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ving scor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1초

운전행동 결정요인을 이용한 위험운전자의 판별 (Discriminating Risky Drivers Using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 오주석 ;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3호
    • /
    • pp.415-433
    • /
    • 2012
  • 본 연구는 위험한 운전행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운전자의 성격과 태도요인, 즉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이들 요인을 통해 위험운전자를 판별해낼 수 있는 타당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성인 운전자 5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섯 가지의 운전행동 결정요인들(문제회피성향, 이익/자극 추구, 대인불안, 대인분노, 공격성)은 운전자의 다양한 위험운전행동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요인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을 위험도에 따라 별개의 집단(일반운전자, 비의도적 위험운전자, 의도적 위험운전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운전자의 성격과 태도와 같은 심리적 요인들을 통해 운전자의 위험행동 수준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룬 운전행동 결정요인 모델과 그 기준 점수체계를 보완한다면, 운전자의 위험성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차별적 안전운전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LPGA 선수들의 시즌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 기술요인 탐색 (An exploration of tour skill factors influential to game results of LPGA players)

  • 손승범;이창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2호
    • /
    • pp.369-377
    • /
    • 2013
  • 이 연구는 미국여자프로골프협회 (LPGA)가 제공하는 경기 기술요인을 통해 어떠한 요인이 선수들의 성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총 9년 간의 성적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대상선수들은 Top 10에 진입한 선수들의 경기 기술요인 사용하였다. LPGA가 제공하는 경기 기술요인 즉, 평균타수, Top10 진입횟수, 평균 퍼팅, 평균 버디, 평균 이글, 드라이버 비거리 및 드라이버 정확도, 그린 적중률, 샌드 세이브율, 그린적중률 당 퍼팅 수를 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들 변인이 시즌랭킹을 결정짓는 획득상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9년 간 LPGA Top 10 선수들의 성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경기 기술요인은 평균타수, 평균퍼팅, 드라이버 비거리, Top 10 진입 횟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별로 살펴본 결과, 2004년 평균타수, 2005년 그린적중률, 2006년 평균 이글, 2007년 Top 10진입횟수, 2008년 평균타수, 2009년 평균퍼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경기 기술요인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은 평균타수, 그린적중률, 그린적중률당 퍼팅 수 순으로 나타났다. 2011년은 평균버디, 2012년은 그린적중률 당 퍼팅 수가 선수들의 시즌성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에 관한 상관성 연구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Safe Driving Behavior in Older Adults)

  • 김희동;고효은;장연식;조남주;백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743-2748
    • /
    • 2014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에 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5세 이상 정상노인 31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의 총점 및 하위요인 간의 상관성이 있는 결과를 가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들은 노화로 인해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의 어려움을 보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운전 행동에 관한 적절한 평가와 작업치료 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프로 골프선수의 TPI Level 1 Test Score에 따른 경기력 수준 분석 (Relationship Between Titleist Performance Institute Level 1 Test and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Golf Players)

  • 김재은;도광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7-35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PI Level 1 test and the performance of KPGA professional golf players. Methods : In 2019, 30 KPGA golf players attempted in the TPI Level 1 test. Their performance was then compared with the test based on the players' aggregated official records on the KPGA website, The most meaningful prize money ranking, average driving distance, fairway landing rate, and average number of putts were consider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Additionally, to obtain the average value of the players' accumulated records, the period from the first game in March 2019 to the end of October was considered. Results : The criteri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was set based on the 9 points of the TPI Level 1 test, which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ize money ranking stood at 63.00±51.77 in the upper group and 113.92±68.79 in the lower group in the TPI Level 1 test,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p<.05) for the upper group (p<.05). The average driving distance was 286.15±10.06 yds for the upper group and 277.39±8.49 yds for the lower group, group, with the driving distanc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group (p<.05). Further, the average number of putts for the upper group was 1.81±.02 and 1.85±.04 for the lower group,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A higher TPI Level 1 test score is likely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value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layers must possess at least 9 out of 17 types of physical abilitie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raining and intervention to acquire these physical abilities are essential.

운전자의 신경증 수준에 따른 상황인식, 안구운동 및 운전수행에서의 차이 (Effects of Neuroticism on Situation Awareness, Eye Movement, and Driving Performance)

  • 강현민;이동훈;이재식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235-248
    • /
    • 2013
  • 운전자의 신경증 수준에 따른 상황인식과 안구운동 및 운전수행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적인 운전장면을 실험자극으로 사용한 실험 1에서는 신경증 수준에 따른 상황인식에서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안구운동의 경우 신경증 저집단에 비해 고집단이 실험자극의 주변영역에 대해 안구고정 시간비율과 안구고정 빈도비율이 모두 낮았다. 실험 2에서는 운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참가자들이 실제 상황에 가깝게 운전하도록 한 후, 신경증 수준에 따른 상황인식, 안구운동, 그리고 운전수행 측정치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 1의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신경증 고집단은 저집단에 비해 상황인식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반면, 실험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신경증 실험자극의 주변영역에 대한 안구고정 시간비율과 안구고정 빈도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운전수행 측정치에 대한 비교 결과, 신경증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차선중앙 이탈값이 더 컸고 평균 운전속도도 더 느렸다.

  • PDF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행동양상 연구 (A Study on Behavior Patterns Between Smokes and Non-Smokers)

  • 김화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9-87
    • /
    • 1990
  • Clinical and epedemiologic studies of coronary heart disease(CHD)have from time to time over the last three decades found associations between prevalence of CHD and behavioral attributes and cigarette smok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reduced to major risk fa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 through prohibition of smoking and control of behavior pattern. The subjects consisted of 120 smokers and 90 non-smokers who were married men older than 30 years working in officers. The officers were surveyed by means of questionnaire September 26 through October 6, 1989.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as a self-administered measurement tool composed of 59 items was made through modifications of Jenkuns Activity Survery(JAS). The Data were analysed by SAS(Statistical Analsis System) program personal computer. The statistical technique used for this study were Frequency, x$^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15 items were chosen with items above 0.3 of the factor loading in the factor analysis. In the first factor analysis 19 factors were extracted and accounted for 86% of the total variance. However when the number of factors were limited to 3 in order to derive Jenkins classification, three factors were derived. There names are Job-Involvement, Speed & Impatience, Hard-Driving. Each of them includes 21 items, 21 and 9,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1. The score of the smoker group and non-smoker group in Job-Involvement(t=5.7147, p<0.0001), Speed & Impatience(t=4.6756, p<.0001), Hard-Driving(t=8.0822, p<.0001) and total type A behavior patter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t=8.1224, p<.0001). 2. The score of type A behavior pattern by number of cigarettes smoked dail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The score of type A behavior pattern by duration of smoking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ers and non - smokers of type A behavior patter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number of cigarettes smoked daily and duration of smoking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this study is needed to adequate nursing intervention of type A behavior pattern in order to elevated to educational effect for prohibition of cigarette smoking.

  • PDF

고령자 연령별 반응속도 및 분리집중력 차이에 대한 비교분석: 운전능력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in Reaction Time and Divided Attention with Elderly Age: Using the Driving Ability Assessment Tool)

  • 우예신;신가인;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3호
    • /
    • pp.53-61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운전능력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운전과 관련된 반응속도와 분리집중력을 평가하여, 고령자의 연령대에 따른 평균점수의 차이 분석으로 추후 고령자의 운전위험여부 진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2019년 8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W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복지관 이용 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운전 평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1차적으로 운전관련 설문지를 작성한 후, 운전평가도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반응속도와 분리집중력과제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수준은 0.1로 설정하였다. 결과 : 전기노인의 반응속도 과제에 대한 반응시간 평균은 0.717초, 후기노인은 0.843초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84). 분리집중력 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은 0.669, 후기노인은 0.695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901). 결론 : 운전능력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고령운전자의 운전 시 반응속도와 분리집중력을 평가할 수 있었고, 향후 운전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운전재활 시기 결정을 위한 K-MBI의 임상적 유용성: 예비 연구 (Clinical Usefulness on K-MBI for Decision of Driving Rehabilitation Period in Patients with Stroke: A pilot study)

  • 박명옥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91-98
    • /
    • 2017
  • 연구배경 및 목적: 수정된 바델지수(MBI)는 지역사회 재활세팅 및 재활 병원에서 흔히 사용되어지는 기본적인 일상생활 평가 도구이다.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노인 혹은 뇌졸중 환자들의 운전 능력과 일상생활활동의 수준은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음을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의 운전능력을 예측함에 있어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상생활 활동 기본 평가인 수정된 바델지수의 유용성을 밝힌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수정된 바델 지수(K-MBI)룰 활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운전 가능성을 알아봄으로서 운전 수행 능력을 예측함에 있어 한국형 수정된 바델 지수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 소재 재활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4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에게 K-MBI 검사를 통해 기본적인 일상생활 활동 수준을 측정하였고 가상현실 운전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전 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운전 시뮬레이터상의 운전 수행 검사의 합격/불합격에 따른 K-MBI 점수의 예측 타당도를 ROC curve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뇌졸중 이후 운전재활을 권고할 만한 기본적인 일상생활 활동 수준은 K-MBI 점수가 최소 86.5점인 경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 재활을 권고하는 시기를 예측함에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Driving Simulator에서 Simulator Sickness의 정량적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ntitative measure for Simulator Sickness in Driving Simulator)

  • 김도회;박민용;이근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1권48호
    • /
    • pp.165-17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to apply new Revised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RSSQ) that is effective quantification tool by revising and complementing SSQ because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SSQ), which is being used generally to quantify Simulator Sickness has several problems. For this study, we reduced 31 symptoms that are related to Simulator Sickness to 22 symptoms and derived weighting for each other from 15 experts. We developed new RSSQ with 22 symptoms and implemented factor analysis by using 142 RSSQ which is questioned before and after getting on simulator. It was classified to four major symptom groups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y are Disorientation, Oculomotor, Nausea, and Confuse. The scoring system of RSSQ provides subscales score of Disorientation, Oculomotor, Nausea, and Confuse as well as total severity. The scoring system of RSSQ which is propos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accuracy of measure compared with an existing scoring system of SSQ, and to contribute with understanding the effect of Simulator Sickness more adequately and clearly.

  • PDF

ICT산업의 식스시그마 추진성과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s of Driving Six Sigma in a ICT Industry)

  • 황기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20-227
    • /
    • 2012
  • The case company has driven the six sigma innovation programme company wide for the last seven years without any stop in spite of the CEO change. There was neither any benchmark nor the sufficient number of internal experts during the initial stage of driving six sigma. However, the company raised a lot of innovation experts such as MBB, BB and GB, thereby successfully changed the way of employees' doing work and reaped an enormous amount of either visible or invisible performances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six sigma innovation programme. This paper deals with both main activities undertaken at each stage of the innovation life cycle of six sigma and their performances in a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 The performances are described from the four aspects of a balanced score card (BSC) and finally some strategic implication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