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dg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8초

준설공정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redge Process Management System)

  • 정대득;이중우;조증언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5-85
    • /
    • 2001
  • Accuracy of dredging processes depends on the types of equipment used, the sediments encountered, whether the work to be performed is new or maintenance dredging, pre- and post-hydrographic surveying and so forth. Among those, position surveying accuracy which is directly determined by the control of the dredge's position and depth surveying accuracy being surveyed at the dredging point during dredging work are important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redge Management System'for Grab dredge which is composed of 4 sub-system using LADGPS for dredge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nd dredging point determining system, tide gauge system and optical sensor for depth determining system and GIS and ENC for total management system. This system is installed on the grab dredge 'EUNJIN G-18'and applied to anchorage dredging work. at Pohang Harbo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is system is easy to operate, achieves good accuracy with only 45cm unevenness, reduces working period by 22 percent and saves cost 16.6 percent.

  • PDF

강릉 연안에서 형망의 갈퀴 간격 및 망목 크기에 따른 어획 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 분석 (Species composition and cluster analysis of the communities caught by dredge in relation to tooth spacing and mesh size in the coastal waters of Gangneung, Korea)

  • 안희춘;배재현;박종명;박창두;홍성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4호
    • /
    • pp.530-541
    • /
    • 2014
  • The dredge gear is dragged along the bottom of the sea to catch targeted edible bottom dwelling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nd ecological index of the catches of dredge were estimated around Gangneung coastal fishing ground by dredge with different mesh size and tooth space from July to December 2013. Eight different types of dredge including four different tooth space (24.7 mm, 29.9 mm, 34.9 mm, 40.1 mm) and four different mesh size(15.5 mm, 32.7 mm, 51.1 mm, 60.0 mm) were used in the experiment. During the experiment, total catches were collected 31 species as sipunculida 1 species, mollusca 13 species, annelida 3 species, arthropoda 8 species, echinodermata 4 species and others 2 species. The dominant genus were mollusca and echinodermata while the dominant species were Megangulus venulosus, Pseudocardium sachalinensis, Schaphechinus brevis. The richness index was ranged 1.29-1.72, evenness index was 0.6-0.65 and diversity index was 1.65-1.83 according to the tooth space and mesh size of dredge. Richness index, diversity index were high at tooth space 34.9 mm dredge and ecological index showed decreasing tendency with the increasing of mesh size of dredge. Cluster and MDS analysis, based on a Bray-Curtis and similarity matrix of fourth root transformed data of number of species and wet weight, showed division into four different groups as four different tooth space (Group A), four different mesh size Group B (51.1 mm, 60.0 mm), Group C (32.7 mm) and Group D (15.5 mm).

비콘 DGPS기반 펌프식 해상준설 공정관리시스템의 구축 (Construction of Hydrographic Pump Dredge Proc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Beacon DGPS)

  • 이진덕;이재빈;김현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3-620
    • /
    • 2011
  • 해상 준설성과의 과학적 평가를 위해서는 준설선의 유도 위치, 준설수심 및 준설 토사량 등의 준설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작업공정을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과 거리에 상관없이 상시측량이 가능한 GPS 측량방법을 응용하는 정밀위치측량과 항행의 두가지 기법에 수심측정기법 등을 병용하는 해상측량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Beacon DGPS를 기반으로 하는 선박위치측정, GPS/Gyro 통합장비에 의한 선박방향 측정, 준설심도와 붐대위치 측정, 조위에 따른 준설심도 보정 등의 기능을 갖춘 해상준설선의 유도 및 위치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준설선의 작업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정확히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운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해상준설 또는 해상건설산업에서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만금방조제 건설로 인한 전라북도 형망어업의 변천과정 (The historical process of dredge fishery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Dike in Jeollabuk-do, Korea)

  • 최종덕;류동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327-336
    • /
    • 2017
  • Fishing dredge in Jeollabuk-do began to become widespread in the 1960s and has continued to catch diverse kinds of shellfish in the productive fishing grounds around Dongjin River, Mangyeong River and Geum River estuaries. Since the 1970s, the construction of various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and the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have resulted in a decrease in main fishing areas and a sharp decline in shellfish production. As a result, dredge fishery has faced many difficulties.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i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30 fishing permits as of 2016. Surf clams, hen clams, bladder moon snails, and common orient clams were mainly caught before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dike while comb pen shells, purple whelks and ark shells are mainly caught afterwards. Inside the Saemangeum dike, most fish species have disappeared due to low water level and low salinity, and littleneck clams are caught using a jet pump type of fishing dredge. Outside the dike, the diversity of shellfish species has been reduced; comb pen shells are mainly caught. In this process, a lot of friction occurs due to the use of a reformatted dredge. Therefore, a lot of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near future.

Abundance Estimation of the Chesapeake Bay Blue Crab, Callinectes sapidus

  • ZHANG Chang Ik;AULT Jerald S.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08-719
    • /
    • 1995
  • This study is to estimate abundance of the Chesapeake Bay blue crab stock. Using 823 dredge tows which were conducted during the 1991 winter survey, blue crab abundance was estimated on the basis of newly developed methods which account for unequal dredge tow distances, size- and sex-specific heterogeneous overwintering spatial distributions, wintertime exploitation, the time period of quasi-hibernation, and dredge capture efficiency. The estimate of total abundance before correction by gear efficiency was 131.8 million crabs $(95\%\;C.I.\;=\;118.2\;million\;crabs\;to\;145.4\;million\;crabs),$ Dredge capture efficiency was estimated to be 0.474. Thus, the estimate of total abundance was calculated as 278.1 million crabs after correction by the efficiency factor.

  • PDF

췌셰픽만 꽃게의 예망에 의한 채집효율성 추정 (Estimation of Dredge Sampling Efficiency for Blue Crabs in Chesapeake Bay)

  • 장창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9-379
    • /
    • 1993
  • 1992년 동계에 췌셰픽만의 꽃게자원에 대하여 예망을 사용한 연속채집법에 의한 어획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선형모델 분석에 따르면 26회에 걸친 야외시험 결과 어획효율성은 저질이나 수심, 사용된 조사선박에 따라 통게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예망효율(즉, 어획율)은 Leslies방법과 단순히 개조된 방법 등의 두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평균 어획율은 0.26 (표준오차:0.03)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한번의 예망을 사용하여 채집장소에 존재하고 있는 꽃게 가운데 단지 $26\%$($95\%$ 신뢰한계 : $20{\sim}32\%$)를 잡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망효율은 꽃게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펌프식 준설선의 통합공정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Pump Dredge)

  • 정대득;이중우;조증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6-151
    • /
    • 2002
  • 준설작업 효율성은 장비의 형식, 준설토의 특성, 작업의 성격, 작업 시행 전.후에 이루어지는 측량작업 등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준설선의 위치제어와 준설지점의 수심 측량은 전체 공정의 효율성 결정에 중요한 인자가 된다. 우리나라 준설업체가 주로 보유하고 있는 펌프식 준설선은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타 기종에 비해 작업해역에서 탁도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제거되는 슬러리에 토사 함유량이 적고, 위치 정확도가 낮다는 큰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DGPS, 조석관측시스템, 광센서 각도추출장치, GIS와 전자해도를 이용하여 4개의 하부시스템으로 구성된 펌프식 준설선 통합공정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준설선 위치제어, 실재 굴착이 이루어지는 준설지점의 위치결정, 작업해역의 조위가 보정된 실시간 수심결정, 작업지시내용 및 작업성과를 기록하고 이들 모든 정보를 작업자 모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공정관리를 수행할 수 치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을 펌프식 준설선인 '||'&'||'quot;은진PD-2'||'&'||'quot;에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기존의 작업방식과의 작업효율성 비교를 위한 작업성과 데이타는 아직 추출하지 못했지만 일부 유사한 하$\circledcirc$시스템이 적용된 그라브 쿤설선 공정관리시스템의 효율성 분석결과에서 준설해역의 편평도가 45cm 이내로 양호하고, 작업기간을 227f 단축하였으며, 작업비용을 16.6%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새만금 외해역에서 대형 저서동물 군집 조사를 위한 적정 채집기의 선택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Sampler for the Assessment of Macrobenthos Community in Saemangeum, the West Coast of Korea)

  • 유재원;김창수;박미라;이형곤;이재학;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285-294
    • /
    • 2003
  • 전라북도 새만금 해역의 조하대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모니터링에 적절한 채집기 선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2002년 4월에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비교 대상 채집기는 반 정량적 채집기인 dredge(type charcot)와 정량적 채집기인 Smith-McIntyre(SM), van Veen grab(VV)이었다. 11개 정점이 설정되었고, 매 정점에서 dredge는 1회, SM과 VV는 3회의 반복 채집(0.1 $m^2$$\times$3)이 이루어졌다. 채집 퇴적물의 부피와 군집 밀도, 생체량 그리고 다양도 지수등의 parameters의 비교는 정량적 채집기에 국한되었다. 퇴적물의 부피는 두 채집기 간 p-value 0.0050(쌍을 이룬 표본의 t-검정)에서 유의한 차이(SM>VV)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료에 4th-root변환을 가하면 SM과 Vv에 의한 3개 반복 채집 표본이 모두 정밀도 0.2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개 정점 다양도의 채집기 간 비교에서는 dredge와 VV 간의 상관관계가 다른 pairs의 것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의 조성과 순위 비교는 일부 개체군(예를 들어 다모류, Heteromastu filiformis, Aricidea assimilis등)에서 dredge의 것이 나머지 것에 비해 과소 평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변량 분석 결과의 채집기 간 일치하는 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유사도 행렬 간 상관관계를 추정하였다. 근소하게 dredge와 VV 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로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우점종 리스트에서 관찰된 순위와 조성의 차이는 채집기마다 다른 채집 심도의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VV 표본에서의 일부 우점종의 낮은 밀도(SM 표본 대비 평균 50% 수준)도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었고 이것이 dredge-VV 간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 또는 유사도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반적인 관찰 결과에 근거하였을 때 우량 채집기는 SM이었으나 반드시 높은 자료의 질이 우선시되어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경우에는 다른 채집기를 사용하더라도 생물상의 특성 파악과 구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Development Of A Windows-Based Predictive Model For Estimating Sediment Resuspension And Contaminant Release From Dredging Operations

  • Je, Chung-Hwan;Kim, Kyung-Sub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37-146
    • /
    • 2000
  • A windows-based software package, named DREDGE, is developed for estimating sediment resuspension and contaminant release during dredging operations. DREDGE allows user to enter the necessary dredge information, site characteristics, operational data, and contaminant characteristics, then calculates an array of concentration using the given values. The program mainly consists of the near-field models, which are obtained empirically, for estimating sediment resuspension and the far-field models, which are obtained analytically, for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A linear equilibrium partitioning approach is applied to estimate particulate and dissolved contaminant concentrations. This software package which requires only a minimal amount of data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user input, tabular output, and graphical output. Combining the near-field and far-field models into a user-friendly windows-based computer program can greatly save dredge operator's, planners', and regulators' efforts for estimating sediment transports and contaminant distribution.

  • PDF

포항 영일만 형망어업의 어획 및 혼획 실태 (Catch and Bycatch of Dredge in the Yeongil Bay, Pohang)

  • 안희춘;박해훈;박종명;홍성익;윤병선;박창두;배재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493-503
    • /
    • 2015
  • Species composition and bycatch rate of the catches by dredge with bycatch reduction device to reduce bycatch were estimated around Yeongil Bay, Korea at June, 2015. Total catches were collected 31 species as Chordata 10 species, mollusca 8 species, arthropoda 6 species, echinodermata 5 species, sipunculida 1 species, annelida 1 species during the experiment at the Yeongil Bay. The dominant species were Scapharca broughtonii, Callithaca adamsi, and Atrina pectinata and they reached 79.9% of the total catch. The catch rate of Scapharca broughtonii and Callithaca adamsi was 69.6% and 10.4% respectively. The rate of bycatch was 20.1%, consisted with Echinodemata 13.0%, Chordata 3.6%. The catch of ordinary dredge was 27 species 1,307 number 85,052g and that of dredge with escapement device was 21 species 1,690 number 91,648g. In conclusion, the dredge gear with bycatch reduction device has higher catch rate of target species and lower bycatch rate to non-target species than ordinary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