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ined-paddy field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1초

논 재배 팥 품종별 수량구성요소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비교 (Differences in Yields,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among 11 Adzuki Bean Cultivars (Vigna angularis L.) Cultivated on a Somewhat Poorly Drained Paddy Field)

  • 전현정;정기열;최영대;이상훈;송석보;고지연;최지명;장윤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03-213
    • /
    • 2017
  • 본 연구는 팥을 벼 대체작물로 논 토양에 재배하기 하였을 경우 팥 품종별 생육, 수량, 습해정도, 종자의 무기성분,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성분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수분은 팥 재배기간 동안 2015년에는 과습했던 일수가 16일었으나 2016년에는 49일이었고 평균 토양 수분도 2016년이 두 배정도 더 높았다. 2. 2015년과 2016년 팥의 수량을 비교한 결과 평균적으로 충주팥과 검구슬, 칠보팥이 높은 수량을 보였다. 즉 과습한 논 토양 환경에서도 수량 감소가 다른 품종들보다 적었다. 3. 품종간 종자의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 함량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항산화성분 중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새길이 다른 품종들보다 확연히 높았고 검구슬이 다음으로 높았다. 낮은 함량을 보인 품종은 중부팥이 가장 낮았고 경원팥, 칠보팥이 다음으로 낮았다. 활성화 성분 함량은 역시 새길이 가장 높았고 검구슬이 다음으로 높았다. 4. 항산화성분과 활성화 성분 함량은 더 과습한 토양에서 재배된 팥들이 모든 품종에 걸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 중 새길이 가장 큰 항산화성분 증가률을 보였다. 5. 여러 가지 측정된 변수들을 바탕으로 PCA 및 군집분석을 한결과 항산화성분과 활성화 성분이 시험품종들을 그룹으로 나누는데 영향이 가장 큰 변수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새길만이 확연한 차별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논 토양에서 또는 과습한 토양 상태에서 수량 관점으로는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같은 팥 품종이 수량 감소가 적었고 종실성분 향상을 고려할 경우 새길이 더 우수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추후 팥이 습해에 대한 반응을 뿌리 또는 생리적 반응까지 고려하여 분석하고 이를 변수로 추가하여 토양 수분과 팥의 상관관계가 명확하게 나타날 것으로 본다.

실내 microcosm실험에 의한 시흥광산 및 덕음광산 주변 오염 논토양내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거동 연구 (Geochemical Behavior of Metals in the Contaminated Paddy Soils around Siheung and Deokeum Mines through Laboratory Microcosm Experiments)

  • 김정현;문희수;안주성;김재곤;송윤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6호
    • /
    • pp.553-565
    • /
    • 2002
  • 본 연구는 시흥 동연아연 및 나주 덕음 금은 폐광산 주변 오염 논토양을 대상으로 시기별 중금속의 수직적 분포 및 함량변화를 실내 microcosm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산화환원 환경 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거동 양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두 지역의 원 논토양은 광물학적 구성, 중금속 함량 및 pH와 같은 지구화학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덕음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중금속 함량에 비해 높은 교환성 형태의 비율로 중금속 용출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18주의 침수기간동안 microcosm토양 상하부는 산화환원 환경 차이를 유지하였으며 pH의 경우 시흥의 상하부 토양 및 덕음의 하부 토양에서는 중성-알칼리성을 유지하였으나 덕음 상부는 3.2-3.8의 강산성을 나타내었다. 용존 Fe, Mn은 상부에 비해 하부에서 높은 농도를 보여 환원성 용해현상에 의한 용출거동을 나타내었다. Pb 및 Zn는 산화환경인 상부에서 그 용출이 높게 나타나며 pH가 높은 시흥의 경우 상층수/토양 경계면에 철 및 망간이 풍부한 층이 형성되고 중금속의 이동을 억제하는 트랩역할을 하여 용출정도가 낮았다. 반면 pH가 낮은 덕읍에서는 원 토양의 상대적으로 낮은 중금속 함량에 비해 그 용출정도가 높았으며 침수 및 배수의 시기별 화학적 존재 형태의 변화도 나타났다. 강산성의 논토양에서는 침수기에 토양 상층부에서 벼작물의 중금속 흡수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배수후에는 교환성 형태의 증가로 역시 그 흡수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Characterizations of Yields and Seed Component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as Affected by Soil Moisture from Paddy Field Cultivation

  • Chun, Hyen Chung;Jung, Ki Yuol;Choi, Young Dae;Lee, Sanghun;Kim, Sung-Up;Oh, Eun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69-382
    • /
    • 2017
  • Accurate and optimal water supply to cereal crop is critical in growing stalks and producing maximum yields. Recently, upland crops are cultivated in paddy field soils to reduce overproduced rice in Korea.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of cereal crops in paddy fields which have poor percolation and drainage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crop response to excessive soil water condition and management of soil drainage system in paddy fiel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effects of excessive soil water to sesame growth and to quantify stress response using groundwater levels. Two cultivars of sesame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Gunbak and Areum. These sesames were planted in paddy fields located in Miryang, Gyeongnam with different soil drainage levels and drainage systems. The experiment site was divided into two plots by drainage class; very poorly and somewhat poorly drained. Two different drainage systems were applied to alleviate excessive soil water in each plot: open ditch and pipe drainage system. Soil water contents and groundwater levels were measured every hour during growing season. Pipe drainage syste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to alleviate wet injury for sesame in paddy fields. Pipe drainage system decreased average soil moisture content and groundwater level during sesame cultivation. This resulted in greater yield and lignan contetns in sesame seeds than ones from open ditch system. Comparison between two cultivars, Gunbak had greater decrease in growth and yield by excessive soil water and high groundwater level than Areum. Seed components (lignan) showed decrease in seeds as soil water increased. When soil moisture content was greater than 40%, lignan content tended to decrease than ones from less soil moisture content. Based on these results, pipe drainage system would be more effective to reduce wet injury to sesame and increase lignan component in paddy field cultivation.

논의 두더지 배수(排水) 효과(效果)와 콩 재배(栽培) (Effect of Mole Drainage on Soybean Growth in Paddy Field(Jeonbug Series, Aeric Halaquepts))

  • 전장협;양창휴;이경보;남정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6-302
    • /
    • 1994
  • 배수(排水)가 약간 불량(不良)한 답토양(畓土壤)(전북통(全北統))을 답전윤환하기 위한 기반조성을 위하여 천공시공(穿孔施工) 간격(間隔)을 50cm, 100cm, 150cm로, 천공심도(穿孔深度) 30cm로 시공(施工)한 후에 콩을 재배(栽培)하여 생육(生育)과 토양(土壤)의 특성변화에 관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천공시공(穿孔施工)에 의한 배수율(排水率)은 강우(降雨) 1, 2일 경과(經過) 후(後)에 최대(最大) 75%, 최소(最小) 48%까지 유출(流出)시켰으며, 지하수위(地下水位)는 40cm이하(以下)를 유지(維持)하여 목표(目標)의 배수(排水) 능력(能力)을 거의 달성(達成)했다. 2. 천공시공후(穿孔施工後)의 토양구조(土壤構造)는 괴상에서 립상 또는 과립상으로 변하였다. 하층토(下層土)에서는 토양(土壤)의 산화(酸化)와 구열(龜裂)이 발생(發生)했으며, 토양(土壤)의 건조(乾燥)는 충분(充分)하지 않았으나, 투수성(透水性)의 개선(改善)으로 전지화(田地化)의 진행(進行)을 볼수 있었다. 3. 천공시공(穿孔施工) 포장(圃場)에서 재배한 콩은 무처리구보다 11~22% 증수(增收)되었으며, 천공무시공(穿孔無施工) 포장(圃場)에서는 일부습해(一部濕害)로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했다.

  • PDF

논 감수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luence factors on water requirement in paddy fields)

  • 이상봉;전종길;윤진하;강창호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80-84
    • /
    • 2005
  • The water requirement of transplanting culture(TC) consisting of 16 plots and direct seeding culture in a well-drained paddy field(DC) also having 15 plots were measured in order to clarify the influence factors on water requirement. Each plot was maintained under different cultivation conditions. Those varied cultivation conditions were classified into 7 items.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requirement and 7 items were analyzed by evaluating the average water requirement in each condition to clarify the items influencing water requirement. From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water requirement of DC was determined to be 3.5 times of the TC. Furthermore, water requirement in DC and TC were influenced mainly by ponding depth and locational condition respectively.

  • PDF

용수절약형 논관개 기법(관개배수 \circled1) (Water saving irrigation method in paddy fields)

  • 정상옥;안태홍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08-113
    • /
    • 2000
  • A field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saving irrigation method on water use efficiency and rice yield. The field plot was 40a (40 ${\times}$ 100m) in size and located at Buryangmyun, Kimjae city, Chonbuk province. Field measurements were made during the growing seasons, May to September of the year 1998 and 1990. Irrigation water volume, drainage water volume, rainfall and ponding depth were measured. Irrigation water management practice employed was such that to keep the ponding depth about 3 to 4cm by intermittent irrigation with drying the soil surface until hair cracks emerge before the next irrigation. The amounts of water volume irrigated and drained were measured by pipe flow meter and ponding depth was observed by using a partly buried 120mm diameter PVC pip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rrigation water depths, the rainfalls, and the drainage depths were 379mm, 458mm, and 448mm in 1988, and 274mm, 819mm, and 736mm in 1990, respectively. The average yield was 590kg per 10a. The water saving irrigation method saved irrigation water by about 20% with higher yield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 PDF

Effects of Ditching on Seedling Stand in Wet Direct Seeding Rice Culture

  • Back, Nam-Hyun;Kang, Si-Yong;Kim, Sang-Su;Kwon, Tae-Oh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7-52
    • /
    • 2001
  • In order to develop more stable seedling stand method in wet direct rice seeding culture, the effect of making the drainage ditches was studied in both methods of broadcast seeding on floody paddy surface and puddled-soil drill seeding. In a broadcast seeding on floody paddy surface, the ditching after seeding using a tractor or small ditch maker improved the seedling stand, and reduced the floating seedling and herbicide injury by accelerating the drainage. Suitable ditching time was at 2 days after seeding (DAS) for the tractor and at 3 DAS for the ditch maker. In the puddled-soil drill rice seeding culture, the ditching before seeding with a ditch maker at 3 days after draining effectively improved the seedling stand due to quick draining through well formed the seeding furrows. In the puddled-soil drill seeding, seedling stand number showed higher in both ditching plots synchronized with seeding compared with both only draining treatment at 1 DAS without ditching and the flooding plot condition for 6 DAS. And the suitable ditching depth was 6 cm, as considered the ditching status and drained stat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tching in wet direct rice seeding is an resonable practice for improving the seedling stand through the accelerating drainage of field.

  • PDF

P.V.C관을 이용한 저혼답의 이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drainage of wet paddy fields by using P.V.C Pipe)

  • 주재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02-3006
    • /
    • 1973
  • 암거배수 연구는 오래전부터 해왔다. 우리나라에서는 PVC흡수관으로 제4차 시험을 했다. 제일 먼저 3배수구와 3무배수구를 설정하고 배수 방법, 토양온도, 작물의 생육, 수량등을 비교 시험하였다. 시험 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법 (1) 관 길이=1m (2) 거리 = 6.5m (3) 경사 = 1/200 (4) 지수벽 깊이 : 2.5m (5) 공시품종 : 밀성 (6) PVC흡수관리 filter는 Glass nylon으로 감는다. 2. 결과 (1)지온: 전관개 기간을 통하여 배수구에서는 평균 $1.5^{\circ}C$상승하고 10일간에 최고 $2.6^{\circ}C$ 상승할 때도 있었다. (2) 수량에서는 3개 시험구를 평균한즉 20%의 증수를 얻었다. (3) 경제적 면으로 볼 때 1ha당 증수액(95,622원) 시공비(13,005원)=82,900원의 증수익이 있었다. (4) 우리나라에서 암거배수를 필요로 하는 습담의 면적은 약 20만ha이다.

  • PDF

배수불량 논에서 암거배수처리가 동.하계 사료작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ainage Culvert Spacing on Forage Crops Production in Poorly Drained Paddy Field Converted to Upland Crop Cultivation)

  • 신재순;전종길;이상봉;김원호;윤세형;이종경;김종근;정민웅;서성;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1-306
    • /
    • 2008
  • 본 시험은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 사료작물재배를 위해 암거배수 간격을 3 m, 5 m 그리고 7 m로 처리하고 여름 사료작물로는 옥수수와 수수$\times$수수 교잡종, 겨울 사료작물로는 청보리를 조합하여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 등 2개의 작부체계에 대한 재배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2006년 3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행되었다. 배수간격별 출현율과 출수 시는 차이가 없었다. 출현율은 옥수수가 90%, 수수$\times$수수 교잡종이 91%, 청보리가 92%로 조사되었다. 옥수수의 출수시는 7월 26일, 수수$\times$수수교잡종은 7월 21일 그리고 청보리는 4월 27일이었다. 배수처리간격별 건물 수량의 경우, 3m 간격 (24,389 kg/ha) < 5 m 간격 (23,543 kg/ha) < 7 m 간격 (21,527 kg/ha) 순으로 높았는데 3 m 간격과 5 m 간격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작부체계간에는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22,000 kg/ha)이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19,684 kg/ha)보다 높았다(p<0.05). 배수간격별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3 m간격(2,365 kg/ha, 15,394 kg/ha) < 5 m 간격 (2,255 kg/ha, 14,513 kg/ha) < 7 m 간격(1,884 kg/ha, 13,747 kg/ha) 순으로 높았다. 작부체계별 조단백질과 TDN 수량은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2,165 kg/ha, 13,582 kg/ha)이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1,576kg/ha, 12,482 kg/ha)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배수불량 논을 활용하여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작부체계는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으로 배수간격은 5 m 간격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