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ving Simulation

검색결과 1,509건 처리시간 0.042초

퍼지규칙 및 신경망을 이용한 운전 시뮬레이터 개발 (A Development of Driving Simulator using Fuzzy Rules and Neural Network)

  • 홍유식;김태달;김만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9호
    • /
    • pp.142-148
    • /
    • 2006
  • 국내 교통환경과 증가하는 사고 상황을 감안할 때, 사고의 인적 요인을 정확히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사고 운전자를 교정 교육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PDE 기법을 이용한 안전운전과 교정교육을 위한 운전 시뮬레이터 개발 과정 및 결과를 제시한다. 이 운전 시뮬레이터의 개발로 교정교육 대상자는 실제 운전하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운전 적성과 사고 요인을 검사 받을 수 있고, 검사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결함을 교정시킬 수 있는 해설 장면을 선택하여, 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운전 교정교육에 있어 실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최상의 운전 모의 실험기라도, 날씨조건 및 도로조건에 따라서 제동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퍼지규칙 및 신경망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도로조건 및 날씨 조건을 고려한 시뮬레이터가 브레이크 강도조정이 정확하게 산출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동 링크기구 최적설계 분석 및 불균형 대부하 고저 구동/제어 성능추정 프로그램 개발 (Optimal Design Analysis of Driving Link-Mechanism and Development of Control Performance Estimation Program for Unbalance Heavy-Load Elevation Driving System;)

  • 최근국;이만형;안태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4-617
    • /
    • 1995
  • The unbalance heavy-load elevation driving systems are composed of rotating link-mechanism and hydraulic cylinder which actuates elevation and compensates the static unbalance moment of supporting mechanism. Control and compensation of gun driving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se mechanism imply highly nonlinearities due to hydraulic fluid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rotation of link-mechanism.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manufactured link-mechanism, the optimal link-mechanism design of the elevating system is suggested. Also to estimate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unbalance heavy-load elevation servo-control driving system, modeling and simulation of the system are carried out. To prove the reliability of performance estimation program,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Both results are similar, therefore this program will be helpful to study the control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ystem.

  • PDF

OLED Power Driving Simulation Using Impedance Spectroscopy

  • Kong, Ung-Gul;Hyun, Seok-Hoon;Yoon, Chul-Oh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32-35
    • /
    • 2003
  • Nonlinear parameterization of OLED device from measurements of bias dependence of impedance spectra and parameter extraction using Levenberg-Marquardt complex nonlinear least square regression algorithm based on resistor-capacitor equivalent circuit model enables computer simulation of OLED power driving characteristics in forms of square-wave or sinusoidal output signal at arbitrary conditions. We introduce developed OLED power driving simulation software and discuss transient responses in voltage-or current-controlled operations as well as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OLED, by presenting both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This OLED simulation technique using impedance spectroscopy is extremely useful in predicting performance of the nonlinear device, especially in time-domain analysis of device operation.

  • PDF

A STUDY ON THE MODEL-MATCHING CONTROL IN THE LONGITUDINAL AUTONOMOUS DRIVING SYSTEM

  • Kwon, S.J.;Fujioka, T.;Omae, M.;Cho, K.Y.;Suh, M.W.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135-144
    • /
    • 2004
  • In this paper, the model-matching control in the longitudinal autonomous driving system is investigated by vehicle dynamics simulation, which contains nonlinear subcomponents and simplified subcomponents. The design of the robust model-matching controller is perform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 degrees of freedom controller, which is composed of the feedforward compensator and the feedback compensator. It makes the characteristics of tractive and brake force to be equivalent to the specific transfer function, which is suggested as the reference model. Mathematical models of vehicle dynamic analysis including the model-matching control are constructed for computer simulation. Then, simple examples on open-loop simulation without any controller and closed loop simulation with the model-matching controller are applied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robust controller. As the practical example,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dopted. It is proved that the model-matching control is effective and adequate to the disturbances and the perturbations, which are shown in the responses of the change of a vehicle mass and a road gradient.

전기철도차량의 주행 중 에너지 소비 특성 예측 및 분석 연구 (Prediction and Analysis of the Energy Consumption Considering the Electric Railway Vehicle's Driving)

  • 박찬배;이병송;이형우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5호
    • /
    • pp.777-781
    • /
    • 2012
  • In this paper, an electrical power simul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electrical railway propulsion system, which considered the actu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lectric railway vehicles. The developed program was designed to predictable the energy consumption during a virtual driving in the actual route of the virtual railway vehicles equipped with a propulsion system consisting of power conversion equipments and traction motors. In addition, the accuracy verification of the electrical power simulation program for a propulsion system was performed by using a real power consumption data, which was measured during the driving of the railway vehicles in the Gyeongui Line. In conclusion, the electrical power simulation program for a propulsion system was validated throughout a comparative investigation between the simulated values and the experimental values and th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ic railway vehicles on the existing route or the new route will be possible to predict throughout the virtual simulation consider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electric railway vehicles.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농업부산물 수집기 체결장치의 안전성 분석 (Simulation Study on the Safety of a Fastening Device of Agricultural By-product Collector)

  • 김정훈;황석준;남주석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20권3호
    • /
    • pp.42-49
    • /
    • 2023
  • In this study, the safety of fastening device for the agricultural by-product collector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ground conditions by deriving the stress, static safety factor, and fatigue life using dynamic simulation. A 3D modeling of agricultural by-product collector was carried out, and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material properties. As a result of dynamic simulation, the magnitude of the maximum stress generated in the fastening device was the highest when driving on the flat off-road, followed by sloped pave-road and flat pave-road. Static safety factor and fatigue life were the highest when driving on the flat pave-road, followed by sloped pave-road and flat off-road. The safety of fastening device was confirmed that static safety factor was more than 1.0 and service life exceeded 9 years in all driving ground conditions.

운전재활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 이정숙;김보라;하재영;박지민;조예슬;하진리;홍우선;김성원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91-100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which exert influence on cognitive skills by using the Driver Rehabilit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who are over 65 years old and live in Busan. Method : From July first, 2014 to August 28th, 2014, we researched the 60 elderly people who are over 65 and go to community relief center which is in Busan. - 30 ar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is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we used Nintendo wii's driving simulation program and RC Car driving program in the model road. For estimation, we used MVPT-3(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 Trail Making Test - 1, Trail making Test - 2 and LOTCA(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Result : Nintendo wii's driving simulation program and RC Car driving program in model road results efficient visual perception ability. This programs results effectively i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This programs results effectively in motor apraxia ability. This programs results effectively in control ability for visual perception. This programs results effectively in thinking operation. Conclusion : Nintendo Wii's driving simulation program and RC Car driving program in model road positively influence improving for visual perceptual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ople. Also it is considered as being more efficient for improving visual perceptual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to implement basic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than basic training itself.

디지털트윈 기반 실시간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부산 EDC 중심으로 - (A Study on Real-time Autonomous Driving Simulation System Construction based on Digital Twin - Focused on Busan EDC -)

  • 김민수;박종현;심민석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3권2호
    • /
    • pp.53-66
    • /
    • 2023
  • 최근 자율주행 분야에서 실세계와 유사한 디지털트윈 기반의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트윈 기반의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자율주행의 성능 및 기능 검증뿐만 아니라, 딥러닝을 위한 가상 학습데이터 생성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트윈 기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고정밀 데이터 구축과 시스템 개발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3차원 입체모형과 정밀도로지도만을 이용하여 디지털트윈 기반의 실시간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신속히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부산 EDC 지역에 대한 FBX의 3D 입체모형과 NGII HD Map을 CARLA에 통합하는 방법과 CARLA 기능을 추가 및 수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3D 입체모형과 NGII HD 맵을 활용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또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구성, 사용자 맞춤형 주행, 실시간 신호등 상태 시뮬레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도 지원할 수 있다. 향후 광범위한 지역에 대하여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에 시스템의 활용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변성을 고려하는 VENTOS 기반 군집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VENTOS-Based Platoon Driving Simulations Considering Variability)

  • 김영재;홍장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2호
    • /
    • pp.45-56
    • /
    • 2021
  • 군집주행은 여러 대의 자율 주행 차량이 통신을 사용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며 하나의 군집을 이루어 주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군집주행 기술은 더 좁은 차량 간 간격을 유지하며 주행함으로써 도로의 통행량 증대, 에너지 소비 및 오염물질 배출 감소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군집주행의 좁은 차량 간 간격은 긴급한 사고 발생 시 대처를 더 어렵게 만들며, 이에 따라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군집주행의 안전성을 보장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특히 주행 중 나타날 수 있는 가변성은 군집주행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성은 발생 예측이 어렵고, 재현이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가변성으로부터 발생하는 위험 요소를 방지하는 안전대책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군집주행 중에 생겨날 수 있는 가변성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가변성을 고려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가변성을 핸들링할 수 있는 안전 대책을 고안, 적용하였으며, 또한 오픈소스 군집주행 시뮬레이터인 VENTOS를 확장하여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변성으로 인한 군집주행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안전한 군집주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시하는 가변성 대응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은 군집주행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저전력화를 위한 AC형 PDP구동회로의 설계 (Design of AC PDP driving Circuit for Low Power Consumption)

  • 장윤석;최진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014-2019
    • /
    • 2006
  • PDP구동회로는 160V 이상의 고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와 커패시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고전압용 소자의 사용은 PDP 구동회로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기존의 PDP 구동회로는 3개의 공급 전압원과 16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2개의 공급 전압원과 12개의 스위칭 노자를 사용하고, 공급 전압도 기존의 공급 전압보다 낮은 공급 전압을 사용하는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력 주파수가 70kHz에서 100kHz일 때 45V 이상의 공급전압을 사용한다면 PDP 셀 구동을 위한 충분한 크기의 신호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