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p loss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7초

점적관개용 디스크 여과기의 디스크 홈 단면 형상에 따른 수두 손실 특성 분석 (Analysis of Disk Filter Head Losses due to the Shapes of Disk Grooves in Drip Irrigation System)

  • 정승연;최원;최진용;김마가;이윤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2호
    • /
    • pp.25-36
    • /
    • 2018
  • Drip irrigation system is a low energy cost method which can efficiently save and supply water by dropping water slowly on the crop's root zone during crop growth. In the drip irrigation system, disk filters take an important role to physically remove impurity (inorganic and suspended organic) particles present in agricultural water which can cause emitter clogging. For the purpose, both top-and-bottom surfaces of the disk are grooved in micron size flowing from outside to inside. However, many congested flow paths in disk filter media incur higher head loss of inflow water resulting in relatively decreasing velocities depending on operation time than sand and mesh filt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optimize the structure of disk filter in micro irrigation system. The head loss of disk filter media takes also charge of more than 60 % of total head loss in whole disk filter. This study is to find the appropriat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isk groove to minimize the head loss by executing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used three disk filters that have similar filter body but have a half-elliptic and two kinds of triangular cross sec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disk filter with half-elliptic cross sections of disk grooves have less head loss than the disk filter with regular triangular one.

PSE돈육 드립의 열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hermal Stability of Free Drip Released from PSE Pork Muscle)

  • 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6-151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n the thermal denaturation of free drip released from pork loin during chilled storage using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m of drip released from normal pork(NORD) was characterized by a minor peak and two major peaks with temperature maxima at $61.5^{\circ}C$, $71.7^{\circ}C$ (associated with sarcoplasmic proteins) and $84.3^{\circ}C$ (associated with protein-protein interaction and aggregation). In the denaturation temperature of drip released from PSE pork (PSED), the peak(Tmax) at $59.0^{\circ}C$ was reduced by $2.5^{\circ}C$. When the thermograms were divided into segments correponding to the three peaks, $\Delta$H2 was shown to be reduced by 10% in PSED as compared to NORD. With the decrease in the solubility of sarcoplasmic proteins in PSE muscle, there was a corresponding increase the drip loss during the storage.

  • PDF

재동결 명태육의 냉동변성에 미치는 축합인산염처리의 효과에 대하여 (EFFECTS OF CONDENSED PHOSPHATES ON THE DENATURATION OF ALASKA POLLACK MUSCLE DURING REFREEZING AN COLE STORAGE)

  • 강영주;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5
    • /
    • 1975
  • 재동결 명태육의 냉동변성에 미치는 축합인산염처리의 영향을 밝히고져 북양산 냉동명태를 해동하여 fillet로 만든 후 sodium polyphosphate 및 sodium polyphosphate: sodium pyrophosphate(1:1, w/w) 용액에 농도별, 시간별로 침지처리하여 동결저장한 후 해동하였을 때의 육중에 흡수된 인산염량, free drip, expressible drip, drip중의 total solid, total nitrogen 및 DNA함량, 해동시의 fillet의 관능적품질 및 가열조리시 중량감소 등을 실험하여 육질변성의 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1. 해결전 처리에 의한 육중의 인산염흡수량은 침지시간보다 처리액농도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본 실험 조건하의 전처리육의 인산염함량은 모두 FAO/WHO의 허용기준량이하였다. 2 Drip의 발생량은 육중의 인산염량와 역상관계를 나타 내었고 drip감소에 가장 효과적인 처리조건은 $10\%$, sodium polyphosphate액에 5분간 침지한 것으로 무처리때의 drip 량의 약 $14\%$ 였다. 3. Drip중의 total solid, total nitrogen 및 DNA 함량은 대체적으로 drip량에 비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DNA 감소에 미치는 축합인산염처리의 효과는 컸다. 4. 해동한 fillet의 관능적품질은 고농도처리액에 처리한 것은 광택이 있고, 육질은 강성이 있어 양호하였으나, 저농도액에 처리한 것 및 무처리의 것은 광택과 강성이 좋지 못 하였다. 5. 가열조리시의 감량은 고농도처리액에 장시간 처리한 것은 감량제어의 효과가 다소 있는 듯하였으나, 저농도액에 처리한 것을 그 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수출용 진공포장 돼지고기의 저장기간 중 pH, 육즙손실 및 미생물의 변화 (Changes of pH, Drip Loss and Microbes for Vacuum Packaged Exportation Pork during Cold Storage)

  • 진상근;김일석;하경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1-205
    • /
    • 2002
  • 일본 수출용 돼지고기 6개 부위 (등심, 안심, 목심, 도가니살, 볼깃살, 설깃살)를 진공포장한 후 0$\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30일에서 55일까지 pH, drip loss, 총 세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부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저장 30일에는 목심과 도가니살이 다른 부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pH를 나타내었으며(P<0.05), 저장 55일에는 안심, 목심, 도가니살 및 설깃살이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나타내었다(P<0.05). 또한 목살은 전 저장기간동안 가장 높은 pH 수준을 나타내었다. 육즙손실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부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목심 부위가 전 저장기간동안 가장 낮은 육즙손실을 나타내었고, 볼깃살이 전체적으로 높은 육즙손실을 나타내었다. 총 세균수는 전 부위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미생물 수준은 등심이 낮은 2.70 log10CFU/$\textrm{cm}^2$ 수준을 나타내었고, 목심 부위에서 4.88 log10CFU/$\textrm{cm}^2$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부위별 미생물 수를 보면 등심과 목심 부위가 전 저장 기간동안 다른 부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세균수를 나타내었으며(P<0.05), 볼깃살이 낮은 총 세균수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수는 대부분의 부위에서 저장45일에 높게 나타났으며,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부위별로 보면 저장30일에는 안심이 전 저장 기간에 걸쳐 유의적으로 높은 대장균군수를 나타내었고(P<0.05), 저장 45일에는 안심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본 수출용 돈육 5개 부위에서 목심부위가 육즙손실은 적으나 안심과 같이 미생물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해 처장기간이 다른 부위육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짧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수출돈육의 품질과 위생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위에 대한 미생물 오염을 낮출 수 있는 세심한 현장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버크셔종의 육질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Genetic Parameter Estimates for Meat Quality Traits in Berkshire Pigs)

  • 정종현;김철욱;박범영;최종순;박화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289-296
    • /
    • 2011
  • 본 연구는 2004년~2008년에 미국에서 도입한 버크셔종의 육질 형질에 대한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선발에 이용한 유전적 그룹(genetic group)을 분리하여 선발 및 교배계획을 체계적으로 세워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전략을 세우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후 대사율의 척도인 근육의 사후 45분 pH, 24시간 pH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60과 0.61로 높게 조사되었다. 육색의 척도인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의 유전력은 0.56, 0.58 및 0.62로 조사되었다. 근내지방도, 유리육즙량과 가열감량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57, 0.51 및 0.66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육질형질의 개량에 있어 육종가를 기초로 하여 선발에 활용할 경우 유전적 개량량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사후 대사율의 척도인 pH와 육질형질과의 상관도는 높은 연관성이 존재하므로, 종돈장에서 육질형질을 개량하고자 한다면 육종가를 기반으로 한 선발지수(selection index)를 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필자는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유전모수를 추정하는데 다소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국내 최초로 돼지의 육질형질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하는데 있어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Effects of pH Early Postmortem on Meat Quality in Beef Longissimus

  • Hwang, I.H.;Tompson, J.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218-1223
    • /
    • 2003
  • The effects of type (high and low voltages) and time (3, 40 and 60 min postmortem) of stimulation on drip loss and meat color at 24 h post-mortem were determined on M. longissimus dorsi of 38 crossbred steers and heifers. In addition, the effect of pH early postmortem (70 min postmortem) on the rate and extend of meat tenderization was examined. Either high or low voltage stimulation at 3 min showed a tendency for faster pH decline (p=0.052) and higher drip loss (p=0.08), and improved the color dimensions of L*, a* and b* (p<0.01), compared to stimulation at 40 min. This was equivalent to approximately one unit of an AUSMEAT color chip.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decline between high voltage stimulation at 40 and 60 min, and between low voltage stimulation at 40 min and control sides, drip loss and meat colo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The results suggested that early application of stimulation, regardless of type of stimulation, improved overall meat color at 24 h postmortem through its effect on faster glycolysing rate. However, if the pH decline was moderate, the benefi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meat color was not apparent. An intermediate pH decline resulted in the lowest shear force. Due to differential ageing rates the optimum pH at 70 min postmortem increased with ageing time from 5.96, 6.07, 6.12 and 6.14 for 1, 3, 7 and 14 days postmortem, respectively. This implied that a small difference in the rate of pH decline was important, especially carcasses stimulated for very early postmortem, and the optimum rate of pH decline varied with intended ageing period. The study suggests that the beneficial or advers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drip loss, meat color and tenderness is determined by the rate of pH decline, rather than by stimulation treatment and time of application per se.

Lactococcus lactis ATCC l1454로 처리한 냉장돼지 고기 등심의 2-Thiobarbituric Acid, Color 및 육즙유출의 평가 (2-Thiobarbituric Acid, Color and Drip Loss Evaluations of Refrigerated Pork Loins Treated with Lactococcus lactis ATCC l1454)

  • 김광현;김창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64
    • /
    • 2001
  • 돼지고기 등심의 표면에 Lactococcus lactis subsp. Jactis ATCC l1454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의 처리구는 4$^{\circ}C$ 저장 1일 이후 대조구의 TBA가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color L*과 b*가는 저장 동안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a*가는 4$^{\circ}C$ 저장 1일과 6일 이후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육즙유출율은 4$^{\circ}C$ 저장 4일 이후부터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IIIa 회장 폐쇄증 환자에서 원위부 회장루를 통한 근위부 공장루 분비물의 지속적 점적 영양 관리 1례 (Continuous Distal Ileostomy Drip Feeding with the Secretion of the Proximal Stoma in a Neonate with IIIa Ileal Atresia)

  • 양은석;최윤창;김은영;문경래;장정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2호
    • /
    • pp.260-263
    • /
    • 2004
  • IIIa형 회장 폐쇄증 환자에서 수술 후 경구 수유와 원위부 회장루를 통한 지속적인 위장관 영양의 병행으로, 하부 위장관 성장을 도모하고 총 정맥 영양의 합병증 등을 감소하였으며 정상적으로 체중이 증가한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hanges in the quality of pork loin after short-term (ten-day) storage in a supercooling refrigerator

  • Park, Chun Ho;Park, Hye Sook;Yoon, Kyungah;Choe, Jeehw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884-891
    • /
    • 2021
  • The study aimed to evaluate pork loin quality after short-term (ten-day) storage in a supercooling refrigerator. Pork loin samples were stored for 10 days in a traditional refrigerator (control)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supercooling refrigerator (SC). Pork quality measurements included meat pH, meat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drip loss and cooking loss), tenderness (hardness), and a sensory evaluation. Temperature changes of 0.45 ± 0.2℃ and 0.02 ± 0.25℃ occurred in the control and the SC, respectively, during 10 days of storage. The temperature in the SC chamber did not remain below freezing point, failing to meet expectations. Regarding the pork quality measurements, only the drip losses in the control and the S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4.45% vs. 2.59%, p < 0.01) after 10 days of sto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refrigerator in terms of the other measurements. Additionally,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pork loin did not vary significantly between the control and the SC when th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Therefore, a commercial SC could prove beneficial in terms of water holding capacity during the short-term storage of me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to evaluate quality changes that occur during long-term storage of meat in SC s and evaluate a wide range of meat, such as beef and chicken.

울주군 한우봉계 생고기의 품질연구 (Quality research of Korean beef Bong-Gye native meat in ooljykun)

  • 채영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7-67
    • /
    • 2001
  • 본 실험은 울산광역시 두동면 봉계리 한우 냉장육의 품질비교를 위해 pH, 색도, 보수력(Water-holding capacity) 드립감량(Drip loss) 가열감량(Cooking loss) 전단력측정(Shear force) 관능검사(Pan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장(냉장온도 2$^{\circ}C$)기간에 따른 pH의 변화는 1, 3일과 5, 7일간의 유의적 차이는 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2. 저장기간에 따른 L*, a*, b*값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3. 저장기간에 따른 드립감량은 저장기간별로 증가하여 차이가 있었고, 가열 감량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4. 저장기간에 따른 전단력의 차이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5. 관능검사에서 전체적인 선호도는 저장 1일차가 가장 좋았고 그 다음이 3일 차로 나타났으며 3일차와 5, 7일차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