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ver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849건 처리시간 0.038초

SoC 액츄에이터 IP 구동을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Device driver for SoC actuator IP driving)

  • 강상우;박종성;문철홍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407-410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an embedded system to put a SoC actuator IP in motion and linux drivers. The If that a embedded linux among embedded OS is ported is implemented as linux driver. The actuator IP is controlled by application programming. To make users use this easily, a QT is ported on the system. Application program can operate the actuator IP device driver on TFT LCD.

  • PDF

차내 정보의 문자 표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On-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 권오규;심동규;박래홍;이상영;이순재;구본상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61-168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the on-vehicle information system that displays the states of the vehicle in brief words instead of symbols. Main functions of this system include a system check function, trip function, warning function, and clock function. With this system, a driver can obtain all sorts of useful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conditions of the vehicle, and if any problem arises in the vehicle, he can recognize it by the displayed words with a warning sound. Also, this system is very helpful for safety driving because it displays whatever a driver wants to have concerning trip information. By experimental test and driving test, the development system shows good results for each function.

  • PDF

사용자 수준의 단말기 구동기 모델 (TTY Device Driver Model of User-Level)

  • 이형주;임성락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6호
    • /
    • pp.815-822
    • /
    • 1995
  • 기존의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모든 장치의 구동기가 커널 내부에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구동기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구동기를 변경할 경우 커널 내부의 수정 작업이 불가피하다. 일반적으로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커널내 부의 수정 작업이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으로써 사용자 수준의 단말기 구동기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한 모델의 기본 개념은 단말기 구동기를 사용자 수준의 서버로 구현함으로써 새로운 단말기 구동기의 동적 재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시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 수준의 단말기 구동기를 SunOS 와 Linux 환경에서 구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실시간 운전 특성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차량 환경 개발 (Development of Vehicle Environment for Real-time Driving Behavior Monitoring System)

  • 김만호;손준우;이용태;신승헌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24
    • /
    • 2010
  • There has been recent interest in intelligent vehicle technologies, such 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s) or in-vehicle information systems (IVISs) that offer a significant enhancement of safety and convenience to drivers and passengers. However, unsuitable design of HMI (Human Machine Interface) must increase driver distraction and workload, which in turn increase the chance of traffic accidents. Distraction in particular often occurs under a heavy driving workload due to multitasking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like a cell phone or a navigation system while driving. According to the 2005 road traffic accidents in Korea report published by the ROad Traffic Authority (ROTA), more than 60% of the traffic accidents are related to driver error caused by distraction. This paper suggests the structure of vehicle environment for real-time driving behavior monitoring system while driving which is can be used the driver workload management systems (DWMS). On-road experiment results showed the feasibility of the suggested vehicle environment for driving behavior monitoring system.

자율차량 안전을 위한 긴급상황 알림 및 운전자 반응 확인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the Emergency-notification and Driver-response Confirmation System(EDCS) for an autonomous vehicle safety)

  • 손수락;정이나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34-139
    • /
    • 2021
  • 현재 자율주행차량 시장은 3레벨 자율주행차량을 상용화하고 있으나, 여전히 운전자의 주의를 필요로 한다. 3레벨 자율주행 이후 4레벨 자율주행차량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차량의 안정성이다. 3레벨과 다르게 4레벨 이후의 자율주행차량은 운전자의 부주의까지 포함하여 자율주행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가 부주의한 상황에서 긴급상황을 알리고 운전자의 반응을 인식하는 자율차량 안전을 위한 긴급상황 알림 및 운전자 반응 확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긴급상황 알림 및 운전자 반응 확인 시스템은 긴급상황 전달 모듈을 사용하여 긴급상황을 텍스트화하여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하며 운전자 반응 확인 모듈을 사용하여 긴급상황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을 인식하고 운전 권한을 운전자에게 넘길지 결정한다. 실험 결과, 긴급상황 전달 모듈의 HMM은 RNN보다 25%, LSTM보다 42.86% 빠른 속도로 음성을 학습했다. 운전자 반응 확인 모듈의 Tacotron2는 deep voice보다 약 20ms, deep mind 보다 약 50ms 더 빨리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했다. 따라서 긴급상황 알림 및 운전자 반응 확인 시스템은 효율적으로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키고, 실시간으로 운전자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주행정보를 활용한 스마트 자동차 자가 점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 a Smart Automobile Self-Diagnosis System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 김민영;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153-2159
    • /
    • 2013
  • 자동차를 안전운행하기 위해선 운전자는 항상 자동차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많은 현대인이 자신의 주된 업무 이외에 시간을 따로 할애하여 전문 정비 업소에 방문해 자신의 자동차 상태를 점검받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지속적으로 자동차 상태를 점검 받지 못하면 운전자 자신의 생명은 물론 주변의 상황까지 어렵게 만드는 큰 사고를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 스스로 자동차 상태를 손쉽게 확인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점검 도구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운전 중 변화하는 데이터(위치 및 자동차 내부 데이터)를 근거로 주행정보를 기록 후 스마트폰을 활용해 운전자가 스스로 자동차 상태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고, 좀 더 나아가 인터넷을 이용해 주행정보를 전문 정비업소에게 공유하여 자동차 상태를 자세히 점검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영상 인식 및 생체 신호를 이용한 운전자 졸음 감지 시스템 (Driver Drowsiness Detection System using Image Recognition and Bio-signals)

  • 이민혜;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859-864
    • /
    • 2022
  • 매년 교통사고의 가장 큰 원인으로 손꼽히는 졸음운전은 운전자의 수면 부족, 산소 부족, 긴장감의 저하, 신체의 피로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동반한다. 졸음 유무를 확인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운전자의 표정과 주행패턴을 파악하는 방법, 심전도, 산소포화도, 뇌파와 같은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영상을 검출하는 딥러닝 모델과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이용한 운전자 피로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일차적으로 딥러닝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눈 모양과 하품 유무, 졸음으로 예상되는 신체 동작을 파악하여 졸음 상태를 감지한다. 이차적으로 맥파 신호와 체온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피로 상태를 파악하여 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간 영상에서 운전자의 졸음 유무 판별이 안정적으로 가능하였으며 각성상태와 졸음 상태에서의 분당 심박수와 체온을 비교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FUZZY-BASED APPROACH FOR TRAFFIC JAM DETECTION

  • Abd El-Tawaba, Ayman Hussein;Abd El Fattah, Tarek;Mahmood, Mahmood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257-263
    • /
    • 2021
  • Though many have studied choosing one of the alternative ways to reach a destination, the factors such as average road speed, distance, and number of traffic signals, traffic congestion, safety, and services still presents an indisputable challenge. This paper proposes two approaches: Appropriate membership function and ambiguous rule-based approach. It aims to tackle the route choice problem faced by almost all drivers in any city. It indirectly helps in tackling the problem of traffic congestion. The proposed approach considers the preference of each driver which is determined in a flexible way like a human and stored in the driver profile. These preferences relate to the criteria for evaluating each candidate route, considering the average speed, distance, safety, and services available. An illustrative case study demonstrates the added value of the proposed approach compared to some other approaches.

실시간 지능형 운전자 건강 및 주의 모니터링 시스템 (Real-time Intelligent Health and Attention Monitoring System for Car Driver)

  • 신흥섭;정상중;서용수;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303-1310
    • /
    • 2010
  • 최근 운전자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졸음운전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부품관련 센서개발 및 시스템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운전자의 건강 상태 및 졸음운전을 점검하기 위해 체스트벨트 심전도 (ECG)와 손목착용형 산소포화도 (SpO2) 센서를 제작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심전도, 산소 포화도, 그리고 심장박동수 신호는 무선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수집, 전송 및 모니터링 등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원격지인 서버 PC와 연결된 베이스스테이션으로 수집된 심전도와 용적맥파 신호에서 HRV (Heart Rate Variability, 심박변이도) 신호를 검출하였으며, 검출된 HRV 신호를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의 해석을 통하여 운전자의 스트레스 지수 및 졸음 상태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졸음상태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형태의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수동 AVI 기술을 이용한 다중목표물의 인식 (Recognition of Multi-Target Objects Using Passive AVI Techniques)

  • 조동욱;김주원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970-197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수동 AVI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 판과 운전자 얼굴을 동시에 인식하는 시스템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환경에 불편인 전처리과정 알고리즘의 제시와 목표영역이 되는 차량 번호판 영역과 운전자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후 목표영역에서 문자 영역분리와 인식 파라미터 추출을 행하고 차량 번호판의 경우 원형 정합으로, 운전자 얼굴 영역의 경우 퍼지 관계 행렬을 생성하여 최종적인 인식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환경에 불변인 전처리과정의 수행과 기존의 AVI 시스템에서 차량 번호 판만을 인식했던 것을 운전자 얼굴 인식까지 행함으로써 기존 AVI 시스템의 적용성 확대를 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