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e penetration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초

접착제의 접착변수가 레진계 근관충전제의 근단밀폐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tal-etch, wet-bonding, and light-curing of adhesive on the apical seal of a resin-based root canal filling system)

  • 류원일;손원준;백승호;이인한;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5호
    • /
    • pp.385-396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근벽의 전처리 개념과 접착제의 중합방법이 레진계 근관충전제의 치근단 밀폐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가지 다른 접착변수를 조합하여 충전한 Resilon-RealSeal 시스템의 근단미세누출을 색소침투법을 이용하여 통상의 가타퍼쳐 충전과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자가부식형 RealSeal primer와 이중중합형 RealSeal sealer를 이용하여 Resilon 충전한 SEDC군, 산부식없이 Scotchbond Multi-Purpose primer를 적용한 후 접착제는 광중합하고 Resilon을 충전한 NELC군, 및 Scotchbond Multi-Purpose의 접착강화제와 접착제를 total etch/wet bonding과 광중합의 술식을 정확하게 지켜서 Resilon을 충전한 TELC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GPCS)에서는 통상의 AH26 plus sealer를 사용하여 가타퍼쳐를 충전 하였다. 결과: 치아장축방향의 색소침투는 TELC군에서 GPCS군과 SEDC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Kruskal-Wallis test, p < 0.05). 횡단면의 미세누출 점수도 TELC군이 근첨으로부터 2 - 5 mm의 범위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Kruskal-Wallis test, p < 0.05). 결론: 레진계 근관충전제를 사용 시에는, 자가부식형 전처리제와 이중중합형 sealer보다는, total etch/wet bonding 개념과 적절한 광중합을 도모하는 전처리제 및 접착제의 사용이 치근단 미세누출을 감소시키므로 추천된다.

동적하중 하에서 근관치료용 임시충전재의 미세누출의 평가 (Microleakage of Endodontic Temporary Restorative Materials under Dynamic Loading)

  • 정동호;노영신;이해두;장훈상;류현욱;민경산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198-20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적하중 하에서 네 종류의 근관치료용 임시충전재의 밀폐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44개의 건전한 인간 대구치에 표준화된 근관와동을 형성한 후 Caviton, MD-Temp, IRM 및 ZOE를 이용하여 충전하였다. 이 후, 1% 메틸렌블루 용액에 담근 상태에서 반복하중기를 이용하여 1 Hz의 속도로 98 N의 하중을 기능교두에 1,000번 가한 다음 시편을 양분해 미세누출을 평가하고 one-way ANOVA (p = 0.05)와 사후 검정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s로 통계분석 하였다. Caviton 군과 MD-Temp군이 IRM군과 ZOE군보다 통계적으로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p < 0.05), 본 실험결과로 볼 때 Caviton과 MD-Temp가 IRM과 ZOE보다 동적하중 하에서 근관와동 밀폐효과가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 PDF

근관충전의 폐쇄효과 평가에서 색소침투의 정성적 및 정량적 측정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BETWEEN LINEAR AND VOLUMETRIC MEASUREMENTS OF DYE PENETRATION IN THE SEALING EFFECT OF CANAL OBTURATION)

  • 백승래;조규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7권2호
    • /
    • pp.343-354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가지 근관충전법으로 충전된 근관의 폐쇄효과를 정선적 및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각 충전법간의 폐쇄효과를 비교하므로써 정선적 측정법 및 정량적 측정법간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108개의 발거된 상악중절치 및 측절치와 상하악 견치에서 치관을 절제하고 통법대로 근관형성한 다음 4개군으로 나누어 제 I 군은 sealer를 사용하고 측방 가압근관충전법으로, 제 II 군은 sealer를 사용하고 저온연화 gutta-percha주입근관충전법으로, 제 III 군은 sealer를 사용하고 Thermafil근관충전법으로 그리고 제 IV 군은 sealer를 사용하지 않고 고온용융 gutta-percha주입근관충전법으로 충전하고 전 시편을 2 % methylene blue 용액 속에 근단부를 1mm담근 채 $37^{\circ}C$ 항온기에서 10일간 경과시켜 근단공을 통한 색소침투를 정선적 및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정선적 측정에서는 II 군은 III군, I군 및 IV군보다, III군은 IV군보다 유의상 있게 색소침투가 적게 나타났으나 (P<0.05), 그 이외의 군들 상호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량적 측정에서는 II 군이 가장 적게 나타나 I 군 및 IV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5), III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정선적 측정과 정량적 측정과의 사이에는 미약하지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3391, P<0.001).

  • PDF

동적하중 하에서 근관치료용 임시충전재의 미세누출의 평가 (Microleakage of Endodontic Temporary Restorative Materials under Dynamic Loading)

  • 정동호;노영신;이해두;장훈상;류현욱;민경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198-20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적하중 하에서 네 종류의 근관치료용 임시충전재의 밀폐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44개의 건전한 인간 대구치에 표준화된 근관와동을 형성한 후 Caviton, MD-Temp, IRM 및 ZOE를 이용하여 충전하였다. 이 후, 1% 메틸렌블루 용액에 담근 상태에서 반복하중기를 이용하여 1 Hz의 속도로 98 N의 하중을 기능교두에 1,000번 가한 다음 시편을 양분해 미세누출을 평가하고 one-way ANOVA (p = 0.05)와 사후 검정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s로 통계분석 하였다. Caviton 군과 MD-Temp군이 IRM군과 ZOE군보다 통계적으로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p < 0.05), 본 실험결과로 볼 때 Caviton과 MD-Temp가 IRM과 ZOE보다 동적하중 하에서 근관와동 밀폐효과가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근관 충전용 MTA의 밀폐 효과와 작업 시간 평가 (Evaluation of Sealing Effect and Working Time of Root Canal Filling MTA Materials)

  • 김효진;김영진;남순현;권태엽;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9-13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관 충전재로서 MTA(Endoseal, Endoseal MTA)의 밀폐 효과와 효율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 106개의 발거된 단근치가 사용되었으며, 충전된 실러에 따라 AH군(AH-26), PR군(ProRoot MTA), ES군(Endoseal), EM군(Endoseal MTA)으로 나누어졌고, 모든 충전시 소요 시간이 측정되었다. 그 군들은 다시 A 하위군, B 하위군으로 나누어 근관벽과의 밀폐성과 상아세관내 실러의 침투도를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는 근관 충전용 MTA는 AH-26에 비해 근관벽과의 밀폐성과 상아세관 침투도는 떨어졌으며, ProRoot MTA와 비교시 근관벽과의 밀폐성은 차이가 없었지만, 상아세관 침투도는 높았다. 작업 시간은 근관 충전용 MTA가 ProRoot MTA와 AH-26에 비해 짧았다. 결론적으로 근관 충전용 MTA는 레진계 실러보다 근관 밀폐 효과는 떨어지지만 MTA가 필요한 근관 충전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법랑질 수분 처리에 따른 친수성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과 열구 침투도 평가 (In Vitro Evaluation of Microleakage and Penetration of Hydrophilic Sealants Applied on Dry and Moist Enamel)

  • 구재원;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72-27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2종의 친수성 치면열구전색제를 건조한 법랑질과 습한 법랑질에 적용하였을 때의 미세누출과 열구 침투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기존의 소수성 전색제인 $Clinpro^{TM}$와 비교하였다. 건전하고 우식이 없는 제3대구치 60개를 법랑질 수분 처리 방법과 전색제 종류에 따라 12개씩 다섯 군으로 나누었다. 전색제 적용 후 치아들을 열순환 시킨 뒤 1% 메틸렌블루 용액에 담갔다. 그리고 치아들을 두 번씩 절단한 뒤 절단면들을 광학 현미경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관찰하였다. Embrace $Wetbond^{TM}$는 건조한 표면과 습한 표면 모두에서 $Clinpro^{TM}$보다 많은 미세누출을 나타냈다. Ultraseal $XT^{(R)}$ $hydro^{TM}$는 건조한 표면에서는 $Clinpro^{TM}$와 유사한 미세누출을 보였으나, 습한 표면에서는 많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열구 침투도는 모든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친수성 전색제들을 습한 법랑질에 적용했을 때 변연 봉쇄성이 향상되지 않았으며, 건조한 표면에 적용한 $Clinpro^{TM}$보다 낮은 변연 봉쇄성이 관찰되었다.

아까시나무와 산돌배나무의 목부(木部)에 있어서 수분이동경로(水分移動經路)에 따른 색소침투(色素浸透) (The Dye Penetration into the Xylem of Robinia pseudoacacia and Pyrus ussuriensis through Water Flow Path)

  • 전수경;한상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357-362
    • /
    • 1992
  • 아까시나무와 산돌배나무의 수분이동(水分移動) 경로(經路)를 이해하고, 수분이동(水分移動) 경로(經路)를 이용한 무늬목을 생산하기 위하여, 염료침투경로(染料浸透經路)를 0.5% acidic fuchasin 용액과 0.5% fast green 용액을 수목(樹木)에 주입시켰다. 환공재(環孔材)이면서 타이로시스를 갖고있는 아까시나무와 산공재(散孔材)이면서 목섬유(木纖維)에 많은 벽공(壁孔)이 존재하는 산돌배나무의 목부구조(木部構造)와 수분이동(水分移動) 경로(經路)를 비교했다. 그 결과 아까시나무의 수분통도(水分通導)는 당해년도(當該年度)와 전년도(前年度)에 형성된 조재부(早材部)의 대도관(大導管)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그리고 타이로시스가 도관(導管) 내강(內腔)을 폐쇄(閉鎖)하고 있는 심재(心材)와 이행재(移行材)에는 염료침투(染料浸透)가 되지 않았다. 산돌배나무는 수(髓)를 제외하고 전부위에 염색되었으며, 특히 도관(導管)이외에 목섬유(木纖維)의 벽(壁)에 염료(染料)의 침착이 이루어졌다.

  • PDF

포스트코어의 종류와 접착방법이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YPE AND CEMENTATION METHOD OF POST-CORE ON MICROLEAKAGE)

  • 윤명재;이선형;양재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5-233
    • /
    • 1994
  • The restorations of the severely damaged teeth by post core have been increased with the developement of endodontic procedures. But high failure rates of these procedures being reported, various restorative modifications were induced for successful treatments. Cast post-core and prefabricated post with core buildups are choice of treatment. The main causes of failure of the restorations are the fracture of post and core, root fracture, and recurrent caries due to microleakage. Recently, the acid etching technique and the use of dentin bonding agent at tooth surface to reduce the possible microleakage at the tooth-restoration interfaces were introduced.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microleakage by the types and cementation methods of post-core. For this study, forty extracted human anterior teeth were selected for specimen. After cleansing and routine endodontic procedures, anatomic crowns of each specimen were removed at the level of 2mm above the cementoenamel junction. Canals were preparated for post insertion and specimen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andomly. Post-cores were fabricated according to method for each group. Microleakage was measured by length of dye penetration at the tooth-restoration interfaces with measuring microscope at 50 magnification. Oneway ANOVA and t-test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resulting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There wert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degree of microleakage between each group (p<0.01). 2. Cast post-core cemented with ZPC (Group I) showed the most severe microleakage pattern$(1.5547{\pm}0.0872mm)$, and cast post-core cemented with adhesive resin cement after tooth surface treatment with dentin bonding agent (Group II) showed the least microleakage $(0.1497{\pm}0.0872mm)$. 3. Group IV revealed less dye penetrations than group III,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en between two groups.

  • PDF

Polystyrene 이장재가 아말감 변연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OLYSTYRENE LINER ON MICROLEAKAGE OF AMALGAM RESTORATION)

  • 이경선;노병덕;윤태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2호
    • /
    • pp.586-596
    • /
    • 1998
  • Amalgam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dental restoration material because of its convenience, economic and physical properties. But microleakage in the tooth and amalgam interface has been its major problem, and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this shortcom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various liners on microleakage of amalgam restoration.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buccal or lingual surface of ninety sound, extracted human premolars and six different liners (Tubulitec$^{(R)}$, Superbond D-liner II Plus$^{(R)}$, Superbond D-liner II Plus$^{(R)}$ with polymer, Scotchbond Multipurpose Plus$^{(R)}$, Copalite$^{(R)}$, No liner) were unapplied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s and amalgam had been condensed immediately. The specimens were thermocycled by dipping in methylene blue dye at $5^{\circ}C$ and $55^{\circ}C$ for 1500 cycles. The amalgam-tooth interface was examined under stereobinocular microscope and the dye penetration was sco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ubulitec$^{(R)}$ group showed less microleakage than no liner or Copalite$^{(R)}$ group (p<0.01). 2. The Tubulitec$^{(R)}$, Superbond D-liner II Plus$^{(R)}$, Superbond D-liner II Plus$^{(R)}$ with polymer and Scotch bond Multipurpose Plus$^{(R)}$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3. The Copalite$^{(R)}$ and Scotchbond Multipurpose Plus$^{(R)}$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sing the polystyrene liner and resin liners under admixed type of high-copper amalgam restoration significantly reduced microleakage in the tooth-amalgam interface. Further clinical studies on polystyrene liner are recommended.

  • PDF

5급 와동에서 수종의 상아질 접착제에 따른 미세누출의 비교 (THE COMPARISON OF MICROLEAKAGE OF CLASS V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WITH VARIOUS DENTIN BONDING SYSTEMS)

  • 임연희;이희주;허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2호
    • /
    • pp.153-16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icroleakage of six current dentin bonding systems. In this in vitro study,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thirty extracted human molars. Each margin was on enamel and dentin/cementum. Experimental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of 5 each. Group 1 :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2 : Single Bond; Group 3 : Prime&Bond NT ; Group 4 : Clearfil Liner Bond 2 ; Group 5 : MAC Bond II ; Group 6 : One-up Bond F. The bonding agent and composite resin were applied to class V cavities according to manufacturer's directions. After thermocycling,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0.5% basic fuchsin dye solution for 6 hours and sectioned longitudin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The degree of microleakage was measured as the extent of dye penetration under the stereomicroscope at $\times$2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OVA. When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multiple comparisons were made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all groups, leakage value seen at the enamel margi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seen at the dentin margin(P<0.001). 2. At the enamel margin, none of the dentin bonding systems used in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kage values(P<0.05). 3. At the cementum margin, group 3 showed the highest leakage value, and others were decreased as group 5, 6, 4 in that order, and group 1, 2 showed the lowest leakage valu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3 and the other groups except for group 5(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