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Chung leav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천연감미료(天然甘味料) Stevia 첨가(添加) 두중차(杜仲茶)가 Alloxan 당뇨가토(糖尿家兎)의 혈당(血糖) 및 혈청성분(血淸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Du-Chung Tea Added Raw Sweetening Stevia Leaves on the Blood Sugar Level and Blood Constituents of Alloxan-Diabetic Rabbits)

  • 박문왕;이영순;김광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2호
    • /
    • pp.71-79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ether Du-chung tea and Du-chung tea added with Stevia leaves are suitable for everyday use of diabetics. For this purpose, states of diabetic rabbit, induced by giving alloxan to normal rabbit, were examined in two cases. One was to administer Du-chung tea sweetened by sugar to the above same animal and the other to apply Du-chung tea sweetened by Stevia leaves, instead of sugar, under the equal condition. A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n blood sugar level, contents of BUN (blood urea nitrogen) and total cholesterol, and GPT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activity in both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weetness of Du-chung tea added with 0.3-0.5% Stevia leaves was never to the standard sweetness. 2) Sweetness of Du-chung tea with 2% sugar plus 0.2% Stevia leaves was the nearest to the standard sweetness. 3) Du-chung tea with 0.5% Stevia leaves was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the next was Du-chung tea no sweetening, and the worst was Du-chung tea with sugar. Addition of 0.2% Stevia leaves without lessening sugar concentration of the above Du-chung tea showed the same result as Du-chung tea with sugar. 4) Du-chung tea with Stevia leaves and Du-chung tea without sweetening had the tendency of reducing the total cholesterol content in serum, while only Du-chung tea with Stevia leaves presented remarked difference after 4, 6 and 10 days, when they wer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5) Degree of CPT, activity had in general the similar tendency- to that of total cholesterol content. 6) Taken Du-chung tea with Stevia leaves and Du-chung tea without sweetening, the BUN content showed reducing tendency in small quanity, but, having little defference from control group.

  • PDF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Native Plants on Prostate Cancer Cells

  • Kim, Han Hyuk;Park, Kwan Hee;Kim, Manh Heun;Oh, Myoeng Hwan;Kim, So Ra;Park, Kwang Jun;Heo, Jun Hyeok;Lee, Min 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92-200
    • /
    • 2013
  • As part of the research for the natural products about prostate-related disease, this study screened 159 plant species from 46 families, which included a total of 213 different kinds of local native plants and these plants were tested for the ability to inhibit LNCaP proliferation, an androgen-sensitive prostate cancer cell line, and DU145 proliferation, which is a more aggressive androgen-insensitive prostate cancer cell line. The results indicated that nineteen of 213 types of plants exhibited antiproliferative activity (cell viability < 30%, $500{\mu}g/mL$) on the growth of androgen-sensitive LNCaP cell lines, and five of them exhibited DU145 cell antiproliferative activity (cell viability < 30%, $500{\mu}g/mL$). The methanol extracts of Eurya emarginata (stems),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leaves), Photinia glabra (leaves) and Elaeagnus macrophylla (leaves) showe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n both the androgen-sensitive LNCaP cells (cell viability < 30%) and androgen-insensitive DU145 cells (cell viability > 100%).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methanol extracts of Styrax japonica (fruits), Aralia continentalis (leaves),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stems), Thuja orientalis (stems) and Poncirus trifoliate (branches) presented the strongest activity and demonstrated potent antiproliferative activity on both cell lines (LNCaP and DU145 cell viability < 30%).

두충엽의 휘발성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unds of Du-Chung Leaves)

  • 장희진;김옥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1-265
    • /
    • 1990
  • 두충엽의 휘발성 성분을 SDE 장치로 추출한 후 GC 및 GC/MS에 의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35개 성분이며 alcohol류 7종, aldehyde류 3종, ketone류 4종, ester류 2종. hydrocarbon류 18종, phenol 1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2-ethyl furyl acrolein으로 추정되었는데 전체 휘발성 성분의 31.4%를 차지하였다.

  • PDF

온도 증가에 따른 일본잎갈나무와 거제수나무 유묘의 초기 생장과 생리 특성의 변화 (Changes on Initial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and Betula costata Seedlings under Elevated Temperature)

  • 한심희;김두현;김길남;이재천;윤충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3-70
    • /
    • 2012
  • 지구온난화 현상과 관련하여 온도 상승에 따른 수목의 초기 생리 반응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일본잎갈나무와 거제수나무 유묘를 $24^{\circ}C$$27^{\circ}C$에서 4주간 키운 후, 이들의 생장, 광색소 함량, 항산화효소 활성 및 MDA 함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높은 온도($27^{\circ}C$)에서 생장한 두 수종의 수고 상대생장률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잎, 줄기, 뿌리의 건중량도 모두 낮았다. 특히 뿌리의 생장 감소는 시간이 지나면서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는 높은 온도에서 증가하였다. 광색소 함량은 두 수종 모두 온도 증가로 감소하였으며, 항산화효소인 APX와 CAT의 활성은 높은 온도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MDA 함량은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수목의 생육 온도 증가는 생육 초기에 뿌리의 생장을 감소시켜 양료 흡수를 제한하며, 엽록소 함량 감소와 지상부의 생장을방해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증가는 수목의 생장 기간 동안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여 에너지의 소모를 증가시켜 생장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대기 이산화탄소 증가와 질소 시비가 백합나무 유묘의 생장과 탄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Atmospheric CO2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and Carbon Uptake of Yellow Poplar Seedlings)

  • 정미숙;한심희;김두현;이재천;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08-118
    • /
    • 2012
  • 본 연구는 기후변화 하에서 우리나라 기후와 산림토양에 적합한 수종을 개발하기 위해서, 상부 개방형 온실(Open Top Chamber)을 이용하여, $CO_2$ 농도를 대기보다 1.4배와 1.8배 증가시킨 상태에서, 질소 농도에 따른 백합나무의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백합나무 유묘의 건중량은 모든 $CO_2$ 농도 하에서, 질소 시비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그러나 $CO_2$ 농도 증가에 따른 백합나무 건중량 변화는 질소 시비 농도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총 엽록소와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모든 질소 시비구에서 $CO_2$ 농도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으나, 질소 시비에 대한 효과는 $CO_2$ 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백합나무의 광합성 특성은 $CO_2$ 측정 농도, $CO_2$ 처리 농도 및 질소 시비 농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기공전도도와 증산속도는 $CO_2$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백합나무의 탄소고정효율은 $CO_2$ 농도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질소 시비구에서는 $CO_2$ 농도 증가에 의해 오히려 감소하였다. 백합나무의 잎, 줄기, 뿌리에 축적된 질소와 탄소 함량은 $CO_2$ 증가와 질소 시비와 함께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CO_2$ 농도가 높은 상태에서 백합나무의 생리적 특성과 탄소 흡수 능력은 질소 시비에 의해서 개선되거나 증가하였지만, $CO_2$ 농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