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ing method

검색결과 1,452건 처리시간 0.03초

흡수성 차폐막에 배양된 구개관세포의 증식양상의 비교 (Comparison of the Proliferation pattern of Cultured Rat Calvaria Cell on the Resorbable Barrier Membrane)

  • 이창훈;이만섭;권영혁;박준봉;허익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193-21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henomenon of attachment and spreading of the cultured rat calvarial cell inoculated on their surface of different kinds of biodegradable membrane which had been used on tissue regeneration on periodontal defects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this experiment 30 Sprague-Dawley male rats (mean BW 150gm) were used to harvest abundant number of cell in the short period. The rat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an to obtain the calvaria for bone cell culture. Calvarial cells were cultured with 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um contain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under the conventional conditions.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were collected with collagen type, and were divided into 3 different kind of surface such as scattered, polarized and fine-net type as their surface texture. Microcover plate which usually used for cell culture was used as control for smooth surface. All the membrane were seeded with cultured calvarial cell on their surface. The number of cell inoculated on the membrane were $1{\times}10^6$ Cells/ml. After the culture as designed time, all the membrane were washed with 0.1 M Phosphate Buffered saline and fuxed with 2.5% Glutaraldehyde. And all specimen were treated with $OsO_4$, and Tannic acid before drying the cell for coating the cell with gol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as used to observ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 During the whole period of experiment, the phenomenon of cell attachment and spreading were revealed similar pattern to compare with smooth surface culture plate and ordinary culture dish. 2. The shape of cell attachment and spreading on the surface of barrier membrane were observed no remarked difference pattern between smooth surface culture plate and ordinary culture dish. 3. The cytoplasmic process of cultured calvaria cell extent to the deep portion of barrier membrane like as their own proper shape. 4. There were no remarkabl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 of cultured cell spreading and surface structure of barrier membrane. 5. Slight starified layer of cultured calvaria cell were observed on the scattered type of resorbable membrane, Conclusively, this study thus suggest that cultured bone cell inoculated onto the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may have an important role of carrier for many cell which could be used as new tissue regeneration, and those tissue engeering technique may become an new method in the approach to the repair of bone defects.

하이브리드 습식 공정을 통한 PVDF 섬유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PVDF Fibers Fabricated by Hybrid Wet Spinning)

  • 정건;김성수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145-150
    • /
    • 2016
  • Polyvinylidene fluoride (PVDF)는 압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고분자로 1960년대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PVDF는 반결정의 고분자로써 5가지의 결정 구조(${\alpha}$, ${\beta}$, ${\gamma}$, ${\delta}$, 그리고 ${\varepsilon}$형)로 구성되어 있다. ${\alpha}$형과 ${\delta}$형 결정은 전기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무극성 결정구조이나 ${\beta}$형, ${\gamma}$형 그리고 ${\varepsilon}$형은 전기적으로 반응하는 극성 결정구조이다. 그 중에서도 ${\beta}$형 결정구조는 트랜스 형 분자 쇄가 평행으로 충진 된 형태로서 PVDF 단위체가 갖는 영구 쌍극자가 모두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자발 분극이 커지게 되고 압전성을 나타내게 된다. 일반적으로 ${\beta}$형 결정구조는 연신을 통한 ${\alpha}$형 결정구조의 변환을 통하여 얻을 수 있고, 연신 후 후처리 공정을 통해 그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습식방사로 제조된 PVDF 섬유는 응고욕에서 극성 용매의 확산 메커니즘에 의해 ${\beta}$형 결정구조가 형성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극성 용매가 빠져나감과 동시에 섬유 고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용매의 확산 경로가 섬유 내부 기공으로 남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기공은 폴링(Poling) 공정에서 전기장에 의한 분극을 방해하여 그 효과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PVDF 섬유가 압전 특성을 필요로 하는 응용분야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섬유 가공 후에 전극이 반드시 부착되어야 하는데 섬유 형태로 제조된 PVDF에 전극을 형성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압전성을 갖는 PVDF 섬유를 습식 방사와 건식 방사의 혼합 공정으로 제조하여 기공 문제를 해결하였고, 전극이 섬유 내부에 삽입된 Core/Shell 형태의 PVDF 섬유를 제조하여 까다로운 전극형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HA-Dex 융복합 하이드로겔 패치의 아토피 치유 능력에 대한 물리적 특성 및 생체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of HA-Dex Fusion Hydrogel Patch for Atopic Healing Ability)

  • 홍경식;최정연;최진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19-229
    • /
    • 2020
  • 최근,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 자극에 민감하므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특정한 국소 부위에 대한 점착력과 흡수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적절한 약물 방출을 거동할 수 있는 패치 개발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제안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특정 부위에 효과적으로 접착 및 흡수 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패치를 개발코자 하였다. 아토피 패치는 동결 건조법을 이용하여 고흡수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형화 하였다. 인간각질세포(HaCaT cells) 및 섬유아세포(L929 cells) 사용하여 세포 안정성을 수행하였다.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고자 FT-IR, FE-SEM, 다공성 분석, 팽윤성 거동을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제조된 HA-Dex 하이드로겔 패치는 생체 적합성 및 물리적 평가에 의해 입증하였다. 또한 제조된 하이드로겔 패치는 충분한 수분 흡수력과 아토피성 피부의 가려움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향후 아토피 성 피부염 치료에 다양한 약물 전달 제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리 수확 후 관리 시스템 종류별 특성 비교 (Characters on the Post-harvest Bulk Treatment Systems for Barley)

  • 이춘우;백성범;손영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04-107
    • /
    • 2005
  • 보리를 산물처리하는 4개 RPC에서 건조, 저장, 출하시스템등 보리 수확후 관리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J RPC는 쌀보리를 S RPC는 겉보리를 처리하였으며, 운반은 S RPC는 3종, J RPC는 7종, S RPC는 3종류의 운반수단을 사용하였다. 수확 후 관리는 원료곡의 투입에서 저장까지 8단계를 사용하였으며, J RPC는 제망기, 2대의 열풍기, 냉풍기를 사용하였고, S RPC는 가열은 하지 않고 송풍만으로 건조를 하였다. 계량은 S RPC는 차량계근과 투입시 계량등으로 2회 계량하여 중량에 대한 신뢰성을 높였다. 건조방법은 S RPC는 $20\%$ 이하의 수분에서는 연료비를 절감하면서 급격한 열풍건조에 의한 품질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만으로 건조하였다. J RPC는 냉풍기를 사용하여 저장중 곡온을 $19^{\circ}C$이하로 유지하여 품질의 변화를 방지하고 있었다. 처리한 물량은 J RPC는 정맥후 1, 40kg단위로 년중 출하하고 S RPC는 원료곡을 산물로 9월 말 이전에 출하를 완료하였다. 본 조사의 결론은 보리 재배맥종이나 경영방향에 적합하게 보리 수확 후 관리 특성이 차이가 있었고, 농촌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쉽게 보리농사를 지을 수 있는 보리산물처리에 대한 정책지원이 더 증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중간낙수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Lodging of Rice as Affected by Growth Regulators under Different Midsummer Drainage Times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 김상수;백남현;이선용;김종호;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97-704
    • /
    • 1995
  • 벼 무논 골뿌림 재배시 물관리방법 및 생장조절기 처리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4년에 미사질양토(전북통)인 호남 농업시험장 시험포장에서 동진벼를 5월 11일에 골깊이 4cm에 파종하고 중간낙수 회수 및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여 생육 및 도복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시심수에 비하여 2회 낙수구에서 간장이 짧았으며 생장조절제에는 Inbenfide G. > IMP G. > 무처리 순으로 간장이 단축되었다. 2. 상시심수에 비하여 2회 낙수구에서 간벽이 두껍고 뿌리량 및 뿌리의 심층분포 비율이 높았으나 생장조절제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도복지수는 상시심수보다 2회 낙수구가 적고 생장조절제에는 세리타드 > 키타진 > 무처리의 순으로 적었으며 도복은 2회 낙수구에서는 생장조절제 무처리에서만 약간 발생하였으나 상시심수구에서는 무처리 > IBP G.> Inabenfide G.의 순으로 도복발생이 심하였다. 4. 쌀수량은 상시심수구의 생장조절제 무처리에서만 감수하였고 기타 처리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5. 따라서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는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아도 2회(파종후 30일과 50일)에 실금갈 정도로 중간낙수만 하면 도복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Hot Aqueous Extract on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and on 1,1-diphenyl-2-picryl hydrazyl Radical Scavenging in Macrophages

  • Yeo, In Ho;Lee, Cham Kyul;Lee, Eun Yo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2
    • /
    • 2014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hot aqueous extract on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and on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free-radical scavenging in macrophages. Methods: Salviae Miltiorrhizae Radix (300 g) was heated at $100^{\circ}C$ with distilled water (2 L) for 4 hours. The extract was filtered and concentrated to 100 mL by using a rotary evaporator, was frozen at $-80^{\circ}C$, and was then freeze-dried by using a freezing-drying system. The RAW 264.7 macrophage was subcultured by using $10-{\mu}g/mL$ lipopolysaccharide (LPS). In order to evaluate cytotoxicity, we performed 3-(4,5-dimr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s and measured the cell viability. The NO production was measured by using Griess assays, and the $PGE_2$ production was measured by using enzyme immunoassays.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free-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was measured by using the DPPH method. Results: Cell viability with the 1-, 5-, 25-, 125- and $625-{\mu}g/mL$ Salviae Miltiorrhizae Radix hot aqueous extract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ell viability without the extract. When 125 and $625{\mu}g/mL$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hot aqueous extract were us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When 25, 125, and $625{\mu}g/mL$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hot aqueous extract were used, $PGE_2$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125- and $625-{\mu}g/mL$ Salviae Miltiorrhizae Radix hot aqueous extracts had high DPPH free-radical scavenging capabilities in RAW 264.7 macrophages.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Salviae Miltiorrhizae Radix hot aqueous extract suppresses NO and $PGE_2$ production and improves DPPH free-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Thus, it seems that Salviae Miltiorrhizae Radix hot aqueous extract may have an anti-inflammation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파대가리(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번식기관의 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 (Herbicidal Respons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kyllinga(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Propagules)

  • 김진석;박은양;최정섭;최성환;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9-316
    • /
    • 1996
  • 파대가리를 스크리닝 실험재료로 이용하거나 자연조건에서의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고자 번식기관의 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1. 파대가리 휴면타파(休眠打破)에는 저온습윤과 고온건조가 효과적이었으며 저온습윤 조건에서는 1-2 개월 저장으로, $40^{\circ}C$ 고온에 저장할 경우는 3개월째 이상의 저장이 필요하였다. 근경(根莖)의 경우는 휴면(休眠)이 없거나 매우 낮았다. 파대가리 종자의 발아최적온도는 $30^{\circ}C$ 내외인 반면에 근경(根莖)의 경우는 16-$20^{\circ}C$ 범위로서 두 번식 기관간에 다른 온도반응을 보였으며 종자의 발아에는 광(光)이 요구되었다. 2. 근경(根莖)이 3cm 깊이에 심겨 있으면 번식정도가 50% 정도 감소되었으며 4cm 에서는 80% 이상 감소되었다. 파종당시에 담수처리(湛水處理)된 번식기관은 전혀 발아되지 못하였다. 생육중에 담수처리(湛水處理)를 할 경우 근경(根莖)으로부터 나온 유묘(幼苗)는 잎이 물속에 담겨 있을지라도 어느 정도 생육이 되었지만 종자로부터 나온 유묘(幼苗)는 더 이상 생육하지 못하였다. 근경(根莖)의 생체중 감소가 50% 이상 될 정도로 건조되면 출아력(出芽力)이 상실되는 경향이었다. 3. 처리된 약제들중 토양처리효과가 비교적 뚜렷한 것은 amitrole, DTP, fluridone, bensulfuron 등이었고, 경엽처리효과가 양호한 것은 fluridone, bentazone, benfuresate, bensulfuron 등이었다.

  • PDF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c acid)을 이용한 담배 건조법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etterment of flue-curing of tobacco by using Ethephon)

  • 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145-153
    • /
    • 1974
  • Ethephon을 이용하여 현행 잎담배 건조법을 개선해 보고저 우리나라 담배 제조용 주요품종인 Yellow Special A와 Coker를 논에 재배하고 성숙기에 4수준의 Ethephon액을 살포함으로서 Ethephon의 건조에 미치는 생리적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처리잎은 무처리잎에 비하여 성숙중에 현저한 엽록소의 분해를 일으켰다. 따라서 황변(성숙)이 촉진되었으나 처리수준 사이에는 큰 차가 없었다. 2. 성숙과정에서 처리잎은 무처리잎에 비하여 탈수율이 높았던 관계로 수확시 이미 수분함량이 약 10% 적었다. 그러나 처리수준 사이에는 탈수율에 큰 차가 없었다. 같은 조건하에서 건조할 때는 처리잎의 건조가 하루(1일) 앞당겨졌다. 3. 건조과정에서는 처리잎에서보다 무처리잎에서 엽록소의 분해가 더 크게 일어났다. 따라서 건조완료된 잎담배의 황색도는 처리잎이나 무처리잎이나 비슷했다. 4. 건조과정에서 처리잎은 무처리잎에 비하여 전 Alkaloid함량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당전분 및 전질소함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Ethephon처리로 인하여 잎담배 품질이 저하된다고 보이지 않았다. 5. 처리잎은 이미 성숙기에 황변이 촉진되었을 뿐 아니라 탈수도 많이 되었던 관계로 증효기 및 신장기를 생략한 황변기, 색택고정기 및 중골건조기의 3단계로서 건조를 끝낼 수 있었다. 6. 처리된 잎담배의 수량이 2% 감소된 셈이다. 처리잎은 관행건조소요시간(100시간)의 40%를 단축하여 건조할 수 있었음으로 연료비가 50%가량 절약되었다. 7. Ethephon처리로 말미암아 담배 성숙 및 건조 시간이 단축되었기 때문에 수확 및 건조에 요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뿐 아니라 금후 담배의 기계수확 및 집단건조도 가능하게 될 전망이 보였다. 따라서 Ethephon을 담배 농사에 이용하면 담배 생산농가의 노력 및 시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소득을 증대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다고 믿게 되었다.

  • PDF

자장 세기 측정용 진공 센서의 제작 및 패키징 (Fabrication and packaging of the vacuum magnetic field sensor)

  • 박흥우;박윤권;이덕중;김철주;박정호;오명환;주병권
    • 센서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92-30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수평형 전계 방출 소자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진공자장 센서에 이용하기 위하여 Lorentz 원리를 응용하여 센서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POCl_3(10^{20}cm^{-3})$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전계 방출 소자의 음극 및 양극 재료로 이용하였으며 그 두께는 각각 $2\;{\mu}m$였다. PSG(두께 $2\;{\mu}m$)를 희생층으로 사용하여 최종 단계에서 불산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승화건조법을 이용하여 소자의 기판 점착 현상을 방지하였다. 제작된 소자를 유리기판 #1 위에 silver paste로 고정시키고 Cr 전극 패드와 와이어본딩 한 뒤 진공내에서 양극접합공정을 이용하여 소자를 $1.0{\times}10^{-6}\;Torr$에서 진공 실장하였다. 실장 후 게터를 활성화하여 내부진공도를 향상시켰다. 이렇게 패키징된 소자는 두달여 기간 동안 특별한 특성저하 없이 잘 동작되었으며 그 이상의 기간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패키징된 자장 센서는 패키징하기 전 진공챔버 내에서 보인 특성치와 별다른 차이 없이 잘 동작되었으며 단지 약간의 전류 감소 현상만이 관찰되었다. 측정된 센서의 감도는 약 3%/T로서 작은 값이었으나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는 있었다.

  • PDF

한약재중의 아플라톡신 오염도 조사 (A Survey of the Presence of Aflatoxins in Herb Medicines)

  • 박성규;장정임;하광태;김성단;김욱희;최영희;승현정;김시정;이경아;조한빈;최병현;김민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9-173
    • /
    • 2009
  • 서울약령시장과 시중마트에서 유통되고 있는 생약 145건을 immunoaffinity column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HPLC-FLD로 아플라톡신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총 145건 중 10건(6.9%)에서 아플라톡신 오염이 확인되었고, 오염수준은 아플라톡신 $B_1$로서 $0.45{\sim}79.15\;{\mu}g/kg$, 총 아플라톡신으로 $0.05{\sim}97.77\;{\mu}g/kg$의 범위로 빈랑자 19건 중 5건(26%), 백자인 13건 중 4건(31%), 산조인 15건 중 1건(7%)으로 검출 되었고, 백자인 2건, 빈랑자 1건에서 국내 기준치인 $10\;{\mu}g/kg$을 초과 검출 되었다.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생약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종이나 비닐팩에 보관하는 방법은 아플라톡신에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임으로 진공 포장과 같이 미생물과의 접촉을 가능한 피할 수 있는 포장 등으로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아플라톡신 생성균주가 잘 생장할 수 있는 환기가 잘 되지 않고, 고온 다습한 환경이 제공될 가능성이 높은 전통적인 저장 창고와 같은 시설을 항온 항습의 조절이 가능한 현대화 시설로 바꾸는 방안 또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곰팡이독소에 대하여 그 대상 품목 및 허용 한계가 다양하게 규제되고 있으나 규제를 하는 것은 아플라톡신이 오염된 식품이나 생약을 섭취 할 위험성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지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서울약령시장 등 생약시장은 매우 영세하고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의료 목적으로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더욱 신중하고 신속한 저감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