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이용한 골밀도 검사 시 진단불일치에 대한 분석

The Study of Diagnostic Results Discordance Analysis on BMD Using DEXA

  • 박원규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 강영한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 조광호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Park, Won-Kyu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
  • Kang, Yeong-Ha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
  • Jo, Gwang-Ho (Department of Radiology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 발행 : 2008.03.31

초록

목적: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을 이용한 골다공증 진단 시 부위 별로 골다공증에 대한 진단 불일치도를 파악하고, 연령의 증가에 따른 골다공증 진단 일치 여부를 조사하여 골절 예방과 치료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골절 및 정형외과적 수술이 없는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요추부 $1{\sim}4$번과 고관절의 대퇴경부, Ward's triangle 그리고 전완부의 Ultra digital 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요추부와 대퇴경부, 전완부의 진단 일치 여부를 위해 각 부위 별 골감소증, 골다공증을 구별하여 분석하였고, 연령의 증가에 따른 진단의 불일치도를 파악하였다. 통계처리는 전완부와 대퇴 경부, 요추부 골밀도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각 부위 T-score 비교는 $x^2$-test를 사용하여 유의성 검정을 하였고, p < 0.05인 경우를 유의한 차이로 판정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요추부 골밀도는 정상이 57명(25.9%), 골감소증군 86명(39.1%), 골다공증군은 77명(35.0%)이었다. 요추 4번에서는 골다공증군이 78명(35.5%)이었고, Ward's triangle은 126명(57.3%)에서 골다공증으로 진단되어 Ward's triangle에서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요추부와 대퇴경부의 진단불일치율은 57%였고, 요추부와 전완은 43%, 전완과 대퇴경부는 51%로 나타났다. 정상군, 골감소증군, 골다공증군의 진단불일치율은 각각 39%, 63%, 42%로 나타나, 골감소증군에서 진단불일치율이 가장 높았다. 요추부가 정상일 때 불일치도는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에서 각각 25%, 23%, 11%, 65%, 86%로 나타나 60대 이후 불일치도가 급격히 높아졌다. 요추부가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일 때는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에서 각각 62%, 55%, 36%, 20%, 9%로 나타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불일치도는 낮아졌다. 결론: 골밀도는 연령증가에 따라 변화되고 부위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으므로 골밀도 검사는 요추와 대퇴경부, 전완을 각각 측정하여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단의 불일치 정도가 60대와 70대, 그리고 골다공증군에서 가장 현저하였으며, 이는 두 부위 이상에서 불일치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골절 위험 한계치의 측정에 각 부위별 골밀도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for the diagnostic discordance of bone mineral density(BMD) in DE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the diagnostic difference between lumbar spine and femur neck, forearm was evaluated using T-score. Materials and Methods : We studied 220 females measured BMD on lumbar spine, and femur neck, forearm including ward's triangle and ultra digital(UD). We were distinguished T-score into normal, osteopenia, osteoporosis(WHO classification) and evaluated discordance rate according to age and degree of bone loss. Correlation analysis and chi-square test between L-spine, L-4, femur neck, Ward, Forearm, UD were carried out. Results : In the lumbar spine, the number of normal were in 57(25.9%), osteopenia in 86(39.1%), osteoporosis in 77(35.0%). In the L-4 and ward's triangle, the number of osteoporosis were in 78(35.5%), in 126(57.3%).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umbar, femur neck and forearm BMD in all cases. The discordance of BMD between lumbar and femur were 57%, lumbar and forearm 43%, forearm and femur 51%. The discordance rates of normal, osteopenic, osteoporotic groups were 39%, 64%, 43%, respectively, showing the highest discordance rate in osteopenia patients. In normal group of lumbar spine, the discordance rate was 25%, 23%, 11%, 65%, 86% in 30', 40', 50', 60', 70', respectively. In osteopenia, osteoporosis group of lumbar spine, the discordance rate was 62%, 55%, 36%, 20%, 9% in 30', 40', 50', 60', 70', respectively. Conclusion : It was different of the results of BMD with lumbar, femur and forearm site. The discordance rate was decreased with age in osteopenia, osteoporosis lumbar spine. In osteopenia group, the discordance rate was the highest. So, it is necessary that the BMD of lumbar, femur neck and forearm should be check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