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ver Behavior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2초

생체신호 측정을 통한 운전자의 감정적 안정상태 평가 (Assessment of Driver's Emotional Stability by Using Bio-signals)

  • 김정룡;박지수;윤상영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03-211
    • /
    • 201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methodology to assess driver's emotion stability by using bio-signals. Background: Psychophysiological analysis of driver's behavior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driving safety and comfort. However, the variability of bio-signal and individual difference made it difficult to assess the psychophysiological status of drivers that can be expressed as emotional stability of drivers. Method: Two experimental studies were reviewed and summarized. New techniques assessing emotional stability of drivers were explained. Statistical concept and multidimensional space were used to identify the emotionally stable conditions. Conclusion: Psychophysiological approach can provide information of driver's emotional status. The experimental methodology and algorithm used in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parameterization of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Application: Currently measured statistical and geometrical data can be further applied to develop an interactive device monitoring and reacting driver's emotion when driver experiences emotionally unstable or uncomfortable situation.

MOS 로직 및 타이밍 시뮬레이션을 위한 데이타구조 및 알고리즘 (A data structure and algorithm for MOS logic-with-timing simulation)

  • 공진흥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3A권6호
    • /
    • pp.206-219
    • /
    • 1996
  • This paper describes a data structure and evaluation algorithm to improve the perofmrances MOS logic-with-timing simulation in computation and accuracy. In order to efficiently simulate the logic and timing of driver-load networks, (1) a tree data structure to represent the mutual interconnection topology of switches and nodes in the driver-lod network, and (2) an algebraic modeling to efficiently deal with the new represetnation, (3) an evaluation algorithm to compute the linear resistive and capacitive behavior with the new modeling of driver-load networks are developed. The higher modeling presented here supports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ompatibility with the linear switch-level to simulate the logic-with-timing of digital MOS circuits at a mixed-level.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egrate the new approach into the existing simulator RSIM, which yield a mixed-klevel logic-with-timing simulator MIXI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1) MIXIM is a far superior to RSIM in computation speed and timing accuracy; and notably (2) th etiming simulation for driver-load netowrks produces the accuracy ranged within 17% with respect ot the analog simulator SPICE.

  • PDF

퍼지로직을 기초로한 차량 조종안정성 평가를 위한 예측 운전자 모델 (A Preview Predictor Driver Model with Fuzzy Logic for the Evaluation of Vehicle Handling Performance)

  • 김호용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09-219
    • /
    • 1997
  • A fuzzy driver model based on a preview-predictor and yaw rate is developed. The model is used to investigate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wo wheel steering system(2WS) and four wheel steering system(4WS) vehicles. The two degree-of- freedom model which has yaw and lateral motion predicts the path of the vehicles. Based upon the yaw rate and lateral deviations, the fuzzy engine describes the human driver's complicated control behavior which is adjusted for the driving environment. Both typical single lane change maneuver and double lane change maneuver are adopt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fuzzy driver model.

  • PDF

운전자 행태를 고려한 VMS의 실시간 경로안내 정보제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viding Real-Time Route Guidance Information by Variable Massage Signs with Driver Behavior)

  • 이창우;정진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65-79
    • /
    • 2006
  • ITS 의 한 분야인 첨단교통정보체계 (ATIS: Advance Traveler Information System)는 운전자들에게 통행 전 (pre-trip). 통행 중 (en-route)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운전자의 경로선택과정에 영향을 미쳐 도로망의 교통량 분산효과를 추구하는 시스템이다. 이중 도로상에서 운전자가 진행하는 방향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VMS 는 ATIS의 정보제공방안중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때 VMS의 정보제공목표는 단순현황정보만을 제공하는 운전자 편의측면과 교통수요를 관리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증진시키는 시스템 제어측면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하지만 보다 효율적인 도로전광표지의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시스템제어 측면의 정보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통관리시스템(traffic management system)으로서 VMS 핵심적인 관리전략은 혼잡 (traffic congestion) 또는 돌발 상황(incident)발생 시 지체 (delay)를 최소하기 위한 교통우회전략(Traffic Diversion Strategy)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통상황 (network traffic condition)에 따라 적정한 우회교통량 (diversion traffic volume) 의 산정이 선행되어야 하고 둘째, 이러한 우회교통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VMS 정보내용 (VMS massage contents)에 따른 운전자의 행태(driver response behavior)가 반영된 정보제공전략 (providing information strategy)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발 상황 발생에 의해 혼잡이 야기될 때 VMS 실시간 경로안내 정보제공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첫째로, CA(Cellular Automata) 기반 교통류 사율레이션을 모형을 이용뼈 통행시간 및 대기행렬의 변화가 반영된 시간대별 시스템 최적경로 전환율을 산정하였다. 둘째로, 이항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운영자가 제어할 수 있는 정보특성에 대한 경로전환행태 모형 (route choice behavior model) 을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최적상태 (system Optimum)의 달성을 위한 VMS의 시간대별 정보내용 및 강도를 결정하였다.

고령운전자의 자기-평가 안전운전행동, 운전이동성 및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lder Driver's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Driving Mobility & Subjective Well-Being)

  • 주미정;이재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4호
    • /
    • pp.281-3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의 자기-평가 안전운전행동과 운전이동성(이동량, 안전운전능력, 상황적응능력 및 사회활동)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다. 65세 이상의 남녀 고령운전자 14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기보고식 노인 안전운전행동 척도, 고령자 이동성 척도, 그리고 두 가지의 주관적 안녕감 척도(삶의 만족, 긍정 정서/부정 정서 척도)를 이용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를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평가 안전운전행동 점수가 높은 고령운전자는 주관적 안녕감도 높았다. 둘째, 자기-평가 안전운전행동 점수가 높은 고령운전자들은 운전이동성 전체 점수뿐만 아니라 물리적 이동량을 제외한 모든 운전이동성 하위요인에서의 점수도 높았다. 셋째, 물리적 이동량을 제외한 운전이동성의 하위요인 점수들, 그리고 운전이동성 전체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이나 정적 정서 점수는 높은 반면 부적 정서 점수는 낮았다. 넷째, 자기-평가 안전운전행동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에서 운전이동성의 전체점수와 이동성의 하위요인 중 물리적 이동량을 제외한 안전운전능력, 상황적응능력, 사회활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안전운전능력과 상황적응능력은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완전매개한 반면, 안전운전능력과 사회활동은 부정 정서를 부적으로 완전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도심 지하도로 유입연결로 합류부 주행행태 분석 (An Investigation for Driving Behavior on the On-Ramp Merging Section in Urban Underground Roads Using a Driving Simulator)

  • 정승원;김수환;이동민;정근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97-114
    • /
    • 2022
  • 지하도로의 유입연결로 합류부는 지상도로와 달리 터널로 인하여 시계확보에 제약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확보에 관련 설계요소가 합류부 주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가상주행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상주행환경 구축시 시계확보 설계요소를 시나리오에 반영하기 위하여 갈매기차로 길이와 본선차량 접근속도를 시나리오로 구분하여 운전자 주행행태를 분석하였다. 시나리오간 속도 측면의 분석지표와 차로변경지점, 운전자 주시 비율 분석결과는 일관성 있는 방향으로 도출되었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선 접근속도가 더 높은 시나리오에서 갈매기차로 길이에 의한 특정 시나리오 사이에 운전자 주행행태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도로 유입연결로 합류부의 주행안전성 향상을 위한 설계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계학습 모델과 설문결과를 융합한 공격적 성향 운전자 탐색 연구 (A Study of Aggressive Driver Detection Combining Machine Learning Model and Questionnaire Approaches)

  • 박귀우;박찬식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61-37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공격적 성향의 운전자를 판단할 수 있는 기계학습 방식과 설문지 방식을 융합한 운전자 성향 판단 연구의 일환으로 두 방법으로 결정된 운전자 성향정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30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주관적 성향을 정보를 수집하고 기계학습 기반의 성향판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객관적 성향을 취득하였다. 이 중에서 기계학습 기반의 성향판단 시스템은 운전자행위 성향 분류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가속 패달과 브레이크 패달 조작 데이터와 HMM 기법을 이용한 기계학습을 수행하였다. 두 가지 방법으로 추정한 공격적 성향정보를 Pearson 방식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객관적 성향은 동일한 운전자에 대하여 고유한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결과는 향후 두 방법을 융합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운전자의 공격적 성향이 주의어시스트, 운전자 식별, 도난방지 등 지능형 운전자 보조시스템에도 응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속도로 합류부에서 운전자의 심리.생리적 작업 부하 연구 (Evaluation of Driver's Psychophysiological Load at Freeway Merging Area)

  • 김주영;장명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9-7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의 기본구간과 비교해 볼 때, 고속도로 합류부에서의 운전자의 각성정도의 변화를 생리적 신호 중 후두엽부(Occipital Lobe)의 뇌파 중 $\beta$파를 측정하여 정량화하여 살펴보았다. 고속도로 기본구간 3지점과 합류부 구간 3지점에서 실험차량을 이용하여 남자 8명, 여자 2명, 총 10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고속도로 운전자는 합류부 구간(램프주행구간, 가속차로시점에서 합류직전 구간, 합류부 영향이 남아 있는 주행구간)에서 운전시 기본 주행구간에 비하여 가속차로 시점에서 합류 직전구간에서 2.21배로 가장 큰 각성정도를 보였다. 또한 고속도로 운전자는 합류를 완료한 후에 4초간 합류과정으로 인한 영향이 남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운전자들은 고어지점으로부터 80m구간이내에서 합류하는 것이 충분한 가속주행을 한 것보다 더 각성 정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