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ziga Vertov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Review on Historical Assessment and Perception of Dziga Vertov

  • Jeon, Pyoung-Ku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4권4호
    • /
    • pp.24-29
    • /
    • 2008
  • In 1920s, Soviet silent films enjoyed unprecedentedly great prosperity throughout world film history. Particularly, Dziga Vertov could develop 'montage' in collaboration with Sergei Eisenstein and thereby could work as the engines behind development and leap of Soviet films toward 'new concepts' of 'new films' worldwide. However, Vertov's original reputations - the best film theorist and avant-gardist as well as great cineaste in his contemporary age - have been misunderstood or underestimated, so that he has been still misestimated or distorted as radical formalist and documentary propagandist. In regard to these points, this study aims to take Gilles Deleuze's modal esthetic approaches to further considering and historically re-highlighting D. Vertov's film theories that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film-reality' and the concept of 'Life As It Is' according to 'kino-eye' method and 'interval' theory as a part of futurism and constructivism breaking down any attribute of traditional narrative films.

소비에트 무성영화의 지가 베르토프 영화이론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론을 비교중심으로- (Dziga Vertov's Film Theory of Soviet Silent Film -By Comparison between Montage Theory of Sergei Eisenstein and Dziga Vertov Film Theory-)

  • 전평국;김노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47-158
    • /
    • 2010
  • 1920년대 소비에트 무성영화는 세계영화사에 있어 문화 예술적 측면에서 찬란한 번영을 일으켰다. 그 중에서도 지가 베르토프(Dziga Vertov)는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Sergei M. Eisenstein)과 함께 당대 소비에트 영화의 핵심적 역할을 행사한 최고의 영화이론가이자 실천가였다. 하지만 베르토프의 영화이론은 오늘날까지도 에이젠슈테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못 인식되거나 전수된 점이 많았다. 그러나 들뢰즈는 베르토프의 영화에 나타난 쇼트 자체가 어떤 의미나 충격을 전달할 수 있으며, 다큐멘터리가 지녀야할 '진실'에 초점을 맞춰 쇼트 자체에서도 의미를 이뤄낼 수 있다고 역설했다. 그의 영화이론은 미래주의와 구성주의에 바탕을 두어 '영화-눈'이라는 방법과 '간격'이라는 이론을 통한 '영화-진실'이라는 원리 그리고 '생활 있는 그대로'의 개념으로 요약 정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르토프 영화이론의 핵심인 키노아이와 간격이론 등을 중심으로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론과 비교하면서 들뢰즈의 이미지론을 적용하며 심도 있게 분석 조망하고자 한다. 나아가 선행연구의 미비로 인한 베르토프의 영화사적 업적을 논의하기에는 역부족일 수도 있으나, 그의 다큐멘터리 영화 표현양식에 있어 혁신적인 방법과 그의 이론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