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rability Evaluation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28초

혼합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구특성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Blended Cement Mortars)

  • 원종필;이찬민;박찬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1-49
    • /
    • 2003
  • In this study, durability performance of blended cement mortars is evaluated when various mineral admixtures are used with the cement.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mineral admixtures on the mortar performance was made. The properties of fresh and hardened blended mortars investigated include slump flow and compressive strength. The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cement materials incorporating the mineral admixtures under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causes of deterioration was investigated. The laboratory test results indicate that mechanical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blended cement mortars have superior performance rather than ordinary cement mortars.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내구성 평가 (Durability Evaluation of Platform Safety Step System)

  • 박민흥;곽희만;김민호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5-13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urability of platform safety step system in railway. Method: We performed finite element analysis & durability analysis of platform safety step system with VPD (Virtual Product Development) techniques and examined the durability standard & qualification life through the rig test during no failure test time in reliability qualification test. We continued to test 1 million cycles in KRS (Korea Railway Standard) for system's robust design performance. Result: FEM analysis results are 14.9MPa & 14.7MPa of pin-joint, pivot and durability analysis result is above 1 million cycles. we calculated theoretically no failure test time 855,000 cycles and through the 1 million cycles durability rig test in KRS standard we confirmed product quality. Conclusion: This platform safety step system was designed very safe in terms of a mechanical strength & durability.

정치용 PEMFC MEA의 OCV 유지 방법에 의한 내구 평가 (Durability Evaluation of Stationary PEMFC MEA by OCV Holding Method)

  • 오소형;이미화;윤재원;이학주;김욱원;나일채;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44-350
    • /
    • 2019
  • 연구개발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막과 전극합체(MEA)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내구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정치용 PEMFC MEA의 내구평가는 정전류 조건에서 전압변화 속도를 1000시간이상 장시간 측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구평가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차량용 MEA에 적용하고 있는 고분자막의 전기화학적 내구 평가 프로토콜(OCV 유지법)을 정치용 MEA 내구 평가에 적용하였다. OCV, cathode 산소, $90^{\circ}C$, 상대습도 30% 조건에서 정치용과 차량용 MEA를 각각 168시간 구동 후에 I-V, LSV, CV, 임피던스, FER 등을 측정해서 비교하였다. 열화 후 전해질 막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수소투과도, OCV 변화, 이온전도도, 불소유출량 등을 모두 검토했을 때 정치용이 차량용보다 내구성이 더 좋음을 보였다. 그리고 전극열화도 정치용 MEA가 작아서 정치용 MEA가 고분자막과 전극 모두 차량용보다 내구성이 우수함을 차량용 프로토콜에 의해 짧은 시간에 평가할 수 있었다.

가상시험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너클의 내구수명 평가 (Dur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Aluminum Knuckle using Virtual Testing Method)

  • 고한영;최규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44-50
    • /
    • 2010
  • Dur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technology using Virtual Testing Method is a new concept of a vehicle design, which can reduce the automotive components design period and cost. In this paper, the fatigue life of an aluminum knuckle of a passenger car is evaluated using virtual testing method. The flexible multibody dynamic model of a front half car module is generated and solved with service loads which are measured from Belgian roads. Using a multibody dynamic analysis software, the flexible multibody dynamic simulation of a half car model is carried out and the dynamic stress profile of an aluminum knuckle is acquired. The stress profile is exported to a fatigue analysis software and durability performance of an aluminum knuckle is evaluated.

플라이애시 혼입 콘크리트의 내구성 평가 (Durability Evaluation of concrete using fly ash)

  • 조명석;송영철;류금성;고경택;김성욱;이장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5-760
    • /
    • 2002
  • The concrete structures in marine environment has been used type V cement(sulfate-resisting Portland cement), but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reported recently, the question has been raised for effect of the resistance to salt attack of the concrete using type V cement. It is increased the demands on the use of mineral admixtures such as fly ash,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instead of type V c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durability evaluation of concrete containing fly ash under marine environment, and the tests such as salt attack, carbonation, sulfate attack, and freezing-thawing were performe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resistance to salt attack, sulfate attack and freezing-thawing was improved, and the carbonation was in some disadvantage compared with normal concrete. Nevertheless, the durability of fly ash concrete would be maintained during the service life of structures.

  • PDF

가상시험기법을 이용한 승용차 전륜 알루미늄 서브프레임 내구설계 (Durability Design of a Passenger Car Front Aluminum Sub-frame using Virtual Testing Method)

  • 남진숙;신행우;최규재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8-375
    • /
    • 2012
  • Dur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automotive components is very important and time consuming task. In this paper, to reduce vehicle component development time and cost virtual testing simulation technology is used to evaluate durability performance of a passenger car front aluminum sub-frame. Multibody dynamics based vehicle model and virtual test simulation model of a half car road simulator are validated by comparisons between rig test results and simulation results. Durability life prediction of the sub-frame is carried out using the model with road load data of proving ground which can evaluate accelerated durability life. We found that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sub-frame is sufficient and it can be predicted within short time compared to rig test time.

구조물 내진 보강용 폴리우레아의 내구 성능 평가 (Dur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PolyUrea for Seismic Retrofitting of RC Structures)

  • 조철민;김장호;이두성;김태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8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지진발생이 빈번하고 많은 인명피해와 사회기반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지진에 대한 보수, 보강기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대부분은 강성보강형태로 반복적인 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하면 2차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성보강이 아닌 연성보강형태의 보수, 보강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부재에 적용할 수 있는 보강 공법으로써 폴리머계의 고인성과 고연성 효과를 나타내는 경질형 폴리우레아를 내진보강용 재료로 선택하였고 재료의 열화 및 내화학적 특성에 대한 내구 성능을 평가하였다. 내구 성능 평가는 폴리우레아의 산 환경 및 자외선 노출 시험을 실시하였고, 폴리우레아를 도포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노출 및 동결융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진보강용 폴리우레아는 모든 시험을 통하여 내구성능과 저항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내진 보강 재료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배터리 교환형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접속기 내구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urability Evaluation for Couplers in Battery Changeable Electric Vehicle)

  • 김광민;윤준보;강병국;이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69-74
    • /
    • 2014
  • Recently, many countries are researching and developing the various Electric Vehicle(EV) for reserving their natural environments and so on. But the charging time that is longer than the time of filling up the traditional engine vehicle will be the obstacles of spreading them. So, the other type EV is developed. It is the Battery Changeable EV. But there is not testing method for it. Especially, the defining of the durability evaluation for the couplers between battery and charger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couplers are changed very frequently. So, they may cause many faults and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e definition of the durability procedure and the test is conducted with the equipment.

해안 환경 하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간의존적 염화물침투 평가 (Time Dependent Chloride Transport Evaluation of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

  • 송하원;백승우;안기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585-59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해안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평가에 대한 모델을 표면 염소이온농도 $(C_s)$의 시간에 대한 증가와 염소이온 확산계수 (D) 및 임계염소이온농토 $(C_{lim})$를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밀한 내구수명 예측을 위하여 $C_s$와 D의 시간의존성이 고려되었으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C_s$를 고려한 Fick의 제2법칙의 정밀해를 구하였다. $C_s$의 시간의존성에 대해서는, 기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에 대한 대수 함수 형태의 $C_s$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D의 시간의존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전체 노출 기간에 대한 시간의 평균값을 적용하였다. 또한 염해 환경 하에 있는 철도 구조물이 100년의 내구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모델과 시방서 기준에 근거하여 내구성 설계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능 중심의 설계 기법에 의해 검증되었으며, 이로부터 기존의 시방서 설계기준은 해안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 성능을 과소 평가하여 매우 보수적인 설계결과를 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_s$와 D의 시간의존성을 고려한 본 모델은 기존 시방기준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염해를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고분자연료전지의 화학적/기계적 내구성 평가 시간 단축 (Reducing the Test Time for Chemical/Mechanical Durability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 오소형;유동근;김명환;박지용;최영진;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517-522
    • /
    • 2023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PEMFC)에 공기와 수소를 공급하고 개회로전압 (OCV) 상태에서 가습/건조를 반복하는 고분자막의 화학적/기계적 내구성 평가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프로토콜에서 가습/건조가 반복되면 전압 상승/감소가 반복되어 전극 열화도 발생한다. 막 내구성이 우수한 경우 전압 변화 횟수가 증가해, 전극 열화에 의해 평가가 종료되어 원래 목적인 막 내구성 평가를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에너지부 (DOE)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되 cathode 가스로 공기대신 산소를 사용하고 가습/건조시간과 유량도 증가시켜 막의 화학적/기계적 열화 속도를 증가시켜서 고분자막 내구 평가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Nafion 211 막전극접합체(MEA) 내구성 평가를 공기 대신 산소를 사용해서 가속화도를 2.6배 증가시켜 2,300 사이클만에 평가 종료하였다. 본 프로토콜에 의해 고분자막도 가속 열화되고, 전극 촉매도 가속 열화되어 고분자막과 전극의 내구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이점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