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rability Evaluation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33초

후코이단과 탄닌산에 의한 PEMFC 고분자막의 내구성 향상 (Enhancement of Membrane Durability in PEMFC by Fucoidan and Tannic Acid)

  • 이미화;오소형;추천호;김영숙;나일채;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45-51
    • /
    • 2023
  • PEMFC(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고분자막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라디칼 제거제와 지지체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내구성과 물리적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해조류에서 추출한 후코이단과 가교제 역할을 하는 탄닌산을 첨가한 고분자막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물리적 내구성은 인장강도를 측정해 확인했고, 화학적 내구성은 Fenton 실험으로 측정하였다. 막과 전극합체(MEA)를 제조하여 셀에서 가속 내구 평가를 통해 기계적 내구성과 화학적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인장강도 측정으로 후코이단과 탄닌산의 변형율과 항복강도 등을 향상시켜 고분자막의 기계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후코이단이 라디칼 제거제 역할을 함을 Fenton 실험에서 확인했다. 단위전지에서 가속 내구 실험 결과 후코이단은 화학적 내구와 기계적 내구를 모두 향상시켜 무첨가막보다 가속 내구 평가 시간을 38.1% 증가시켰고, 탄닌산을 추가하면 기계적 내구성 향상에 의해 고분자막의 내구성이 13.9% 향상되었다.

재 제조 태양광모듈의 내구성능 평가 연구 (Durability Evaluation Study of Re-manufactured Photovoltaic Modules)

  • 김경수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17-23
    • /
    • 2024
  • Photovoltaic (PV) power generation is the world's best and largest renewable energy that generates electricity with infinite sunlight. Solar cell modules are a component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must have a long-term durability of at least 25 years. The development of processes and equipment that can be recovered through the recycling of metals and valuable metals when the solar module's lifespan is over has been completed to the level of commercialization, but few processes have been developed that require repair due to initial defects. This is mainly due to the economic problems caused by remaking. However, if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repairing solar cell modules that have been proven to be early defects are established and the technical review of long-term reliability and durability reaches a certain level,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a recommended process technology for environmental economics. In this paper, assuming that a defective solar cell module occurs artificially, a manufacturing process for replacement of solar cells was developed, and a technical verification of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conducted through long-term durability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KS C 8561. Through this, it was determined that remanufacturing technology for solar cell replacement of solar cell modules that occur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installation was possible,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nnounced through a journal to commercialize solar modules using manufacturing technology in the solar market in the future.

피로 및 내구성을 고려한 LNG 저장탱크의 수명평가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Life Evaluation Program for LNG Storage Tank considering Fatigue and Durability)

  • 김정훈;김영구;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45
    • /
    • 2017
  • LNG 산업의 핵심시설인 LNG 저장탱크는 주로 9% 니켈강형 내조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의 외조로 구성되어 있다. 1896년 상업운전 이후 내조의 피로와 외조의 내구성 저하로 인한 구조물 성능 열화의 위험성 증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수명평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LNG 저장탱크의 내조에 대해 피로평가와 외조의 내구성(탄산화, 염해)을 평가할 수 있는 수명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내조 탱크는 3가지의 주요 시나리오를 정의하여 구조해석과 마이너 손상법칙이 적용된 피로수명 해석이 수행된다. 외조 탱크의 탄산화 평가는 이산화탄소 함량과 침투 깊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피복두께에 따른 탄산화 진전을 예측한다. 외조 탱크의 염해 평가는 다양한 입력조건 고려와 신뢰도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공개 프로그램인 Life-365프로그램에 연계하는 방안으로 구축하였다.

철도차량용 공기스프링 신뢰성 평가기준 및 시험 (Reliability Evaluation of Air Spring for Railway Vehicle)

  • 우창수;김완두;김석원;김영구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7-603
    • /
    • 2003
  • Air spring system in railway vehicles primarily ensure the air suspension of the vehicle body. The low natural frequency ensures a comfortable ride and an invariably good stiffness.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test was conducted in laboratory by using servo-hydraulic fatigue testing system to reliability evaluation of air spring for electric railway vehicl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of domestic development productions are obtained the good results.

  • PDF

고속철도차량 관절대차 갱웨이 링의 내구성 평가 (Durability Evaluation of Gangway Ring for the Articulated Bogie of High speed Railway Vehicle)

  • 강길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6-72
    • /
    • 2019
  • 동력 집중식 고속 철도차량의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 향상 방안으로서 채택한 관절형 대차는 차체와 결합된 기존 독립대차와 달리 객차 사이를 갱웨이 링에 의하여 연결한다. 갱웨이 링은 열차 주행 동안 객차분리를 방지하면서 객차사이 승객 이동에 대한 절대적 안전을 확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량적인 내구성 시험기준 설정이 미비하다. 따라서 동력 집중식 고속 철도차량의 승차감과 승객 안전성을 향상을 위해서는 관절형 대차 갱웨이 링에 대한 내구성 평가의 시험기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 철도차량 관절형 대차의 갱웨이 링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열차 운행조건에 준한 전후, 좌우 및 수직의 3축 모드로부터 7가지 혼합모드 하중조건을 도출하였다. 이 하중조건하에 유한요소해석결과로부터 각 부품들의 안전율은 최소 2.4 이상이다. 또한 변형률-피로수명설계관점에서 내구성 해석을 통하여 피로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갱웨이 링에 대한 내구성 시험은 혼합모드 하중조건하에 총 4단계의 1,000만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내구성 시험 후에 침투 탐상 검사기법을 이용하여 각 부품의 결함유무를 검토하였다.

PEMFC 고분자막의 어닐링 온도가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nealing Temperature on the Durability of PEMFC Polymer Membrane)

  • 이미화;오소형;박유준;유동근;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7-11
    • /
    • 2022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PEMFC)의 제막 과정에서 성능 및 내구성을 위해 건조와 어닐링의 열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막 내구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어닐링 온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125~175 ℃ 온도 범위에서 어닐링하였고, 각 어닐링 온도에서 내구성의 기초 자료로 열 안정성 및 수소투과도를 측정하였다. 펜톤 반응과 OCV holding에 의해 전기화학적 내구성을 분석했다. 165 ℃ 어닐링 온도가 열 안정성과 수소투과도 면에서 최적의 온도였다. 펜톤 반응에서 165 ℃에서 어닐링한 막의 불소유출속도가 제일 낮고, OCV holding 실험에서도 165 ℃에서 어닐링한 막의 수명이 제일 길어, 165 ℃가 고분자막의 내구성을 위한 최적의 온도임을 확인했다.

TGO 성장을 고려한 열차폐코팅의 내구성평가 (Durability Evaluation of Thermal Barrier Coating (TBC) According to Growth of Thermally Grown Oxide (TGO))

  • 송현우;문병우;최재구;최원석;송동주;구재민;석창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2호
    • /
    • pp.1431-1434
    • /
    • 2014
  • 가스터빈에 적용되는 열차폐코팅은 가동 중 반복적인 열피로에 의하여 파손되므로, 열차폐코팅의 내구성평가가 필요하다. 고온 환경에 노출된 열차폐코팅의 내부에는 열생성산화물(TGO)이 성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생성산화물(TGO)의 성장은 열차폐코팅의 주요 파손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TGO의 성장을 고려한 열차폐코팅의 내구성평가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대진등의 연구 결과로부터 열화시간에 따른 TGO 성장을 고려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응력과 열화시간 사이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열화시간에 따른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김대진 등의 접착강도 시험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열차폐코팅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광촉매-분산 실리카 함침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정화성능 평가 (Evaluation of Durability and Self-clearing in Concrete Impregnated with Photocatalyst-colloidal Silica)

  • 김혁중;김영기;권성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47-54
    • /
    • 2018
  • 콘크리트는 장기간 사용환경에 노출되면서 다양한 표면열화과정을 거친다. 실리케이트 기반 함침제는 콘크리트 표면에 적용되어 불용성 수화물을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공학적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분산형 실리케이트를 사용하여 표면의 내구성능을 강화하고 이후 광촉매를 분무함으로서 표면 함침된 콘크리트의 자기정화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리케이트 함침 콘크리트에 대하여 압축강도 뿐 아니라, 흡수성, 건조 수축, 염소이온저항성, 황산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등과 같은 내구성 실험이 수행되었다. 또한 아세트 알데이드 및 메틸렌블루 반응 평가를 통하여 독성카스의 제거와 자기정화성능을 평가하였다. 실리케이트 함침 후 광촉매 도포를 함으로서 광촉매의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콘크리트의 내구성 개선과 광촉매 고유의 정화성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PEMFC Cathode 산소 조건에서 전극 촉매 내구성 평가 (Durability Evaluation of PEMFC Electrode Using Oxygen as Cathode Gas)

  • 오소형;임대현;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11-1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극촉매 내구성 평가를 potentiostat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로더(Electronic loader)를 사용해 전극을 가속 열화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athode에 질소를 유입하지 않고 산소를 유입해 자체 발생 전압을 활용해서 계단식 전압변화를 반복해 전극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정확한 전극 내구평가를 위해 즉 고분자 막이 열화되지 않게 하기 위해 계단식 전압변화에서 고전압은 0.9 V로 낮게하고, 상대습도를 100%하여 라디칼에 의한 고분자 막 열화를 억제하고자 하였다. 전압변화 30,000 cycle (50시간) 만에 전극활성면적이 41.4% 감소했다. 전극은 열화되지만 고분자 막이 열화되지 않음을 수소투과도 증가가 없고 막 두께감소 없으면서 HFR (High Frequency Resistance) 증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유압제어시스템 적용을 위한 ER 밸브의 내구성 평가 (Durability Evaluation of ER Fluids in Hydraulic Control Systems)

  • 김도태;장성철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00-105
    • /
    • 2007
  • Electro-rheological(ER) fluid and valve are fabricated and evaluated experimentally in its durability to utilize the hydraulic control systems for long term operation. The two-ports ER valve used in the experiment consist of twelve parallel multi-layer electrodes and provide a restriction to the passage of ER fluid because of the viscous pressure drop and a component induced by the electric field. The durability test of ER valve are performed by measuring the surface roughness of electrodes with variation of an electric field strength and test time(1000 or 1800min.). Also, the shear stress and shear rate are measured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ER fluid as function of time. After durability test, ER shear stress increases approximately proportional to the shear rate with applied electric field intensity, In the ER valve, the center line average height roughness(Ra) of copper electrode increases about 1.56 times and ten-point median height roughness(Rz) increases about 2.2 times after the durability test. An understanding of these durability is essential to predicting the service life of ER fluid and va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