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ne system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33초

산림 방재용 다중 드론 지상통제장치 개념 설계 (Concept design of Multi-Drone Ground Control System for Forest Disaster Prevention)

  • 김규범;오주연
    • 공학기술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3-277
    • /
    • 2018
  • In the field of forest disaster prevention, drones are expected to save higher human resources than the existing manpower has, and produce high-efficiency results over time. However, operational limitations brought by short flight times have brought the environment of limited use of the various capabilities of the drone, and the existing development systems operating the multi-drone are mainly for performance purpose, so it is a difficult to use for forest disaster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the concept based on multi-drone operation procedure through analysis of mission of ground control system for forest disaster prevention.

실시간 미니드론 카메라 영상을 기반으로 한 얼굴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ac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Real-time Mini Drone Camera Images)

  • 김성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7-2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미니 드론을 조종하면서 드론에 부착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받아들여 특정인의 얼굴을 인식하여 확인시켜주는 시스템 개발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OpenCV, Python 관련 라이브러리 및 드론 SDK 등을 사용한다. 실시간 드론 영상으로부터 특정인의 얼굴 인식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딥러닝 기반의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특히 Triples 원리를 활용한다.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저자 얼굴을 기준으로 30회 동안 얼굴 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약 95% 이상의 인식률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물은 관광지, 축제 행사장 등에서 특정인을 드론으로 빠르게 찾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군사혁신(RMA) 사고과정을 적용한 국가중요시설 대드론체계 평가점검표 최적화 (Optimized Evaluation of Counter Drone System for Defending National Major Facilities through a Thinking Process of RMA)

  • 조상근;김기원;손인근;이국;최현호;서강일;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89-793
    • /
    • 2023
  • 대드론체계 평가란 예상되는 다양한 드론위협에 대한 대응능력을 확인하는 것으로 방호대상 시설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고 식별된 미흡사항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최근 북한 소형무인기에 의한 수도권 도발은 사회적 충격을 주었고 대드론체계를 통한 국가중요시설의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연구진은 최근 국가중요시설 중 일부에 대해 대드론 방호능력에 대한 현장검증을 실시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표준화된 평가기준이 없어 군사혁신 사고과정을 통한 대드론체계 평가점검표를 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같이 드론위협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에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대드론체계를 올바르게 진단하기 위해 확인해야 할 사항을 '대드론체계 평가점검표'로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소형드론 위협 사례와 대드론체계 발전방향 (A Case Study on the Threat of Small Drone and the Development of Counter-Drone System)

  • 서강일;김기원;김종훈;조상근;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327-332
    • /
    • 2023
  • 2022년 12월 26일 북한의 드론 도발은 8년 만에 재개되었다. 이번 위협은 수도권은 물론 대통령실 경호를 위한 비행금지구역까지 해당되었으며, 이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이 적절하지 못해 큰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소형드론의 비행 금지 및 제한구역의 불법 침입에 따른 문제점이 점증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테러 공격에 활용되는 등 그 위협이 실체화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드론의 위협에 대해 '대드론(Counter-Drone)' 개념과 이와 관련된 기술을 고찰하고 국내 및 해외의 소형드론 위협 사례를 통해 함의를 도출, 대드론체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북한의 드론위협은 더욱 다종화, 다량화, 고도화되어 보다 대담한 공격 및 도발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 군은 통합관제체계 및 대드론체계의 조기 전력화, 소형드론의 위협에 대응한 합동 및 제병협동 차원의 대응, 한·미 대드론 연합작전 수행능력 등을 추진해 나아가야할 것이다.

미니드론의 영상기반 자동 비행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based Automatic Flight Control of Mini Drone)

  • 선은혜;트랜후루엇트;김동연;김용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536-541
    • /
    • 2015
  • 본 논문은 실내에서 미니드론의 영상기반 자동 비행 및 이 착륙 제어시스템을 제안한다. 천정 카메라와 지면에 마커가 있는 환경에서 미니드론의 자동 비행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천장에 설치된 카메라영상을 기반으로 착륙 위치와 드론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드론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PC서버는 드론의 위치를 계산하여 드론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드론의 비행 제어기는 상태 머신 기법, PID 제어와 웨이포인트-위치 제어기법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실제 미니드론을 사용하여 제안한 자동제어시스템을 검증하였다. 바닥의 마커를 인식하여 ㄱ, ㄷ, ㅁ자 등의 특정 형상의 궤적을 따라 비행하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하였으며, 높이의 차이가 있는 두 개의 착륙지점에도 착륙하는 실험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Real-time collision-free landing path planning for drone deliveries in urban environments

  • Hanseob Lee;Sungwook Cho;Hoon Jung
    • ETRI Journal
    • /
    • 제45권5호
    • /
    • pp.746-757
    • /
    • 2023
  • This study presents a novel safe landing algorithm for urban drone deliveries. The rapid advancement of drone technology has given rise to various delivery services for everyday necessities and emergency relief efforts. However, the reliability of drone delivery technology is still insufficient for application in urban environments. The proposed approach uses the "landing angle control" method to allow the drone to land vertically and a rapidly exploring random tree-based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to generate safe and efficient vertical landing paths for drones while avoiding common urban obstacles like trees, street lights, utility poles, and wires; these methods allow for precise and reliable urban drone delivery. We verified the approach within a Gazebo simulation operated through ROS using a six-degree-of-freedom drone model and sensors with similar specifications to actual models.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s was tested in various scenarios by comparing it with that of stateof-the-art 3D path planning algorithms.

Design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e Drone battery usage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Lee, Sang-Hyun;Yang, Seung-Hak;You, Y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3호
    • /
    • pp.38-44
    • /
    • 2017
  • Currently, wired gables have been installed or portable storage devices have been installed for data acquisition of flying drone.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ology to transmit data wirelessly by sensing information such as battery discharge value, acceleration, and temperature by attaching RF sensor to a dron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d develop the monitoring technology of agriculture drone battery usage in real time using RF senso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check real time data of battery changed value, temperature, and acceleration during pesticide control activity of agricultural drone.

드론 에너지원 전환의 한계 : 규제와 인증을 중심으로 (Limit on transition of energy source for drone : Focusing on regulation and certification)

  • 한상익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7-52
    • /
    • 2022
  • 드론 비행의 위치 인식에 있어 GPS 신호의 절대적 의존성, 비행 안정성, 배터리 한계로 인한 비행시간 문제는 드론 산업 발전의 큰 제약이 되고 있다. 특히 20분 내외의 짧은 임무 비행시간은 드론 활용에 있어 큰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액체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한 드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액체수소 드론개발의 속도보다 현재의 규제 및 인증 제도 개정의 속도가 더뎌 개발 드론의 시험, 인증,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결국 드론 시장 선점의 문제점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소 에너지 기반 드론개발 동향을 분석하며 규제와 인증 제도의 한계점을 소개하고 해결방안을 간략히 제시한다.

AR을 활용한 드론 교육 훈련 게임 콘텐츠 설계 (A Study on the Game Contents Design of Drone Educational Training Using AR)

  • 최창민;정형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83-390
    • /
    • 2021
  • 최근 드론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가능성이 제시되면서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드론 시장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드론 관련 자격증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드론 관련 자격제도 및 교육체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 교육 훈련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관련 기술 연구를 통해 드론 교육의 필요성과 기능성 게임의 특징, AR을 활용한 교육 훈련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AR을 활용한 드론 교육 훈련 게임 콘텐츠를 드론 국가 자격과정 실기시험을 기반으로 연습모드와 시험모드로 구분하고 교육과정이 끝날 때마다 결과화면이 나타나도록 하여 플레이어가 수준별 학습과 스스로 결과에 대해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인식률 및 응답속도 대응을 위한 하이브리드 처리 시스템과 네트워크 및 AR 운용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설계 내용을 토대로 AR을 활용한 드론 교육 훈련 게임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AR을 활용한 게임 콘텐츠를 드론 교육 훈련에 활용하는 것으로 환경적인 어려움이 보다 완화되고 플레이의 몰입감을 향상시켜 좀 더 효과적인 드론 교육 훈련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시간체공 드론 적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연구 (A Study on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Hour-Flight Drone)

  • 최명욱;양승진;임정민;문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69-27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1시간 이상 체공이 가능하도록 드론에 적용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동력시스템은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교류를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동력시스템의 높은 제어성능을 얻기 위하여 분리된 셀을 갖는 배터리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하별 연비와 출력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선정된 발전기의 성능을 연구하였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을 장착한 드론은 중량 대비 출력 비율이 0.82로 계산되었으며, 비행시간은 4,179초 동안 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