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noodle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9초

모시잎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Made with Boehmeria nivea Powder)

  • 박복희;김금여;조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5-382
    • /
    • 2014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wh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oehmeria nivea powder were added to wheat flour. Cooking quality, mechanical textural properties, and viscosity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the prepared noodles. The gelatinization points of the composite Boehmeria nivea powder-wheat flours increased. The viscosity at $95^{\circ}C$, viscosity at $95^{\circ}C$ after 15 minutes, and maximum viscosity values of the samples decreased, as the Boehmeria nivea powder content increased as measured via amylography.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and 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Boehmeria nivea powder. Further, the color values, weight and volume of the cooked noodles increased, along with the turbidity of the soup with increasing amounts of Boehmeria nivea powder. Regarding textural characteristics, Boehmeria nivea powder additive increased hardness and reduced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Overall, noodles prepared with 15% Boehmeria nivea powder were preferred compared to other nood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

면류용 알칼리제 처리가 건면의 조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kali Salts Adding on the Cooking Quality in Dried Noodles)

  • 문태용;이성갑
    • 기술사
    • /
    • 제33권3호
    • /
    • pp.71-79
    • /
    • 2000
  • The effects of alkali salts adding on the cooking quality improving in dried noodles were investigated in the good texture maintaining for preventing solid soluble losses ,through chemical analysis and actual manufacturing practi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Experiments were took a special flour of ASW:DNS=70:30, thickening agent(TA) composed of K2CO3 58%, Na2CO3 36% and Na4P2076%, and emulsified oil(EO) mixing of corn oil 44%, polysorbate 23%, emulsifier(ester of glycerin and fatty acids) 21%, soy lecithin 12%. When the mixing ratio of TA and EO to flour, is 0.03 and 1.5%(w/w) or morel than, satisfied the good quality. The water soluble solid matters content of the lowest 3.2% in the treating group that TA and EO is 0.03 and 1.5%(w/w) respectively, comparing to the 7.3% in the control group provides a excellent cooking quality. The research achieves the similar effects at specific gravity, water absorption ratio, weight increasing rate and volume expansion ratio. According to appearance test the more treating of TA turn the noodle into deeper yellow-green color. Turning to the deeper yellow color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EO provides better

  • PDF

면류(麵類) 가공원료(加工原料)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1 보 : 녹두-밀가루 복합분(複合粉)의 제면성(製麵性) 및 제품특성(製品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Raw Material for Noodles -I.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 of Dried Noodle Using Mungbean-Wheat Composite Flour-)

  • 양한철;석경숙;임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6-150
    • /
    • 1982
  • 면류가공(麵類加工)에서 영양(營養) 및 품질개선(品質改善)과 아울러 녹두(綠豆)의 이용개선(利用改善) 및 제품다양화(製品多樣化)를 위하여 밀가루에 녹두(綠豆) 20%, 40% 및 60%를 혼합한 복합분(複合粉)을 만들어 그 가공(加工) 적성(適性)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하고저 면(麵)을 조리(調理)한 후(後) 텍스쳐 및 조리시험(調理試驗)을 하였다. 1. 패리노그래프에 의(依)한 각(各) 복합분(複合粉)반죽 흡수율은 녹두(綠豆)의 함유량(含有量)이 증가할수록 수분(水分) 흡수량은 감소하였다. 2. 각(各) 복합분(複合粉)의 호화(糊化) 개시온도(開始溫度)는 녹두분 함유량(含有量)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며 최고(最高) 점도(粘度)는 40% 녹두함유(綠豆含有) 복합분(複合粉)이 가장 높았다. 3. 각(各) 복합분(複合粉)으로 제조(製造)된 국수의 조리 후 텍스쳐 특성(特性)은 녹두분(綠豆粉)의 혼합량(混合量)이 증가할수록 딱딱함, 응집성, 껌성이 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조리(調理) 후(後) 국물의 탁도(濁度)는 녹두분(綠豆粉)에서 20%, 40%에서 감소현상을 보였다. 5. 원료분(原料粉)의 복합분 중에서 녹두분(綠豆粉) 20% 및 40% 함유복합분(含有複合粉)의 제면(製麵) 적성(適性)이 우수했으며 면(麵)의 품질(品質)이 개선(改善)되었고 식미(食味)에 있어서도 밀가루 면(麵)보다 양호(良好)했다.

  • PDF

적채 추출물의 기능성 및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Brassica oleracea L-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Brassica oleracea L.)

  • 김미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43-1449
    • /
    • 2005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우리밀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적 채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기능성을 검토하고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64\%$, 에탄을 추출물은 $76\%$로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물 추출물보다 높았다.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 생면을 $20^{\circ}C$에서 일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 및 진균수는 대조구의 최대균수를 나타낸 저장일의 균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우리밀 적채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적색도(a)는 생면, 건면, 삶은면 모두에서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7\%$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황색도(b)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다. 삶은면에서는 적색도 감소가 가장 큰 $5\%$ 첨가구에서 황색도 및 명도가 가장 높았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건면과 삶은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을 제외한 모든 기호도에서 $3\%$ 첨가구가 가장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말쥐치 농축(濃縮) 단백질(蛋白質)의 제조(製造) 및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제 3 보 : FPC-밀가루 복합분(複合粉)의 제면성(製麵性)-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Filefish Protein Concentrate (FPC) -III.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using FPC - Wheat Composite Flour-)

  • 양한철;양반호;임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2-268
    • /
    • 1983
  • 본 실험은 밀가루에 FPC를 첨가한 복합분(複合粉)을 사용(使用)하여 제면적성(製麵適性) 및 제품특성(製品特性)에 대하여 검토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Farinograph에 의한 각(各) 복합분(複合粉)의 수분(水分) 흡수율(吸收率) 및 반죽형성시간(時間)은 FPC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2. Amylograph에 의한 최고점도(最高粘度)는 FPC를 첨가할수록 감소하였다. 3. 3% 및 5%의 FPC를 첨가한 면(麵)에 있어서 texture특성(特性)인 hardness, cohesiveness 및 gumminess등은 밀가루만의 면(麵)에 비해 서로 차이점이 거의 없었다. 4. 삶은 면(麵)의 중량(重量)과 부피는 3% 및 5% 첨가시 밀가루면(麵)과 유사하였으나, FPC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중량(重量)과 부피는 감소하였고, 국물의 탁도(濁度)는 증가하였다. 5. 각(各) 면(麵)의 관능검사(官能檢査) 결과(結果) 3% 첨가시 가장 양호하였으며, 5% 및 7% 첨가시 밀가루만으로 제조한 면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 PDF

중한식문화(中韓食文化)의 교류(交流) (Interchange of Dietary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 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1-197
    • /
    • 1989
  • Before Jin (秦) period, Oriental (Eastern) culture was established in Korea different from China. Bulgogi (babecued beef, 貊炙) and legume fermented soy were transmitted into China. Afterward, alcohol drink, rice cake and cookie, shic-hae (lactic acid fermented fish products), Kimchi (fermented vegetable) were introduced and modified for Korea. Buddhism was transmitted to Korea through China, but selective animal was used as food. Later period of Koryo Dynasty, meat-eating become common due to mongorian influence and distilled spirits was introduced by mongorian. During Chosun Dynasty, table setting of spoon and chopstick was established, due to Confucian influence, dog eating, raw fish and raw meat eating became popular and nutrition for elderly was developed, whereas tea culture declined. In recent period (under the Japanese rule) Chinese introduced chinese noodle, chinese cuisine, chinese pancake and sun-dried salt. many chinese cultivated chinese vegetables.

  • PDF

주요 당류 및 해조류의 대사 에너지 함량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metabolizable energy content in starch-foods and seaweeds)

  • 김은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3호
    • /
    • pp.251-259
    • /
    • 1996
  • The validity of the energy data of the starch-foods and seaweeds i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s has been suspected due to possible differences in their chemical compositions from those of western food ingredients. Energy conversion parameters being used currently in nutrition has been derived in countries where food items re quite different from our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metabolizable energy of starch-foods and seaweeds by the method selected in preexperiment20). Cooked starch foods and seaweeds were freeze-dried and fed to Sprague Dawley rat with 200∼300g body weight to measure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 values and nitrogen-corrected AME (AMEn) values for four days after three days of preliminary period for adaptation to the diets. The AME and AMEn values of the wheat noodle were 4554.6, 4584.7, the Starch Vermicelli, 3763.4, 3855.7, the Ra myon, 4916.9, 4876.0, the Buckwheat noodle, 4469.7, 4442.0kcal/kg dry matter, the Potato, 4514.6, 4520.0 and those of the Bread, 3256.9, 3582.6, 3260.5, kcal/kg dry matter, respectively. Those of Sea tangle were 1437.3, 1631.3 and of Laver, 3126.6, 3171.3kcal/kg dry matter, resectively. When the AME values of the starch-foods and seaweeds measureed in present study were compared with energy values calculated by various conversion parameters such as Atwater's Rubner's, Sochun's and FAO's, there appeared dramatic differences indicating that for many of the food items, the latter energy values by conversion factors are hardly acceptable. These data also suggest that the existing energy conversion factors are not applicable to seaweeds and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obtain specific factors for the conversion to biological energy from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eaweeds.

  • PDF

한국산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Korean Paprika Powder)

  • 정창호;김진희;조정래;안철근;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79-784
    • /
    • 2007
  • 동결 건조한 2종류의 파프리카 분말을 밀가루 중량 100%를 기준하여 0.5, 1.0 및 2.0%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품질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동결 건조한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중량, 부피, 함수율 및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색도는 FDSP를 첨가하였을 때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고, FDFP를 첨가하였을 때는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나 b값은 증가하였다. 동결 건조한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하여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은 밀가루만 첨가하여 제조한 대조구에 비하여 경도,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씹힘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파프리카 분말 1.0% 첨가구에서 색,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향과 조직감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국 성인들의 24시간 소변 분석법에 근거한 고나트륨군의 혈압과 고나트륨 섭취관련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Blood Pressure and Dietary Relate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Sodium Intake Assessed with 24-hour Urine Analysis for Korean Adults)

  • 정연선;임화재;김숙배;김희준;손숙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7-549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blood pressure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a high sodium intake group assessed with 24-hr urine analysis and the dietary factors related to the risk of high sodium intake among Korean adul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adults aged 20-59 years. Subjects who completed 24-hr urine collection (N = 205) were divided into 3 groups (tertile) according to the sodium intake estimated with 24-hour urine analysis. We compared the blood pressure, BMI and dietary related factors of the 3 groups (low, medium, high sodium intake group) with General Linear Model (GLM)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The risk factors related to high sodium intake were assessed with odds ratio (p < 0.05). Results: The sodium intake (mg/day) of the 3 groups were $3359.8{\pm}627.9$, $4900.3{\pm}395.1$ and $6770.6{\pm}873.9$,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daily salt intake (g/day) 8.5, 12.4 and 17.2, respectively. High sodium group showed significantly elevated age, BMI and systolic/diastolic blood pressure. Being male gender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sodium intake (OR = 1.972; 95%CI: 1.083-3.593). The other factors related to high sodium intake were higher BMI (${\leq}25$) (OR = 2.619; 95% CI: 1.368-5.015), current alcohol consumption (OR = 1.943; 95%CI: 1.060-3.564), and having salty soybean paste with salt percentage > 14% (OR = 3.99; 95% CI: 1.404-6.841). The dietary attitude related to increased risk of high sodium intake included 'enjoy dried fish and salted mackerel' (p < 0.001) and 'eat all broth of soup, stew or noodle' (p < 0.001). Conclusions: Because high sodium intake was associated with higher blood pressure, nutrition education should focus on alcohol consumption, emphasis on related dietary factors such as using low salt soybean paste, improvements in the habit of eating dried fish and salted mackerel or eating all broth of soup, stew or noodle.

즉석 식품에서 니트로사민이 검출되는 요인 분석 (Factors At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s in Instant Food)

  • 서보경;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4-1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을 용기 포장 채로 조리하는 경우 니트로사민의 함량이 증가하는 사례에서 용기 포장에서의 니트로사민이 용출되는지 확인하였다. 조리를 할 수 있는 용기 포장 31종에 대해 각 식품 유형별로 침출용매를 선택하여 단면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 시험을 진행한 결과, 용기 포장에서는 NDMA, NDEA, NDBA가 모두 정량 한계 미만으로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용기 포장물질에서 침출용매로의 용출은 미미하였고 침출용매가 아닌 특정 식품에 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마토소스를 제외한 레토르트 시료는 조리 전과 후의 유의적인 함량 차이가 없었으며 컵라면 시료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조리 전 NDMA가 불검출되었지만 조리 후 NDMA 함량이 trace${\sim}0.93{\mu}g/kg$로 검출되었다. 컵라면의 NDMA 함량 증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구성요소인 면, 분말스프, 건더기스프, 물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 면과 분말스프를 조합하여 조리한 경우에만 NDMA가 생성되었으며 폴리스티렌 제품의 경우 모든 구성요소를 함께 조리할 때보다는 NDMA 함량이 적게 검출되었다. 따라서 컵라면 시료는 면과 분말스프 내의 니트로사민 전구체가 NDMA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건더기스프도 NDMA 함량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 내의 전구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조리 중 가열에 따른 반응을 검토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