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chesnea chrysanth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MAPKs의 활성화 기전을 나타내는 항염증 소재의 탐색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Herbs having the Activation of MAPK Family Proteins)

  • 이경호;이기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3-350
    • /
    • 2015
  • Lonicera japonica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LPS에 의해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O의 생성량과 TNF-${\alpha}$, IL-$1{\beta}$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였고, MAPK family인 ERK, p38 및 JNK의 인산화와 $I{\kappa}-B{\alpha}$의 분해를 억제하였다. LPS로 유도한 endotoxin shock 동물실험에서 Lonicera japonica 에탄올 추출물 20 mg/kg에서 LPS로 유도한 endotoxin shock에 대한 생존율을 3배 이상 증가시켰으며, 생존시간도 1.3~1.4배 증가시켰다.

NF-kappaB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하는 식물추출물 (Herbal Extracts as a NF-kappaB Inhibitor)

  • 박덕훈;이종성;정은선;현창구;이지영;허성란;고재숙;이희경;백지훈;유병삼;문지영;김주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5-140
    • /
    • 2006
  • Nucler factor-kappa B (NF-kappaB) 프로모터는 염증성 질환을 유도하는 호염증성 시토카인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사인자 중의 하나이다. 본 실험에서는 200 여종의 식물추출물들로부터 항염효능이 있는 추출물을 선발하기 위해 NF-kappaB 리포터 실험을 수행하였다. NF-kappaB 리포터 실험결과, 12종의 식물추출물, 즉 개나리, 고추잎, 박하, 뱀딸기, 뽕나무, 삼백초, 솔잎, 양애줄기, 약쑥, 어성초, 왕벚꽃가지, 조릿대 등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된 NF-kappaB 프로모터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12종의 식물추출물이 호염증성 시토카인 발현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alpha)와 인터루킨-8에 대한 ELISA실험을 실시하였다. ELISA실험 결과, NF-kappaB 리포터 실험결과와 동일하게, TNF-alpha와 인터루킨-8 생산이 12종 식물추출물 모두에서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12종의 식물 추출물에서 보여지는 호염증성 시토카인 억제효과가 NF-kappaB 프로모터 활성억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들 12종 식물은 diphenyl-p-picrylhydrazyl (DPPH) assay를 통해 살펴본 결과 높은 항산화 활성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12종의 식물 추출물은 염증성 피부질환 전용 화장품 제형에서 항염 및 자극완화 소재로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임도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식물 선정 및 관속식물상 -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임도를 중심으로 - (Native Plants Selection for Ecological Replantation and Vascular Plants in Forest Road Slope - In Case Study on Forest Road of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

  • 이미정;이준우;전권석;지윤의;김명준;김종윤;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1-209
    • /
    • 2003
  • 본 연구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4개 시$.$군에서 개설 후 1∼15년 경과한 임도에서 경과년수별로 절토 사면에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와 환경인자를 조사하였다. 경과년수에 따라 침입하는 종 수와 피복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초본류의 출현비율은 감소하였고, 목본류의 출현비율은 증가하였다. Ordination 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공 후 경과년수, 절토경사, 해발고, 절토사면 방향 등으로 나타났다. 임도사면의 녹화를 위해서는 시공 초기에 파종하던 종 이외에 쑥. 뱀딸기, 참억새, 칡, 산초나무, 붉나무, 병꽃나무 등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임도사면에 출현한 관속식물은 77과 190속 233종 38변종으로 총 271종이며. 그 중 귀화식물은 18종이 출현하였다. 출현종의 빈도 우선순위를 보면. 산딸기, 쑥, 산초나무, 칡, 소나무. 조록싸리, 큰까치 수영, 싸리. 이고들빼기. 참억새, 개망초 등의 순이다.

한국산 양지꽃족(장미과)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ies of the tribe Potentilleae (Rosaceae) in Korea)

  • 허경인;이상룡;김용성;박종선;이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8-69
    • /
    • 2019
  • 한국산 양지꽃족(tribe Potentilleae) 식물 7속 24종에 대하여 외부형태 형질과 과실 미세구조 관찰 및 문헌 조사를 통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주가 암술에 위치하는 특징과 화주의 모양은 양지꽃족의 아족 및 속간 분류에 유용한 형질이었다. 딸기아족(subtribe Fragariinae)은 화주가 아기저생 또는 측생하였으며 수술에는 1개의 화분낭을 갖는 반면에, 양지꽃아족은 화주가 대부분 자방에 아정생하며, 드물게 측생하고, 수술에 2개의 화분낭을 갖는 특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딸기아족에는 물싸리속, 물싸리풀속, 검은낭아초속, 딸기속이 포함되며, 각 속은 양지꽃속과는 구분되는 독립된 속으로의 처리를 지지한다. 양지꽃속으로 처리되어 왔던 눈양지꽃은 양지꽃아족에서 유일하게 화주가 측생/아정생하는 특징과 탁엽이 엽병의 앞면에 부착하는 특징으로 독립된 눈양지꽃속으로 처리됨을 지지한다. 종 수준에서의 연구 결과 흰땃딸기(딸기속)는 식물체가 잎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작고, 한라산에서만 제한 분포하는 특징으로 특산종으로 처리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산뱀딸기(뱀딸기속)는 뱀딸기에 비하여 잎이 연한 녹색 또는 황녹색, 소엽이 얇고 다소 막질이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의 소엽 등을 갖는 특징으로 뱀딸기와 잘 구분된다. 다양한 외부형태학적 변이를 보여 분류군의 한계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던 양지꽃속의 돌양지꽃 복합체와 딱지꽃 복합체에 대하여 추가적인 분류학적 연구와 개체군 수준에서의 분자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찔레꽃 및 찔레꽃 복합물 추출물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 함량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sa multiflora and Rosa multiflora Complex on Lipid Content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 최정화;백지윤;최희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91-7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찔레꽃과 찔레꽃 복합물이 혈청 및 간 조직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4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N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찔레꽃을 5% 첨가한 군(HR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찔레꽃 복합물을 첨가한 군(HRC군)으로 나누었다. 찔레꽃 복합물은 찔레꽃, 뱀딸기풀, 곰보배추, 조릿대로 구성되어 있다.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은 HF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R군과 HRC군이 HF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혈청 중성지질은 HF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RC군은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혈청 HDL-cholesterol은 HR군과 HRC군이 HF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혈청 총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은 HF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동맥경화지수에서 HRC군은 H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은 HF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R군과 HRC군은 H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변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은 HR군과 HRC군이 H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은 HR군과 HRC군이 HF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Total bile acid는 HR군과 HRC군이 HF군에 비해 증가하였고, 특히 HRC군은 H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 찔레꽃과 찔레꽃 복합물은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 total bile acid 및 지질 대사 조절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