 투입한 모델 2에서는 전자정부, SW시장규모, 사회자본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 상호작용항이 투입된 모델 3에서는 전자정부, 사회자본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종속변수 OUR Index를 기준으로 할 때 모델 1, 모델2에서 전자정부만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 상호작용항이 투입된 모델 3에서는 전자정부, SW시장규모${\times}$사회자본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경로분석에서는 종속변수 ODB의 대안모형에 대해서 정부효과성만이 사회자본과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전자거버넌스 시스템의 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Governance System)

  • 한재일;전성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09-215
    • /
    • 2005
  • 1990년대로부터 시작된 전자정부 프로젝트는 정보처리 기반의 구축, 정부내 조직 개혁, 웹을 통한 정부조달과 정부서비스의 제공 등에 초점을 둠으로써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정부기관의 기능을 강화하는 전자정부시스템의 개발에 집중되었다. 현재 거버넌스 관점에서 시민참여에 대한 이론 및 실증적 연구는 많이 되고 있으나 시민참여의 개선에 중점을 둔 전자정부 시스템, 소위 전자거버넌스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 밖에 받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전자거버넌스 시스템의 특성과 핵심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시스템 구조를 제시한다.

  • PDF

서울지역에서 유통 중인 쇠고기와 돼지고기로부터 분리된 대장균과 장구균의 분리율 및 항생제 내성 (Isolation frequency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beef & pork on sale in Seoul, Korea)

  • 김주영;박미애;김지은;채희선;박연재;손장원;양윤모;최태석;이주형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1-119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solation frequency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E. coli) and Enterococcus spp. from domestic beef and pork on sale in Seoul, Korea. A total of 106 (10.4%) E. coli and 114 (11.2%) Enterococcus spp. from 635 domestic beef and 381 pork samples were isolated and examined for susceptibility to 15 and 11 antimicrobial agents,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antimicrobial resistance observed in E. coli isolates was to ampicillin (38.6%), followed by streptocmycin (34.9%) and tetracycline (32.0%). The most frequent antimicrobial resistance in E. faecium isolates was to erythromycin (53.8%) and rifampin (46.1%), and in E. faecalis isolates was to tetracycline (55.7%) and rifampin (55.0%). Among the isolates, multi-drug resistant (MDR) E. coli and Enterococcus spp. strains showing resistances to more than two antimicrobial agents tested were 10.4% and 11.2%, respectively. As a result, appropriate protocols for antimicrobial agents and strategies to reduce antimicrobial resistance will be needed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