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dged sediment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사방댐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 개발 및 관리기준 제안 (Development of the Dredged Sediments Management System and Its Managing Criteria of Debris Barrier)

  • 송영석;윤중만;정인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67-275
    • /
    • 2018
  •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에 대한 준설시기를 객관적, 정량적, 과학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준설퇴적물 측정장치를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시범 구축하였다.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하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본 관리시스템은 Data Acquisition System (DAS), Solar System 및 준설퇴적물 하중변화 측정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하중, 수위 및 강우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무선통신을 통하여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준설퇴적물 하중변화 측정유닛은 강우를 측정하기 위한 강우계,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하중측정계, 사방댐 배면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계로 구성되어 있다.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관리기준은 준설퇴적물의 하중을 기준으로 제안하였다. 사방댐 배면에 퇴적될 수 있는 최대 준설퇴적물의 양을 산정하고, 최대 준설퇴적물의 50%, 70% 및 90%가 쌓인 경우 관심, 주의 및 경보의 단계로 구분하여 관리기준을 마련하였다.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현재 준설퇴적물의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방댐의 상태와 준설퇴적물의 준설시기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안준설토 관리의 제도적 문제점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 마산만 사례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Diagnosis of Institutional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for Management in Coastal Dredged Sediment - Case Study of Masan Bay -)

  • 이용민;오현택;이대인;김귀영;전경암;김혜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444-455
    • /
    • 2015
  • 연안준설행위에 따른 연안준설토의 활용 및 처분에 관련된 현 체계 및 법적 기준의 고찰을 통해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행 제도상 연안준설토는 활용과 처분의 기준을 준설토사유효활용기준에 따라 구분하고 있으나 매립이 완료된 투기장을 부지로써 활용함으로서 처분과 활용의 개념이 모호하다. 또한 준설토의 매립재활용에 있어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연안준설토의 토양특성, 기준항목의 차이, 실험방법의 차이 등을 고려해볼 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현행의 유효활용기준은 매립재 활용에 있어 문제점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개선이 요구된다. 첫째, 매립재 활용을 위한 용도구분이 필요하며, 둘째, 인체위해성을 고려한 2단계 체계의 기준농도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해역이용협의과정에서 연안준설토를 투기장에 투기시 주변해역에 미치는 영향파악과 저감대책을 포함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척과 안정화기술을 적용한 오염 준설토의 처리 및 재활용 시스템 개발 (A Tiered Approach of Washing and Stabilization to Decontaminate and Recycle Dredged River Sediment)

  • 김영진;남경필;이승배;김병규;권영호;황인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2호
    • /
    • pp.47-54
    • /
    • 2010
  • Although the demands for the dredging work have been increasing due to social and industrial reasons including national plan for restoration of four major rivers, environmental standards or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dredged river sediment are limited. The suggested environmental standard for the beneficial use of dredged river sediment consists of two levels, recyclable and concern, and includes eight contaminants such as metals and organic contaminants. The systematic approach to remediate dredged river sediment is also suggested. The system consists of both washing and stabilization processes with continuous multi particle separation. In the early stage, the sediments are separated into two particle sizes. The coarse-grained sediment over 0.075 mm, generally decontaminated with less trouble, follows normal washing steps and is sent for recycling. The fine-grained sediments under 0.075 mm are separated again at 0.025 mm. The particles bigger than this second separation point are treated in two ways, advanced washing for highly contaminated sediments and stabilization for less. The lab test results show that birnessite and apatite are most effective stabilizing agents among tested for Cd and Pb. The most fine residues, down-sized by continuous particle separation, are finally sent for disposal. The system is tested for metals in this study, bu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organic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standard, such as PAH and PCE. The feasibility test on the field site will be followed.

The Sediment Transport Pattern from a Large Industrial Complex to an Enclosed Bay

  • Kwon, Young-Tack;Lee, Chan-W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69-72
    • /
    • 2008
  • The movement of sediments in the stream crossing a large industrial complex to the mouth of Masan Bay was monitored for eight years. Sediment samples were seasonally collected in the period of $1992{\sim}1997$ and $2001{\sim}2002$. The heavy metal content of sediment was found to be higher at dry season with the peak on February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t rainy season. Metals content in stream sediments were rapidly decreased by large precipitation events in rainy season because the contaminants in the upstream sediments were transported to the dredged area of Masan Bay where is a typical enclosed bay in Korea. The increasing and decreasing tendency of heavy metals in sediment was repeatedly observed for six consecutive years. The heavy metals assessment of stream sediment provide us the information about the pollutant source, transport pattern and control strategy along the industrial complex.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transportable stream sediments of an industrial area should be controlled as one of the important strategies to restore and manage the enclosed bay. Combined wastewaters have been collected and treated in a publicly owned treatment works (POTW) after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at each location of industries since 1994.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contact oxidation system installed and operated in two locations in the stream. The stream sediment quality was improved since then, and as a consequence the habitat of the estuary has been restored.

연안준설 및 준설토 해양투기 해양환경평가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Dredging and Ocean Disposal of Coastal Sediment in Korea)

  • 이대인;박달수;엄기혁;김귀영;조현서;김종규;서영교;백근욱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3호
    • /
    • pp.131-141
    • /
    • 2009
  • We studied improvement in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related management systems of coastal sediments that are dredged inshore but disposed offshore. After reviewing and diagnosing the existing assessment procedures and problems, we recommend to design the core assessment items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assessment byenhancing the 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 (QA/QC) and verification processes. We proposed eco-friendly disposal plan for dredging sediment such as reuse system in land development was explored. A marine environmental database system was established to support the assessment processes. Guidelines for marine research and modelling were proposed for improving assessment of dredging and disposal of coastal sediment. Also, applying of screening and scoping for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reviewed.

해역이용협의 검토유형 분석 및 제도개선 진단 (Diagnosis for Review of Statement and System Improvement of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 in Korea)

  • 김귀영;이대인;전경암;엄기혁;우영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5-354
    • /
    • 2009
  • 해역이용협의에 따른 협의서 검토현황과 연안이용형태를 분석한 결과, 공유수면 점 사용은 공작물설치와 해수 취배수, 공유수면 매립은 산업단지조성, 항만 어항개발과 도로건설의 점유율이 높았고, 점 사용은 서해에서 그리고 매립은 남해에서 우세하였다. 지역별로는 전남, 경남지역과 인천 경기지역에서 이용행위가 많았다. 해역이용협의 검토량은 2008년이 전년도에 비해 약 200건 이상 증가하였고, 협의과정에서 준설토 해양투기, 매립, 준설, 해수 취배수, 바다골재채취와 규사채취에 대해 보완요청이 주로 이루어졌다. 연안이용은 대부분 해양환경기준 I등급 또는 II등급의 지역에서 집중되었고, 특히, 법령상 해양 규제지역인 특별관리해역에서는 항만 어항개발과 관련된 매립과 공작물설치, 국립공원에서는 공작물설치와 호안정비가 많았다. 또한,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는 호안정비, 공작물설치와 해수의 취배수 행위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제반적인 합리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 등 개선방안을 제도운영 및 정책적인 측면과 협의서 작성과 관련한 해양환경영향평가 측면으로 구분해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