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Server Pag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3초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Web Caching Network through Consistent Hashing and Dynamic Load Balancing

  • Hwan Chang;Jong Ho Park;Ju Ho Park;Kil To Chong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1C호
    • /
    • pp.1040-1045
    • /
    • 2002
  • This paper focuses on a hash-based, distributed Wet caching network that eliminates inter-cache communication. An agent program on cache servers, a mapping program on the DNS server, and other components comprised in a distributed Web caching network were modified and developed to implement a so-called "consistent" hashing. Also, a dynamic load balancing algorithm is proposed to address the load-balancing problem that is a key performance issue on distributed architectures. This algorithm effectively balances the load among cache servers by distributing the calculated amount of mapping items that have higher popularity than others. Therefore, this developed network can resolve the imbalanced load that is caused by a variable page popularity, a non-uniform distribution of a hash-based mapping, and a variation of cache servers.

비주얼 인터데브를 이용한 웹 데이터베이스 통합 개발 사례 (A case study on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web programming with database using visual interdev)

  • 우원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9-31
    • /
    • 2004
  • 본 연구는 웹서버와 비주얼 인터데브를 각각 서버, 클라이언트의 개념적 툴로 사용해서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상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과 이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베이스를 동적으로 통합하는 사례를 보임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다루는 파일과 웹 페이지를 다루는 파일을 각각 따로 개발하지 않고도 비주얼 인터데브를 이용하면 하나의 통합환경 안에서 쉽고도 강력한 동적 웹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할 수 있다는 사례를 보이고 향후 보다 적은 코딩 작업으로 보다 더 쉽게 웹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법과 원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 PDF

Automatic Extraction of Dependencies between Web Components and Database Resources in Java Web Applications

  • Oh, Jaewon;Ahn, Woo Hyun;Kim, Taeg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7권2호
    • /
    • pp.149-160
    • /
    • 2019
  • Web applications typically interact with databases. Therefore, it is very crucial to understand which web components access which database resources when maintaining web apps. Existing research identifies interactions between Java web components, such as JavaServer Pages and servlets but does not extract dependencies between the web components and database resources, such as tables and attributes. This paper proposes a dynamic analysis of Java web apps, which extracts such dependencies from a Java web app and represents them as a graph. The key responsibility of our analysis method is to identify when web components access database resources. To fulfill this responsibility, our method dynamically observes the database-related objects provided in the Java standard library using the proxy pattern, which can be applied to control access to a desired object. This study also experiments with open source web app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빈발 순회패턴 탐사에 기반한 확장된 동적 웹페이지 추천 알고리즘 (An Extended Dynamic Web Page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Mining Frequent Traversal Patterns)

  • 이근수;이창훈;윤선희;이상문;서정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163-1176
    • /
    • 2005
  • 웹은 가장 커다란 분산 정보저장소로서 빠른 속도로 성장했으나, 웹의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데는 본질적으로 한계가 있다. 웹의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순회패턴(traversal Patterns)을 탐사하는 것은 시스템 설계나 정보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션에 나타나는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활용하여 빈발 k-페이지집합을 탐사하여 추천 페이지집합을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웹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Web Page Recommend(WebPR) 알고리즘[11]을 화장한다. 화장된 내용은 WebPRl(A) 알고리즘을 추가하였으며, WebPR(T)에서 윈도우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winWebPR(T)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두개의 화장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두개의 실제 웹로그(Weblog) 데이터에 대해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윈도우 개념을 도입한 winWebPR(T) 알고리즘이 세션에 나타나는 페이지들간의 모든 연관성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웹 서버 클러스터에서 Cyber Foraging 응용을 위한 비주기적 부하 갱신을 통한 부하 분산 기법 (Request Distribution for Fairness with a Non-Periodic Load-Update Mechanism for Cyber Foraging Dynamic Applications in Web Server Cluster)

  • ;;최원일;강정훈;옥민환;박명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1호
    • /
    • pp.63-72
    • /
    • 2007
  • 본 논문에서 웹 서버 클러스터 환경에서 웹 요청들의 분산을 위한 부하 분산 기법을 제안한다. 전통적인 주기적 부하 정보 갱신 기반의 부하 분산 기법에서는 동기화된 부하 정보와 동적 페이지에 포함된 스크립트들의 갱신 정보 때문에 Cyber Foraging 서비스 같은 동적 웹 응용프로그램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pdate-on-Finish 부하 분산 알고리즘은 비주기적인 부하 갱신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웹 스위치는 비주기적인 부하 리포팅 후, 서버들의 실제 부하 정보를 알 수 있다. 그런후 실제 정보에 따라 부하 분산 스케줄을 재배열한다. 하지만 Update-on-Finish 알고리즘의 경우 부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통신 부하가 크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각 서버가 K%의 작업을 마친 후 비주기적 부하 정보 보고를 통하여 부하 감소시킨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서버의 처리능력이 다른 환경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threshold Ti값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처리 능력을 가진 서버들을 위한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으로 확장하여 제안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제안된 K-Percent-Finish Reporting 방법은 Update-on-Finish 방법보다 최소 50% 이상의 통신 부하를 감소시키면서, 기존 주기적 부하정보 갱신 기반의 관련 연구들보다 향상된 시스템 처리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WebPR :빈발 순회패턴 탐사에 기반한 동적 웹페이지 추천 알고리즘 (WebPR : A Dynamic Web Page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Mining Frequent Traversal Patterns)

  • 윤선희;김삼근;이창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2호
    • /
    • pp.187-198
    • /
    • 2004
  • 월드 와이드 웹(World-Wide Web)은 가장 커다란 분산된 정보저장소로서 계속하여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다. 그러나 비록 웹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할지라도, 웹의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데는 본질적으로 한계가 있다. 웹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웹의 정보 폭발, 꾸준하게 변화하는 환경, 사용자 요구에 대한 이해 부족 둥으로 오히려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웹의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순회패턴(traversal patterns)을 탐사하는 것은 시스템 설계나 정보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순회패턴 탐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세션(sessions)에 나타나는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세션에 나타나는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활용하여 빈발 k-페이지집합을 탐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추천 페이지집합을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웹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Web Page Recommend(WebPR)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제안한 WebPR 알고리즘은 웹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추천 페이지집합을 포함하는 새로운 페이지뷰(pageview)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찾고자하는 목표 페이지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존 연구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들을 일관성 있게 고려하고 있다는 점과 가장 효율적인 트리모델을 제안한다는 점이다. 두개의 실제 웹로그(Weblog) 데이터에 대한 실험은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MPEG-2 AAC 포맷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MPEG-2 AAC Format-based Audio Streaming System)

  • 이승재;이승룡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2C호
    • /
    • pp.1251-1264
    • /
    • 2002
  • 현재 주문형 오디오 서비스나 생방송 서비스를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제품은 제한된 숫자의 클라이언트만을 지원한다는 제약점과, 네트워크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서비스 안정성의 미비와 질적 저하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동적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사용에 불편을 겪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MPEG-2 AAC 오디오 파일 포맷을 사용하고, 스트리밍 서비스의 안정성과 질적 향상을 위하여 QoS를 지원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전송과 제어에 대한 설계와 구현에 대해 소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서버와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가 고정적인 웹 페이지 하나 만에 의존하고 있어서 정보의 제공에 있어 정적일 수밖에 없는 현재의 정적인 스트리밍 서비스들과는 달리 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와 서버관리에 편의성을 지원하는 새로운 정보관리 기법을 채택하고 있다. 구현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MP3 파일 포맷을 사용한 스트리밍 시스템 보다 성능이 개선되었고, 서비스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서버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보여주고 있다.

Open Source GIS를 이용한 고해상도 영상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le Map Service of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 Using Open Source GIS)

  • 정명훈;서용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7-174
    • /
    • 2009
  • Tile Map Service는 정적인 이미지들을 모아둔 저장소를 이용하여 매우 빠르게 지도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이다. 지도 이미지 저장소는 특정 축척별로 지도 영역을 Tile 이미지로 저장한 디렉토리 구조이다. 따라서 디렉토리 구조로부터 이미지를 불러오는 것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지도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직접 생성하는 것보다 훨씬 시간 단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Tile Map Service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복잡한 지도를 생성할 때 획기적으로 지도 생성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와 성능 향상을 위한 제반 노력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논문은 Open Source GIS를 사용하여 고해상도 영상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Open Source GIS중 GDAL(Geospatial Data Abstraction Library)을 사용하여 Tile Map Image를 생성하였으며, OpenLayers를 이용하여 웹브라우저를 통한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Tile Map Service 시스템을 구축 한 후 전통적인 방식으로 지도 렌더링을 수행하는 시스템과 성능테스트를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행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으로 고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상용소프트웨어의 도입 없이 고가용성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 PDF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논문의 서지정보 및 인용정보를 활용한 연구 동향 분석: 사회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Research Trend Analysis Us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Citations of Cloud Computing Articles: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 김동성;김종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1호
    • /
    • pp.195-211
    • /
    • 2014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IT 자원을 사용자 요구에 따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며, IT 자원을 소유하는 기존의 개념에서 빌려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새로운 IT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은 과거의 네트워크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서버 기반 컴퓨팅, 그리드 컴퓨팅 등에 대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진화해온 IT 서비스로서, 추후 여러분야에 접목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4년부터 2012년까지 주요 해외 저널에 게재된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연구 논문들의 서지정보 및 인용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사회 네트워크 분석 척도를 활용하여 연구 논문간의 인용 관계와 동일 논문에 출현하는 키워드간의 관계로부터 연구 주제들 간 네트워크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분야의 연구 주제들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고, 추후 잠재성이 높은 신규 연구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연구 동향 맵(research trend map)을 작성하여,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연구 주제들의 동태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동향 맵을 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주요 연구들의 추이를 쉽게 파악 할 수 있으며, 진화 형태 또는 유망 분야를 설명할 수 있다. 논문 인용 관계 분석 결과,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과 분산 처리,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광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논문들이 페이지랭크 척도를 기준으로 상위에 나타났다. 연구 논문의 핵심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결과는 2009년에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그리드 컴퓨팅이 높은 중심성 수치를 보였으며, 2010~2011년에는 데이터 아웃소싱, 에러검출 방법, 인프라구축 등 주요 클라우드 요소 기술에 관한 키워드가 높은 중심성 수치를 나타내었다. 2012년에는 보안, 가상화, 자원 관리 등이 높은 중심성 수치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들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연구 동향 맵 작성 결과, 보안은 유망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상화는 유망영역에서 성장 영역으로 이동하였고, 그리드 컴퓨팅과 분산 시스템은 쇠퇴 영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