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dging capacity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연약지반에 포설된 Geotextile 봉합인장강도를 고려한 지지력 수정방정식 (Modification of Bearing Capacity Formula Considering Seam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in Soft Ground)

  • 김선학;채유미;김재홍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2호
    • /
    • pp.59-67
    • /
    • 2019
  • 최근 증가되고 있는 준설 및 매립지반의 해안 공사에서 토목섬유매트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 연약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산정은 안전성 평가를 위한 중요한 지표이다. 지반 개량을 위해 토목섬유매트와 복토층을 포설하여 이질층으로 구성된 연약지반의 허용지지력 검토는 일반적으로 Meyerhof(1974)와 Yamanouchi(1985) 방정식을 비교한다. Meyerhof(1974) 수식 결과는 허용지지력의 과소평가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며, Yamanouchi(1985) 수식은 펀칭전단파괴에 대한 안전사고를 고려하지 않아 다소 큰 지지력을 평가한다. 토목섬유매트의 봉합인장강도를 설계기준에 적용하여 적절한 허용지지력을 산정하는 수정방정식을 제안함으로서 경제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목섬유 봉합효율과 연약지반 허용지지력 현장검증 (Seam Efficiency of Geotextile and Verification of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Soft Ground)

  • 조대성;채유미;김재홍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7호
    • /
    • pp.25-34
    • /
    • 2021
  •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진 준설매립부지는 지반이 매우 연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설계시 정확한 지지력을 계산하는 것은 어렵고 복잡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까지 준설매립지를 대상으로 다양한 연약지반처리공법을 설계하고 있지만, 초기 장비진입을 위해서 기존 Meyerhof(1974) 복합토층 지지력 계산으로 안전율을 예측하고 있다. 기존 방정식들은 시공성 안전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연약지반 지지력을 과소평가하여 경제적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여건이 고려된 지지력 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인 방정식에서 고려되지 못하는 토목섬유의 봉합사 역할과 봉합인장강도가 지지력에 끼치는 영향을 실험으로 제시하여 적절한 연약지반 지지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장시험으로 수정방정식 지지력의 안정성이 평판재하시험으로 실측한 값과 비교하여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준설토 매립지반의 설계와 시공시 본 연구 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수계 준설 및 수리시설물 운영에 따른 흐름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redging and Operation of Weirs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Nakdong River)

  • 안정민;류시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1829-1840
    • /
    • 2013
  • 수리구조물의 효과적 운영과 홍수기 피해저감을 위해서는 하천수리특성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 금호강 유입지점 하류를 대상으로 준설 및 수리시설물 운영에 따른 수리특성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리특성 분석을 위해 HEC-RAS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부정류 흐름 해석을 통해 흐름의 천이를 반영하고 수리시설물 운영을 위한 다기능보 제원을 적용하였다. 조도계수와 조고값의 관계, 정류와 부정류 흐름해석, 사업 전과 후 하천 단면 그리고 다기능보 운영에 따른 하천 흐름에 대해 다각도로 연구를 하였다. 낙동강 수계 주요 관심구간을 중심으로 급격한 지형변화 및 수리구조물 운영에 의한 홍수에 대비하고 주요지점별 유량 전달에 의한 홍수파에 대해 분석된 자료는 합리적인 하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낙동강 하류의 퇴사저감을 위한 하폭축소방법이 홍수위변화 및 하상변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for the Effect of Channel Contraction for Sedimentation Reduction on the Flood Level and Bed Changes in the Lower Nakdong River)

  • 장은경;지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1-301
    • /
    • 2013
  • Sediment from the upstream channel has been deposited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NREB) due to the mild slope and decreased velocity. The annual mechanical dredging to ensure the flood capacity has been performed to remove the deposited sediment. However, the dredging method is not considered 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due to high cost and long time to operate. Therefore, many methods for sedimentation reduction have been proposed for NREB. Especially, the channel contraction method to mitigate sedimentation problem by changing the channel geometry from 2 km to 3 km upstream of NREB has been recently suggested 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However,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channel contraction method induces flood level increase compared to original cond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quantitatively the flood level changes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ection due to the channel contraction method for NREB. In this study, water level changes by 10% channel contraction of whole width has been evaluated using the HEC-RAS model and simulated with and without channel contraction for various flood discharge. As a result, water level in the section where the channel was contracted was decreased by 0.02 m and flood level at the upstream of channel contracted was increased up to 0.015 m for the 500-year flood.

농업용 저수지의 퇴적토사 관리를 통한 효율적 수자원 개발 (Effectiv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by the Management of Sediment Deposit in Agricultural Reservoirs)

  • 손광익;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467-477
    • /
    • 2004
  •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최근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지금까지 개발된 저류시설을 통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수자원관리와 그 이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경북지방의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저류용량과 퇴사량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농업용 저수지의 준설을 통하여 10% 이상에 이르는 저류용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GIS와 각종 토사발생량 예측기법을 활용하여 산정한 퇴사량을 실제 준설량과 비교 분석한 결과 분산모형과 다방향흐름알고리즘을 이용한 기법이 산지에 위치한 저수지 상류의 지형학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타 기법에 비해 우수한 예측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준설퇴적토의 현장처분시설(Confined Disposal Facility) 설계

  • 홍준식;안재환;기소정;지재성;배우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55-358
    • /
    • 2002
  • A sediments are Integral called as gravel, sand, clay, mineral materials which are settling in bottom layer of reservoir, stream, and oceans from land. In practical problems relations of sediments are flood by decreed of flow capacity and down of water quality. Dredged sediments are composed with constructed material and variety of pollutant compounds. Therefore, it is very much of cost effects in nationally, if development for use of constructed material separated only constructed material within sediments. And it will be continue to the dredge operation of stream sediment for retrofit of water environment and sustainable's after the years.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 In case of high concentration sediments, sample for design of CDF was shown property of flocculent settling. Assuming that average inflow rate is 1, 000㎥/hr, mean residence time( $T_{d}$), average ponding depth( $H_{pd}$ ), and design surface area for flocculent settling( $A_{df}$ ) were 5 hr, 0.6m, and 15, 750 $m^2$ respectivelyrespectivelyy

  • PDF

회복탄력성 분석 기반 담수호 수질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Evaluating Water Quality in Estuarine Reservoir Based on a Resilience Analysis Method)

  • 황순호;전상민;김계웅;김석현;이현지;곽지혜;강문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5호
    • /
    • pp.105-119
    • /
    • 2020
  • Although there have been a lot of efforts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estuarine reservoir, overall the water quality problems of the estuarine reservoirs remain. So,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s und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estuarine reservoir. Therefore, in this study, a resilience analysis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estuarine reservoir's water quality was suggested for improving existing assessment metho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ic resilience to each scenario, it was found that from the S3 scenario in which dredging was conducted considerably, the resilience of about 30% more than the current estuarine reservoir system was restor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ynamic resilience, if cost and time are considere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bustness and resourcefulness, so it can be seen that the resilience of the estuarine reservoir can be efficiently improved by simply performing dredging up to the level of Scenario 3.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static and dynamic resilience, since static resilience is only presented as a single value,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ilience capacity of the estuarine reservoir might be overlooked only by the static resilience analysis. However, in the aspect that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internal recovery capacity of the estuarine reservoir in multiple ways with various indicators (robustness, redundancy, resourcefulness, rapidity), evaluating water quality based on dynamic resilience analysis is useful.

풍쇄 슬래그의 샌드매트 대체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Substitutability of Sand Mat with Precious Slag Ball)

  • 신은철;이운현;강정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9
    • /
    • 2010
  •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평배수공법으로 샌드매트 공법이 활발하게 사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압밀침하를 촉진시키는 재료로써 샌드매트에 관련하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샌드매트공법에 요구되는 모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수많은 건설현장에서 모래 및 골재의 무분별한 채취로 인하여 생태환경의 파괴 및 천연적인 자연경관의 손상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샌드매트 대체제로서 풍쇄 슬래그의 사용이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본 물성시험, 실내 통수능 시험, 침하특성 분석과 현장모형을 실험을 통한 통수능과 침하특성, 프로그램을 통한 침하특성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 PDF

2차원 유사운송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퇴적분포유형의 추정 (Prediction of Reservoir Sedimentation Patterns Using a Two-Dimensional Transport Model)

  • 이봉훈;박창헌;박승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0-58
    • /
    • 1993
  • The sedimentation patterns at a reservoir, important to the reservoir capacity curve were simulated using a depth averaged, two-dimensional sediment transport model, that is capable of depicting velocity distributions and sediment transportation. The Banweol reservoir, whose stage capacity relationships have been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was selected and the daily inflow rates and stages were simulated using a reservoir operation model(DI-ROM). The applicability of the transport model was tested from the comparisons of simulated sedimentation patterns to the surveyed results. The simulated inflow rates and water level fluctuations at the reservoir during twenty-one years from 1966 to 1986, showed that water levels exceeding 80 percent of the total capacity occurred for 70 percent of the periods and inflow rates less than 5000rn$^3$/day sustained for 54 percent of the spans. Dorminant flow directions were simulated from two streamflow inlets to the dam site. And simulated sediment concentrations were higher near the inlets and lower at the inside of the reservoir. Sediment was deposited heavily near the inlets, and portions of sediments were distributed along the flow paths within the reservoir. The comparisons between the simulation results and the surveyed depositions were partially matched.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compare two results at the upper parts of the reservoir where dredging was carried out few times for the purpose of reservoir maintenanc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edimentation patterns within the reservoir are closely related to incoming sediment and flow rates, water level fluctuations, and flow circulation within the reservoir.

  • PDF

DGPS 음향 측심기를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퇴적량 산정 (Calculation of Sediment Volume of the Agriculture Reservoir Using DGPS Echo-Sounder)

  • 박승기;정재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97-307
    • /
    • 2005
  • 본 연구는 예당저수지의 합리적인 유지와 준설사업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퇴적량 산정을 위한 내용적 측량을 DGPS 음향 측심기를 이용하여 2004년 11월 $25\~30$일간 수행하였다.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와 경도신호는 1 초 간격으로 UTM 좌표 계로 수신하였다. 수심 값은 0.2초 간격으로 MIDAS Surveyor에 있는 Eecho sounder sensor 로 측정하였다 Arc Info GI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좌표계인 TM좌표로 변환하였다. 등수심선도 작성은 Sufer, Arc View와 Auto CAD Program을 사용하였다. 저수지 용량은 평균등고선면적법으로 산정하였다. 예당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이번 조사의 결과는 4,601.6ha-m로 기왕의 유효저수량보다 약 5.425ha-m정도 퇴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