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excess item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서부경남지역 음용 지하수 관리 실태 및 지역적 특성에 관한 비교 고찰 (Study on Water Quality Management of Drinking Groundwater and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West Gyeong-Nam)

  • 박현건;박지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3-109
    • /
    • 2015
  • The characteristics of drinking groundwater at west Gyeong-nam were analyzed by investigating 3,698 cases which were carried out from January 2008 to september 2013. 24.5% of the observed data exceeded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Among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40 parameters were found to exceed. and most problematic were total coliform and HPC(Heterotrophic Plate Count). The unfit ratio of each region for drinking water were 23.1% at Geoje, 18.7% at Geochang, 28.5% at Goseong, 24.1% at Namhae, 32.8% at Sacheon, 20.5% at Sancheong, 36.9% at Uiryeong, 29.2% at Jinju, 40.9% at Tongyeong, 24.7% at Hadong, 20.6.% at Hamyang, 20.1% at Hapcheon. The result of correlation showed that rainfall and unfit ratio of HPC may be associated with the hydrologic durability and season.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0.304. During the summer,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0.699. Bu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coliform and rainfall was not found.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광주지역 민방위비상급수용 지하수 수질 오염도 분석 및 시각화 연구 (Visualization and contamination analysis for groundwater quality of CDEWSF in Gwangju area using statistical method)

  • 장서은;이대행;김종민;김하람;정숙경;배석진;조영관
    • 분석과학
    • /
    • 제31권3호
    • /
    • pp.122-13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 민방위비상급수시설 101 개소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11년 동안 측정한 지하수 수질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시설별로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횟수와 평균농도 분석 및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4 개의 오염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토지이용 현황별로 각 항목의 지하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민방위 비상급수 15 개 항목에 대한 수질기준초과횟수, 평균농도분석, 경향성분석의 세가지 오염지시인자를 분석하여 합산한 결과 Turbidity (51.5 %) > Color (32.7 %) > Nitrate nitrogen (28.7 %) > Hardness (25.7 %) 순으로 오염 지시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오염등급 분석결과 안전(0)부터 오염심각(3)까지 오염등급이 다양하게 분포한 Turbidity, Color, Nitrate nitrogen의 3 개 항목을 제외하면 12 개 항목의 수질 오염등급은 전체의 25 %는 '오염가능한 등급(1)'으로, 75%는 '안전한 등급(0)'으로 평가되었다. QGIS를 이용하여 오염 지시율이 높게 평가된 4 개 항목(Turbidity, Color, Nitrate nitrogen, Hardness)은 오염지도에 작성하여 오염등급을 시각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