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al Energy X-ray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8초

고에너지 선형가속기의 Independent Collimator를 이용한 비대칭 방사선 조사시 방사선량 결정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Dual Photon Energy Using Independent Collimator Jaws)

  • 김정기;최영민;이형힉;허원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37-244
    • /
    • 1996
  • 목적 : 의료용 선형가속기의 Independent Collimator는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사선량의 계산과 MU(Monitor Unit)의 계산에 사용되는 모든 기본 자료는 대칭 조사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independent collimator를 사용한 비대칭적인 조사면의 경우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계산 방식을 그대로 적용함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의문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Dual Photon Beam(6MV와 15MV)을 산출(産出)하는 선형가속기(Linac 1800, Varian Co)에서 collimator 사용시 산란 방사선의 총채로 표현되어지는 field size factor, beam qualify에 영향을 미치는 HVL와 PDD를 조사하였다. 먼저 field size factor는 water phantom(WP 600C Wellhofer, Germany)내의 Dmax에서 field size $3{\times}3cm$에서 $35{\times}35cm$까지의 방사선량의 변화를 square field로 $1cm^2$씩 증가시켜 가며 0.6cc ion chamber(NE 2571)로 측정하였다. Beam quality는 100cm SSD(source-surface distance)에서 $5{\times}5$, $10{\times}10$, $15{\times}15$$20{\times}20cm$ field size로 0, 3 및 10cm off-axis distance와 dmax 4, 10, 15 및 20cm의 깊이에서 측정하였다. Dose distribution을 분석하기 위하여 film densitometer와 water phantom(IC 10 ion chamber)을 사용, $10{\times}10cm$ field size에서 5, 10 및 15cm의 off-axis distance까지의 방사선량의 분포를 관찰하고 대칭 방사선 조사면와 비교 분석하여 실제 isodose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결과: 1) Relative field size factor는 중심 축에서 off-axis lateral distance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였는데 6MV X-선의 경우 최대 $3.1\%$, 15MV X-선의 경우 최대 $5\%$까지의 변화를 보였다. 이때 off-axis factor를 구하여 교정을 하였을 경우 중심 축의 field size factor와 거의 유사한 값에 도달할 수 있었다. 2) Beam qualify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실험에서 HVL는 off-axis distance가 멀어질수록 감소하였고 PDD도 off-axis distance가 멀어지고 측정 깊이가 깊어질수록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다. 통상적인 방사선 치료시에 이용되는 $5{\times}5cm$ 이상의 field size와 15cm 이내의 깊이에서는 3cm 와 l0cm의 off-axis에서 6MV X-선은 평균 $0.5\%$$2\%$, 15MV X선은 $0.4\%$$1.4\%$의 감소 현상을 보여 큰 편차를 관찰할 수 없었다. 3) Isodose distribution은 off-axis distance가 멀어질수록 depth dose의 증가치가 감소되었으며 특히 central axis의 가장자리 부위에서는 isodose curve의 위축이 확연하였다. 결론 : Independent collimator를 사용하여 비대칭 방사선 치료를 할 경우 MU의 계산은 off-axis factor와 PDD 보정이 필수적이며 임상적으로는 중심 축에서의 과소조사에 대한 정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이용한 골밀도 검사 시 진단불일치에 대한 분석 (The Study of Diagnostic Results Discordance Analysis on BMD Using DEXA)

  • 박원규;강영한;조광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1호
    • /
    • pp.25-31
    • /
    • 2008
  • 목적: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을 이용한 골다공증 진단 시 부위 별로 골다공증에 대한 진단 불일치도를 파악하고, 연령의 증가에 따른 골다공증 진단 일치 여부를 조사하여 골절 예방과 치료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골절 및 정형외과적 수술이 없는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요추부 $1{\sim}4$번과 고관절의 대퇴경부, Ward's triangle 그리고 전완부의 Ultra digital 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요추부와 대퇴경부, 전완부의 진단 일치 여부를 위해 각 부위 별 골감소증, 골다공증을 구별하여 분석하였고, 연령의 증가에 따른 진단의 불일치도를 파악하였다. 통계처리는 전완부와 대퇴 경부, 요추부 골밀도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각 부위 T-score 비교는 $x^2$-test를 사용하여 유의성 검정을 하였고, p < 0.05인 경우를 유의한 차이로 판정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요추부 골밀도는 정상이 57명(25.9%), 골감소증군 86명(39.1%), 골다공증군은 77명(35.0%)이었다. 요추 4번에서는 골다공증군이 78명(35.5%)이었고, Ward's triangle은 126명(57.3%)에서 골다공증으로 진단되어 Ward's triangle에서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요추부와 대퇴경부의 진단불일치율은 57%였고, 요추부와 전완은 43%, 전완과 대퇴경부는 51%로 나타났다. 정상군, 골감소증군, 골다공증군의 진단불일치율은 각각 39%, 63%, 42%로 나타나, 골감소증군에서 진단불일치율이 가장 높았다. 요추부가 정상일 때 불일치도는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에서 각각 25%, 23%, 11%, 65%, 86%로 나타나 60대 이후 불일치도가 급격히 높아졌다. 요추부가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일 때는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에서 각각 62%, 55%, 36%, 20%, 9%로 나타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불일치도는 낮아졌다. 결론: 골밀도는 연령증가에 따라 변화되고 부위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으므로 골밀도 검사는 요추와 대퇴경부, 전완을 각각 측정하여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단의 불일치 정도가 60대와 70대, 그리고 골다공증군에서 가장 현저하였으며, 이는 두 부위 이상에서 불일치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골절 위험 한계치의 측정에 각 부위별 골밀도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장기 스테로이드 치료요법 중인 신질환 환자에서 Pamidronate의 효과 (Efficacy of Pamidronate in Nephropathic Children with Ongoing Long Term Corticosteroid Therapy)

  • 홍현기;김은성;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43-50
    • /
    • 2004
  • 목 적 : 신 사구체 질환을 포함한 여러 질환에서 스테로이드가 장기간 투여되고 있다. 스테로이드의 장기간에 걸친 복용은 여러 가지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그중 골다공증은 성장기의 어린이들에는 심각한 부작용 중에 하나이다. 저자들은 신 사구체 질환으로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투여를 진행하면서 위약과 pamidronate를 복용시켜 pamidronate의 골다공증 예방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중 에너지 X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과 골대사의 생화학적 지표들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혈뇨와 단백뇨가 동반되어 2003년 8월부터 2004년 2월 사이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서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투여를 3개월 이상 시행 중인 44명(M : F=25: 19)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아 44명 모두에게는 하루 500 mg의 칼슘제재가 공급되었고, 이 가운데 16명에게는 pamidronate(125 mg/cap)를 하루 1 cap씩 투여하였고, 다른 28명에게는 위약을 3개월간 투여하였다.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투여를 시행 중 3개월 사이의 AST, ALT, 요소 질소, 크레아티닌, 칼슘과 인의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골밀도의 변화는 이중 에너지 X-선 흡수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부갑상선 호르몬(PTH), 혈중 osteocalcin, 요중 dipyridinoline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 과 : 골밀도 검사 상 대조군에서는 $0.754{\pm}0.211(g/cm^2)$에서 3개월 동안의 스테로이드 치료 후 $0.728{\pm}0.208(g/cm^2)$로 통계상 유의한 정도의 골밀도 감소를 보였다(P=0.0004). 반면 pamidronate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은 3개월 동안 골밀도가 $0.652{\pm}0.194(g/cm^2)$에서 $0.658{\pm}0.226(g/cm^2)$로 증가하였다. 비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 소견은 보이지 않았지만 대조군에 비해 스테로이드 치료에 의한 골밀도의 지속적인 저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론 : 장기 스테로이드 치료요법을 시행받는 환아에서 pamidronate 같은 biphosphonates 제재가 골밀도 저하를 예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이중에너지 X-ray 흡수법을 적용한 근위 대퇴골 및 요추부 골밀도 검사의 상관관계 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of BMD in Proximal Femur and Spine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한만석;조동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65-16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외래환자의 골밀도 검사를 통해 대퇴골 및 요추부에서 정확한 검사를 얻을 수 없을 경우 두 부위간의 골밀도 검사 수치간의 상관관계를 밝혀 검사 결과를 유추하는 데 목적이 있다. C대학교 부속병원을 내원한 환자 62명을 그룹1(40세 미만, 21명), 그룹2(40세 이상~60세 미만, 21명), 그룹3(60세 이상, 20명)으로 세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의 T-score와 Z-score를 조사하여 평균값과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두 부위의 검사 수치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령이 높아질수록 T-score가 낮아지고 있고 60세이상 고령자의 경우 골 감소증이 발생하였다. 둘째, 세 그룹으로 비교를 통해 골밀도 검사에서 대퇴골과 요추부 두 부분에 대한 Z-score와 T-score의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골밀도값의 결과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상관관계를 통해 어느 한 부위의 결과로서 다른 부위의 결과를 유추할 수 있는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골다공증 환자의 처치 및 예후를 결정할 수 있는 보조적인 인자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여자의 연령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요인 분석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fferent Age Groups of Korean Women)

  • 유춘희;이정숙;이일하;김선희;이상선;정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7호
    • /
    • pp.779-790
    • /
    • 2002
  • Nutritional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BMD) in the different age groups of Korean women were investigated to obtain baseline data for maintaining bone health. Information on diet and anthropometry were collected in 80 elementary school children (height 127.2 cm, weight 27.3 kg), 84 high school students (height 161.6 cm, weight 52.4 kg), 100 adults aged 25 to 35 years (height 159.4 cm, weight 52.7 kg) and 120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f age (height 150.9 cm, weight 55.6 kg). Data for nutrient intake wer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BMDs of lumbar spine (L$_2$-L$_4$) and femoral neck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relationship between BMD of femoral neck and nutritional factors were analyzed. The average BMD of femoral neck for females was 0.61 g/$\textrm{cm}^2$ in children, 0.88 g/$\textrm{cm}^2$ in adolescents, 0.90 g/$\textrm{cm}^2$ in adults, 0.64 g/$\textrm{cm}^2$ in elderly people. Among the adult subjects, 11.0% was classified as osteopenia in the femoral neck. For the elderly, the prevalence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were 34.2% and 47.5% of the subjects. It was shown the intake of energy, protein, plant protein, animal protein, fat, carbohydrate, Ca, P, Fe,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vitamin C, carbohydrate energy percent and fat energy percent influenced bone health status in all age groups. In the MAR on bone health status, children, adult and elderly subj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classified by bone health status and the MAR of the groups with good in bone health was higher. The RDA percent of each nutrient was influence factor on BMD. Nutrient intake of energy, protein, P, Fe, thiamin, niacin were lower BMD on below 75% of Korean RD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veral dietary factors were influence on BMD. MAR on femoral neck BMD of children and elderly subjects was the highest influence factor. Beyond this, the most influential dietary factors on BMD were the vitamin A, total Ca and vegetable Ca. The above results have confirmed that dietary factors influence BMD in various age groups. Energy, protein, Ca, P, Fe, thiamin, riboflavin, niacin, vitamin C as well as MAR were important dietary factors influencing BM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eople who received sufficient nutrients intake showed healthy bone status. The MAR mainly influenced the bone health status.

이중 헤드 감마 카메라를 이용한 Conjugate-View 계수법에 의한 신장 깊이 도출 (Calculation of Renal Depth by Conjugate-View Method Using Dual-head Gamma Camera)

  • 김현미;서태석;최보영;정용안;김성훈;정수교;이형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78-388
    • /
    • 2001
  • 목적: 기존의 신장깊이를 구하는 Tonnesen, Taylor 방정식은 신장 핵의학 검사 시 별도의 초음파, CT(computed tomography) 검사를 토대로 도출되었으며, 몸무게, 키, 나이에 따른 변수를 이용하여 신장깊이를 구하게 되므로 개인차가 고려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감쇠 계수를 이용한 보정 인자 $e^{-{\mu}x}$를 적분하여 계수를 구하는 방법과 Conjugate-view 계수법을 사용하여 핵의학 영상에서 신장깊이를 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신장모형이 포함된 복부모형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중 헤드 감마카메라(E.CAM, SIEMENS, Germany)로 핵의학 이미지를 얻는 실험을 하였다. 신장 두께, 신장깊이 그리고 몸통두께를 변수로 하여 각각의 다른 실험값을 얻었다. 방사성 동위윈소는 $^{99m}Tc$-DMSA를 사용하였으며, 검출기에 대한 효율은 실험을 통해 계산되었다. 감쇠 계수를 이용하여 계수값을 얻어내는 방법으로 신장깊이 도출을 위한 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배후 방사능 보정에 대한 보정식을 추가하였다. 유도된 방정식에 실험을 통해 얻어낸 자료를 대입하여 신장깊이를 구하였으며 이렇게 계산된 신장깊이와 실험에 사용된 신장깊이를 비교하여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이 연구에서 유도된 신장깊이 방정식을 통해 개발된 신장깊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몸통모형의 몸통 길이와 신장모형 두께, 위치를 각기 다르게 하여 각각의 핵의학 영상을 얻은 결과로부터 신장깊이에 대한 실제값과 유도된 방정식을 통해 얻은 계산값을 서로 비교, 검토해보았다. 신장깊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얻은 계산값과 모형의 실제값을 비교해 본 결과 0.1 cm에서 0.7 cm까지의 차이를 보였다. 실험값과 계산값과의 평균 오차는 $0.029{\pm}0.15cm\;(mean{\pm}S.D.$) 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신장깊이를 구하는 여러 방법들과는 달리 본 연구를 통해 핵의학 영상만으로도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를 얻어낼 수 있게 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신장깊이 계산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한 신장깊이는 방사성동위윈소 주입 후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집적된 계수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되므로 개개인의 개인차는 물론 좌신과 우신에 따른 차이도 고려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연구에서 개발된 신장깊이 계산 프로그램의 임상 응용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신장에 도달하는 방사성 동위윈소의 방사능양과 효율적일 관심영역 크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며 좀더 정확하고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가 계산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치료 방사선 선속(Flux)에 포함된 산란전자의 분포와 에너지 측정 (The Measurements of Energy and Distribution of Scattered Electrons in Therapeutic X-Ray Beam)

  • Vahc, Young-Woo;Park, Kyung-Ran;Ohyun Kwon;Lee, Yong-Ha;Kim, Tae-Hong;Kim, Sookil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2
  • 치료방사선 선형가속기에서 출력되는 광자선의 선속 (flux)에는 gantry head로부터 발생되는 오염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오염전자의 발생은 주로 gantry head의 부속장비 또는 방사선 치료를 위해 gantry head 밑에 설치되는 부속장치 등에서 광자선과 매질의 전자쌍생성, 또는 컴프톤 산란전자 등의 물리적 현상으로 발생된다. 오염전자는 표면영역의 수cm 깊이의 선량 분포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것은 방사선 치료 시 skin-sparing 효과를 감소시키는 등 임상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오염전자의 특성을 이해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선형가속기 (Clinac 1800, Varian )에서 출력되는 15MV 광자 선속에서 조사야의 크기가 0.0$\times$10.0 to 30.0$\times$30.0 $\textrm{cm}^2$에서 30.0$\times$30.0 $\textrm{cm}^2$ 대해 구리판(Cu)의 부분적 오염전자 제거 능력과, 조사야의 부분 차폐 방법을 이용하여 물팬톰 내의 선량분포의 변화를 측정하므로써 오염전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염전자는 조사야의 중심축으로부터 넓게 퍼진 cone 모양의 분포를 하고 있었으며, 또한 오염전자가 갖는 평균 에너지는 약 3.0MeV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오염전자는 표면으로부터 2.5cm 깊이까지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써 광자선속에 포함된 오염전자를 제거하고 순수한 광자선을 이용한다면 buildup 영역 및 표면선량이 감소되고, 최대선량지점이 좀더 깊어진다.

  • PDF

여대생의 골밀도와 신체조성 및 생활습관과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Life Sty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종현;이보경;김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86-7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BMD), body composition and life sty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334 students with a mean age of 21.0 years. BMDs of forearm and calcaneus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ence analysis. The means for weight, height, and body mass index(BMI) of the subjects were 55.7 kg, 161.0 cm, 21.5 kg/$m^2$, respectively. Grouping by the BMI, 13.2%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overweight, and 11.1% of the subjects as obese group. BMD in the forearm and calcaneus were 0.390 g/$cm^2$, 0.514 g/$cm^2$. In the forearm, 58.1% and 9.6%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osteopenia and osteoporosis, respectively, and in the calcaneus, 12.0% and 0.3%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osteopenia and osteoporosis, respectively. Body weight, skeletal muscle mass, lean body mass, fat mass and BMI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Ds in the forearm and calcaneus($r$=0.180~0.495, $p$ <0.01~0.001), and height, % body fat and waist-hip ratio(WH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Ds in the calcaneus($r$=0.213~0.239, $p$ <0.001), but not in the forearm. The factors such as beginning age of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MD($p$ <0.05; p<0.001), whereas sleeping hours, activity level, frequency of exercise, meal times, frequency of snack and fried food intake, breakfast skipping and amount of meal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BMD. Therefore, the acquisition of balanced body composition is necessary through the increase of fat free mass and muscle mass, not through the increase of fat mas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경기 지역 폐경 전.후 여성들의 골밀도와 신체 계측, 모성요인 및 운동과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Maternal Factors, and Exercise and Their Correlation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n Gyeonggi-do Korea)

  • 최윤희;김현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30-638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among bone mineral densit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maternal factors and exercis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taken by a trained practitioner and the maternal factors of the 78 subjects in Gyeonggi-do were acquired by an interview questionnare. The BMD of the lumbar spine(L2~L4), femoral neck, Ward's triangles and trochanters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mean age of the premenopausal women was 45.23 years and that of the postmenopausal women whose ase of menopause was 49.37 years was 61.27 years. The age, waist and waist to hip ratio of postmenopausal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remenopausal women. BMD of the lumbar spine(L2~L4) in postmenopausal wo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emenopausal women. Number of children and age at last deliver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ostmenopausal women than those in premenopausal women. The BMDs of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of premenopausal wome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and WHR and the BMDs of these two sites in postmenopausal wome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ight, and weight. In postmenopausal women, BMD of the lumbar spin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uration time after menopause and BMD of the femoral nec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at last delive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dequate body weight. Health management and education about performing more exercise are recommended for postmenopausal women to prevent osteoporosis.

지역사회 거주 일반 성인의 생활양식, 체성분 및 골밀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Life Style,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mmunity Dwelling Korean Adults)

  • 박주영;이태용;오희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44-65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life style,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community dwelling Korean adul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0 adults who participated in a health check-up program at community health departments in D city, Choong-chung providence. Subjects' life style was assessed with a structured interview survey. Body composition analyses were performed by the bioimpedence method and BMD was measured by peripheral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Results: Among the subjects, 39.3% showed normal BMD values, 50.7% were osteopenic and 10% were assessed as osteoporotic. BM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ge, education, economic status and BMI. Subjects who had three or more meals/day had higher BMD then who had less than three meals (t=-2.273, p=.026). BMD was not influenced by regular exercise, alcohol consumption, or smoking. In terms of body compos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t free mass and BMD (r=.172, p=.043). Conclusion: Implementing an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would be warrented considering the significant proportion of osteopenic or osteoporotic subjects. Regular eating habit with three meals for adequate nutrition need to be emphasized to prevent further bone loss in this population. Among the body composition, fat free mass seem to be the mostly predicting factor for B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