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sesthesia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3초

하치조신경관으로 과충전된 근관치료 충전재에 의한 감각이상의 외과적 처치 (Surgical treatment for dysesthesia after overfilling of endodontic material into the mandibular canal)

  • 송재민;김용덕;이재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1호
    • /
    • pp.874-879
    • /
    • 2016
  • Damage to the inferior alveolar nerve(IAN) is a relatively infrequent complication in endodontic treatment. However, endodontic overfilling involving the mandibular canal may cause an injury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resulting in sensory disturbances such as pain, dysesthesia, paresthesia or anesthesia. Two mechanism(chemical neurotoxicity and mechanical compression) are responsible for the IAN injury. When absorbent materials overfilled, it can be treated as a non-surgical procedure. But early surgical intervention required when mechanical, chemical nerve damage expected. We report surgical removal of overfilled gutta-percha and IAN decompression through sagittal split osteotomy in case of dysesthesia after overfilling of endodontic material into the mandibular canal. Dysesthesia recovered 3 months after surgical treatment.

  • PDF

치과의사에 의해 보고된 발치 및 임프란트 수술 후 지각이상에 대한 분석 (Dysesthesia after Tooth Extraction and Implant Surgery Reported by Dentists)

  • 유지원;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263-27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발치 및 임프란트 수술 이후 발생하는 지각이상을 분석하여 추후 지각이상의 평가 및 처치시 예측 가능한 지침을 확립하기 위함이다. 발치 및 임프란트 수술 이후 지각이상의 경험여부를 묻는 설문조사에 응답한 276명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지각이상이 발생한 환자의 연령 및 성별, 지각이상이 발생한 위치, 동반증상, 회복율 및 회복기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각이상은 환자의 성별, 연령과 상관성이 없었다. 2. 지각마비의 발생부위는 하악 구치부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이는 발치 및 임프란트 시술시 지각마비가 발생한 경우에 모두 적용되었다(발치군: 93.2%, 임프란트군: 100%). 3. 가장 많이 동반된 증상은 동통으로, 발치의 경우 46.5%, 임프란트의 경우 44.8%로 지각마비 이후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다. 4. 회복율은 발치의 경우 72.3%, 임프란트 수술 후 71.8%로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지각이상이 6개월 이내에 해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발치 및 임프란트 수술 후 발생한 대부분의 지각이상은 발병 후 약 1년내에 해소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영구적인 지각이상의 발생가능성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임상가는 환자에게 신경손상의 가능성을 미리 고지하고, 동의서 양식에 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지각이상이 발생한 후, 객관적으로 예후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지각이상의 경과를 기록할 수 있어야 하며, 보다 효과적이고 비침습적인 처치를 위하여 조기에 구강안면통증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마미증후군 환자의 침, 봉약침, 한약 복합치료 1례 (A Case of Cauda Equina Syndrome Cared with Acupuncture, Sweet Bee Venom Pharmacopuncture, Herbal Medicine Combined Treatment)

  • 김경민;육동일;김정호;김영일;전주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91-102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 to patient diagnosed as cauda equina syndrome(CES) suffering from both lower limb dysesthesia, saddle dysesthesia, buttock dysesthesia, dysuria, dyschezia and gait disturbance. Methods : A patient with CES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sweet bee venom pharmacopuncture, herbal medicine from February 2 to April 9 at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Daejeon Korean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Patient received acupuncture treatment($CV_1$, $CV_3$, $CV_4$, $CV_6$, $ST_{36}$, $BL_{31}$, $BL_{32}$, $BL_{33}$, $BL_{34}$) 12 times a week, bee-venom pharmacopuncture($BL_{23}$, $BL_{28}$) was conducted twice a week, herbal medicine(Samilsingihwan decoction) was applied to patient thrice a day for nine weeks. The following symptoms were observed saddle, and lower limb dysesthesia, dysuria, dyschezia and gait disturbance. Results : After treatment, dysesthesia, dysuria, dyschezia and gaiting developed good outcome. But anal reflex remained still. Conclusions : Acupuncture, bee-venom pharmacopuncture, herbal medicine combined treatment might be effective to patients with CES.

하악신경 손상 후 발생한 감각부전 환자들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atients with Dysesthesia after Mandibular Nerve Injury)

  • 최영찬;권정승;김성택;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379-385
    • /
    • 2009
  • 하악신경은 삼차신경의 한 분지로 발치, 임플란트 수술 등의 치과치료에 의하여 손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신경병증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신경 손상 후 발생한 감각부전 환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감각부전의 이해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의미를 파악해 보는 것이다. 2007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하악신경 손상에 의한 감각부전으로 진단받은 환자 59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장 빈번한 손상 원인은 임플란트 수술에 의한 손상(59%)이었고, 가장 빈번한 손상 분지는 하치조신경(81%)이었다. 2. 신경 손상이 발생한 후 경과한 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 6개월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통증 강도(Visual Analogue Scale; VAS)가 4.82에서 6.91로 유의하게 증가해 있었다. 3. 약물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작한 시기에 따른 감각부전의 회복 정도는 조기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 증상의 회복을 보인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4.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하치조신경관의 침범 수준에 따라 통증 강도나 감각부전의 회복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하악신경의 감각부전 환자들에서 치과 임플란트로 인한 하치조신경 손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치조신경에 대한 침범 수준이 감각부전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겠지만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통증 강도나 치료에 대한 반응 등에는 신경의 손상 정도 이외에도 통증에 대한 환자의 반응, 심리상태, 치료의 시작 시기 등 많은 요인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조기에 약물치료 등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증상의 회복을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신경관을 직접 침범하지 않고, 신경관에 근접한 경우에도 감각부전이 나타난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임플란트 수술 시 감각 부전의 방지를 위하여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가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Nefopam Reduces Dysesthesia after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 Ok, Young Min;Cheon, Ji Hyun;Choi, Eun Ji;Chang, Eun Jung;Lee, Ho Myung;Kim, Kyung Hoo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9권1호
    • /
    • pp.40-47
    • /
    • 2016
  • Background: Neuropathic pain, including paresthesia/dysesthesia in the lower extremities, always develops and remains for at least one month, to variable degrees, after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PELD). The recently discovered dual analgesic mechanisms of action, similar to those of antidepressants and anticonvulsants, enable nefopam (NFP) to treat neuropathic pai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NFP might reduce the neuropathic pain component of postoperative pain. Methods: Eighty patients, who underwent PELD due to herniated nucleus pulposus (HNP) at L4-L5,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one receiving NFP (with a mixture of morphine and ketorolac) and the other normal saline (NS) with the same mixture. The number of bolus infusions and the infused volume for 3 days were compared in both groups. The adverse reactions (ADRs) in both groups were recorded and compared. The neuropathic pain symptom inventory (NPSI) score was compared in both groups on postoperative days 1, 3, 7, 30, 60, and 90. Results: The mean attempted number of bolus infusions, and effective infused bolus volume for 3 days was lower in the NFP group for 3 days. The most commonly reported ADRs were nausea, dizziness, and somnolence, in order of frequency in the NFP group. The median NPSI score, and all 5 median sub-scores in the NFP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S group until postoperative day 30. Conclusions: NFP significantly reduced the neuropathic pain component, including paresthesia/dysesthesia until 1 month after PELD. The common ADRs were nausea, dizziness, somnolence, and ataxia.

Microdecompression for Extraforaminal L5-S1 Disc Herniation; The Significance of Concomitant Foraminal Disc Herniation for Postoperative Leg Pain

  • Lee, Dong-Yeob;Lee, Sang-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4권1호
    • /
    • pp.19-25
    • /
    • 2008
  • Objective :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concomitant foraminallumbar disc herniation (FLDH) with postoperative leg pain after microdecompression for extraforaminallumbar disc herniation (EFLDH) at the L5-S1 level. Methods : Sixty-five patients who underwent microdecompression for symptomatic EFLDH at the L5-S1 level were enroll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ccompanying FLDH, EFLDH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Class I : no FLDH; Class II : mild to moderate FLDH confined within a lateral foraminal zone; Class III : severe FLDH extending to a medial foraminal zone; Class IV : Class III with intracanalicular disc herniation).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leg pain, dysesthesia, analgesic medication, epidural block, and requirement for revision surgery due to leg pain were evaluated and compared at three months after initial surgery. Results : The incidences of postoperative leg pain and dysesthesia were 36.9% and 26.1%, respectively. Pain medication and epidural block was performed on 40% and 41.5%, respectively, Revision surgery was recommended in six patients (9.2%) due to persistent leg pain, The incidences of leg pain, dysesthesia, and requirement for epidural block were higher in Class III/IV, compared with Class I/II. The incidence of requirement for analgesic medi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lass III/IV, compared with Class I/II (p=0,02, odds ratio=9,82). All patients who required revision surgery due to persistent leg pain were included in Class III/IV. Conclusion : Concomitant FLDH seems related to postoperative residual leg pain after microdecompression for EFLDH at the L5-S1 level.

한의학 정신요법을 이용한 소아 전환장애 환자 1례 -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 지지적 정신치료와 행동치료 - (A Case Report about Treatment of Childhood Conversion Disorder with Psychotherapy of Oriental Medicine -The Giungoroen(至言高論), Supportive Psychotherapy and Behavioral Therapy-)

  • 서현욱;서진우;황은영;김종우;정선용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85-196
    • /
    • 2009
  • 통제적이고 강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로 유발된 내면의 불안 및 갈등이 '항문의 이상 감각'이라는 신체화 증상으로 상징화되어 표출된, 전환장애로 의심되는 7세 여환아(女患兒)에게 한약(韓藥)치료와 더불어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을 적용하여 약 2개월간 치료하였다.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은 한의학 정신요법 중 하나로 현재 임상에서 행해지고 있는 지지적 정신치료 및 행동치료와 유사하다. 의료진은 이를 본 증례의 환아(患兒)에게 2개월간 적용하여 증상이 80%이상 소실되는 긍정적인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동의 심리 발달과정에서 부모의 양육태도 등과 같은 중요한 심리 환경적 요인들이 부적절하여 아동의 내면에 갈등이 생기면 심인성의 신체증상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는 전환장애의 심리기제와 매우 흡사하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동의 심인성 신체 증상을 치료하는 장면에서, 우선 성장 환경의 문제점 혹은 환아(患兒)의 성격 기질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라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등과 같은 한의학 정신요법을 이용해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한다면 이른 시간 안에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이다. 본 증례는 그 좋은 예라 사료된다.

  • PDF

한의학적 정신치료와 M&L 심리치료를 통한 전환장애 환자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Conversion Disorder Treated with Psychotherapy of Korean Medicine and M&L Psychotherapy)

  • 이희정;민백기;진준수;서주희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7-206
    • /
    • 2018
  • Objectives: Conversion disorder is combination of clinical symptoms and can be promoted until diagnosis is confirmed. In this case, we used Korean medical psychotherapy, M&L therapy,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ing a conversion disorder patient. Method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conversion disorder, and main complaints were lower limb dysesthesia, and anxiety. We used BAI, BDI, HRV, CSEI-S, MMPI, Drawing room of mind for assessment. We treated the patient with Korean medical psychotherapy with M&L therapy,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cluding acupuncture, moxa and herbal medicine. Results: After treatment, clinical symptoms improved to 40% compared with first visit and the BAI, BDI, HRV, CSEI-S scores decreased, especially scores for anxiety and depression. Conclusions: Korean medical psychotherapy and M&L psychotherapy can be effective for treating conversion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