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del

검색결과 11,444건 처리시간 0.044초

전자책 아카이빙을 위한 협력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Model for Archiving an Electronic Book)

  • 조현양;장보성;유보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61-178
    • /
    • 2010
  • 이 연구는 국내 외 전자책의 수집 및 보존기술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미래 전자책의 기술 진화에 대응한 도서관의 전자책 수집 및 보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전자책 제작 및 유통 현황과 국내 외 전자책 수집 및 아카이빙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보존기간과 관계없이 보존된 자원에 대한 접근성 유지를 위하여 메타데이터 요소와 OAIS 참조모형을 기반으로 전자책 아카이빙 협력 모형을 제안하였다. 한국형 전자책 아카이빙 협력 모형은 법령에 의한 집중형 모형, 개별 보존 및 분산형 모형, 전자책 아카이빙 보존관리센터 모형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개별 모형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부등류해석을 이용한 QUAL2E 모형의 개선 (Improvement of QUAL2E Model using Nonuniform Flow Analysis)

  • 김상호;최현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44-1150
    • /
    • 2006
  • Recently, as water pollution accidents in rivers have increased, there is an increased interest in water quality forecast with accurate simulation. QUAL2E model, widely used for water quality analysis, uses the same hydraulic characteristics, such as depth and velocity, in a reach. The flow of the river is changed by various hydraulic constructions or by topography in a real river channel. In this study, a hydraulic connection module is developed to consider flow variations of river channels in QUAL2E model. The module uses the simulations results of non-uniform flow of a 1-D hydraulic model such as DWOPER or HEC-RAS. The improved QUAL2E model with this module was applied to a downstream section of Paldang Dam on the Han River. The results show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very well in a reach where flowing vary abruptly, like the Jamsil submerged weir.

e-Marketplace 중심의 유통산업 비즈니스 프로세스 표준모형 개발 (Development of Business Process Model based on the e-Marketplace in Retail Industry)

  • 임춘성;홍정완;박윤정;김유석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CALS/EC KOREA
    • /
    • pp.259-276
    • /
    • 2001
  • The B2B e-Marketplace connected a number of suppliers and buyers offers the opportunity to form more flexible supply chain and requires to transform the business process of purchasing transactions between suppliers and buyers to new environment. So, firms in e-Marketplace will become increasingly aware of need to improve and extend their existing processes. In order to provide the reference model for these firms, we have developed a standardized model of business process for retail industry that incorporates several important features of purchasing process in e-Marketplace. The paper describes these features and discusses the use of the model in retail industry.

  • PDF

정보 시스템 성공 모형을 적용한 e-Book 성공 모형의 평가 (Assessing e-Book Success Model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 오창규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82
    • /
    • 2012
  • 최근 국내적으로 e-Book 산업에 대한 성장 전망을 실현화하기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진보되어 왔다. e-Book의 경우 정보 시스템 영역에서 가치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e-Book을 정보 시스템 영역으로 확장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성공 메커니즘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Book의 성공 모형을 제안하고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체 241명의 e-Book 사용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구성개념들의 관계가 유의적으로 도출됨으로써 e-Book의 연구 영역을 정보 시스템 연구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경로별 멀티그룹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개인의 지각된 효용 차이에 따라 e-Book의 성공 요소들이 서로 상이하게 영향력을 행사함을 밝힘으로써 e-Book 시장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e-러닝 시스템의 교수-학습 기능 지원을 위한 명세화된 참조 모델 (The Specified Reference Model for Supporting a Teaching&Learning Function of the e-Learning System)

  • 이우범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3-31
    • /
    • 2009
  • e-러닝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교수-학습 기능의 지원 정도는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e-러닝의 기획, 개발, 운영, 평가 등에 있어서 시스템이 지원하는 기능에 기반 한 명세화된 참조 모델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e-러닝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기능 지원을 위한 명세화된 참조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한 명세화된 참조 모형의 유효성은 e-러닝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서 검증한 결과, 이전의 e-러닝 시스템보다 $11%{\sim}23%$의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안 모델의 활용성 검증을 위해서 기존의 e-러닝 시스템을 참조 모형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기능의 지원 정도에 따라서 사전 평가한 결과, 실제 해당 사이트를 경험한 수요자들의 서비스 요구도에 의한 만족도와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e-Learning 시스템의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e-Learning Systems)

  • 이문봉;김종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5권4호
    • /
    • pp.171-188
    • /
    • 2006
  •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ve had a dramatic effect on education method and individual life. Universities and companies we making large investments in e-Learning applications but are hard to pressed to evaluate the success of their e-Learning systems. e-Learning can be seen as not only one of Internet based information systems which can provide education services but also one of teaching-teaming methods which can implement self-directed teaming. This paper tests the updated model of information system success proposed by Delone and McLean using a field study of a e-Learning. The five dimensions -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net benefit - of the updated model are parsimonious framework for organizing the e-learning success metric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Questionaires are collected from 107 students who are enrolling a e-learning class using online survey. The model is tested using SPSS and LISREL. The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user satisfaction with the e-Learning system but system quality is not. Also user satisfaction is found to be a strong predictor of the learning performance. This strong association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teaming performance suggests that user satisfaction may serve as a valid surrogate for teaming performance. Empirical testing of the updated DeLone & McLean model should therefore be extended to cover a wider variety of systems.

  • PDF

중소기업 e-비즈니스 성숙도 모형과 적용사례 (An e- Business Maturity Model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case studies)

  • 김은홍;서정우;안성만;장성봉;이석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0권3호
    • /
    • pp.109-120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n e-business maturity model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model consists of five maturity levels, which are on-line access, on-line business, matured on-line business, and full on-line business from least matured level to most matured level. The model can be used to assess e-business maturity level of individual enterprises. individual enterprise's maturity level can be assessed by examining sample check lists. Additionally,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an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odel to a coupl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is model can also be used to suggest what individual enterprises need to be upgraded towards higher maturity level.

  • PDF

전기강판의 벡터 자기특성 모델링을 위한 개선된 E&S Vector Hysteresis Model (Improved E&S Vector Hysteresis Model for the Precise Modeling of Vector Magnetic Properties of Electrical Steel Sheet)

  • 송민호;윤희성;고창섭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9호
    • /
    • pp.1684-1692
    • /
    • 2011
  • Recently, several vector hysteresis models such as vector Preisach, vector Jiles-Atherton and dynamic E&S model have been proposed to describe vector magnetic properties of electrical steel sheets.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an adequate vector hysteresis model in finite element application for both the Non-oriented and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under alternating and rotating field conditions. In this paper, an improved E&S vector hysteresis model is suggested to describe the vector magnetic properties of both Non-oriented and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under various magnetic field conditions including alternating and rotating magnetic field condition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is tested through comparison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under various magnetic field conditions.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개방형 포털 시스템을 사용한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 (The Business Model with Open Market System for Invigorating e-Learning)

  • 이상엽;박성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02-316
    • /
    • 2011
  • 이러닝 인력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을 위한 강사와 학습자가 쉽고 편하게 강의 콘텐츠를 거래할 수 있는 오픈마켓 형태의 개방형 교육 포털 시스템을 구현하여, 새로운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의 이러닝 콘텐츠의 제작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함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사 스스로 이러닝 강의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이러닝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제작해본 경험이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과 인기 있는 기존의 시스템들의 유용성에 대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군고구마 시스템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업체 중심의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이 아닌 강사와 학생 중심의 이러닝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 줌으로써 이러닝 콘텐츠의 다양성 확보 그리고 이러닝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